彌陀因行四十八願 보살행을 닦으실때
지극하온 마음으로 사십팔원 세우셨네.
01.악취무명원 惡趣無名願 지옥세계 아예없고
02.무타악도원 無墮惡道願 삼악도에 아니나며
03.동진금색원 同眞金色願 금색몸이 이뤄지고
04.형모무차원 形貌無差願 모든모습 똑같으며
05.성취숙명원 成就宿命願 숙명통이 이뤄지고
06.생획천안원 生獲天眼願 천안통이 이뤄지고
07.생획천이원 生獲天耳願 천이통이 이뤄지고
08.실지심행원 悉知心行願 타심통을 성취하며
09.신족초월원 神足超越願 신족통이 이뤄지고
10.정무아상원 淨無我想願 아상없이 깨끗하며
11.결정정각원 決定正覺願 정각성취 결정되고
12.광명보조원 光明普照願 대광명은 두루하며
13.수량무궁원 壽量無窮願 이목숨이 끝이없고
14.성문무수원 聲聞無數願 나한성중 무수하며
15.중생장수원 衆生長壽願 중생들은 장수하고
16.개획선명원 皆獲善名願 좋은이름 다얻으며
17.제불칭찬원 諸佛稱讚願 모든부처 찬탄하고
18.십념왕생원 十念往生願 열번염불 왕생하며
19.임종현전원 臨終現前願 임종시엔 미타뵙고
20.회향개생원 廻向皆生願 필경에는 극락가며
21.구족묘상원 具族妙相願 좋은상호 다갖추고
22.함계보처원 咸階補處願 보처자리 오르시며
23.신공타방원 晨供他方願 시방제불 공양하고
24.소수만족원 所須滿足願 모든것이 만족하며
25.선입본지원 善入本智願 근본지혜 깨치옵고
26.나라연력원 那羅延力願 금강같은 힘얻으며
27.장엄무량원 莊嚴無量願 공덕장엄 무량하고
28.보수실지원 寶樹悉知願 보배나무 모두알며
29.획승변재원 獲勝辯才願 말솜씨가 뛰어나고
30.대변무변원 大辯無邊願 변재능력 가없으며
31.국정보조원 國淨普照願 나라마다 깨끗하고
32.무량승음원 無量勝音願 좋은법문 무량하며
33.몽광안락원 蒙光安樂願 광명받아 안락하고
34.성취총지원 成就總持願 신통력을 성취하며
35.영리여신원 永離女身願 여자몸을 받지않고
36.문명지과원 聞名至果願 명호듣고 깨달으며
37.천인경례원 天人敬禮願 천인들이 공경하고
38.수의수념원 須衣隨念願 생각따라 옷입으며
39.재생심정원 裳生心淨願 맑은마음 절로나고
40.수현불찰원 樹現佛刹願 불국토가 이뤄지고
41.무제근결원 無諸根缺願 육근에는 결함없고
42.현증등지원 現證等持願 대해탈의 힘얻으며
43.문생호귀원 聞生豪貴願 날때마다 부귀하고
44.구족선근원 具足善根願 모든선근 다갖추며
45.공불견고원 供佛堅固願 불공하길 서원하고
46.욕문자문원 欲聞自聞願 좋은법문 늘들으며
47.보리무퇴원 菩提無退願 깨달음길 퇴보않고
48.현획인지원 現獲忍地願 현세에서 왕생하며
부처의길 이루기를 사십팔원 발원일세
아미타 부처님이 법장비구로 수행시에
48원을 세우시고 극락국을 건설하시니
이서원들을 잘 살펴보시면
극락국이란 죽어서 가는 세계가 아니라
이생에서 우리모두 마음을 잘 살펴관하여
이룩해야 하는 참다운 인간상을 이룸이다
극락국이란 고집멸도 사성제중 고가 멸한
평온하고 안온한 곳에 머물며 보살의 마음으로
상품상생의 길을 가는 것이다
상품 상생이란
인간이 살아가는 환경적 조건이 잘 구비된 것을 말한다
이 환경적 조건은 인연과보에 의해 주어지는 것으로
부처님 공부를 하고자 하여도 인연이 없으면 불가능 하다
좋은 인이 있어야 좋은 연이 오는 것이니
상품 상생 하고자 하는 이 법장비구가 48대원을 세우고
열심히 수행하여 극락정토을 건설하고 아미타불이 되셔서
지금도 설법하고 계시니 마음에 서원을 세우고
부지런히 수행하고 마음을 살펴 관하라
...........................................................................................
그러면 48원(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제 1원: 악취무명원(惡趣無名願)
극락 정토에는 지옥 아귀 축생 등과 같은 세계가 없기를 바라는 원(願).
제 2원 : 무타악도원(無墮惡道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다시는 삼악도에 떨어지지 않기를 바라는 원.
제 3원 : 동진금색원(同眞金色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모두 금색 몸을 이루기를 바라는 원.
제 4원 : 형모무차원(形貌無差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모습이 차별없이 같기를 바라는 원.
제 5원 : 성취숙명원(成就宿命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숙명통(宿命通)이 이뤄지기를 바라는 원.
제 6원 : 생획천안원(生獲天眼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천안통(天眼通)이 이뤄지기를 바라는 원.
제 7원 : 생획천이원(生獲天耳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천이통(天耳通)이 이뤄지기를 바라는 원.
제 8원 : 실지심행원(悉知心行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타심통(他心通)이 이뤄지기를 바라는 원.
제 9원 : 신족초월원(神足超越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신족통(神足通)이 이뤄지기를 바라는 원.
제 10원 : 정무아상원(淨無我想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나라는 생각[我相]없이 깨끗하기를 바라는 원.
제 11원 : 결정정각원(決定正覺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바른 깨달음을 이루기를 바라는 원.
제 12원 : 광명보조원(光明普照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광명이 두루하여 한량 없기를 바라는 원.
제 13원 : 수량무궁원(壽量無窮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수명이 한량 없기를 바라는 원.
제 14원 : 성문무수원(聲聞無數願)
극락 국토에는 아라한(阿羅漢)이 무수하기를 바라는 원.
제 15원 : 중생장수원(衆生長壽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중생들마다 장수하기를 바라는 원.
제 16원 : 개획선명원(皆獲善名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좋은 이름 얻기를 바라는 원.
제 17원 : 제불칭찬원(諸佛稱讚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모든 부처님이 칭찬하기를 바라는 원.
제 18원 : 십념왕생원(十念往生願)
열 번의 염불로 극락 세계에 왕생하기를 바라는 원.
제 19원 : 임종현전원(臨終現前願)
임종할 때에 아미타불께서 성중과 함께 나타나시기를 바라는 원.
제 20원 : 회향개생원(廻向皆生願)
염불하는 모든 중생이 모두 극락 세계에 왕생하기를 바라는 원.
제 21원 : 구족묘상원(具足妙相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좋은 상호 를 다 갖추기를 바라는 원.
제 22원 : 함계보처원(咸階補處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모두 일생 보처에 오르기를 바라는 원.
제 23원 : 신공타방원(晨供他方願)
새벽마다 시방 세계 부처님께 공양 올리기를 바라는 원.
제 24원 : 소수만족원(所須滿足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모든 것에 만족하기를 바라는 원.
제 25원 : 선입본지원(善入本智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근본 지혜를 얻기를 바라는 원.
제 26원 : 나라연력원(那羅延力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부숴지지 않는 금강 같은 몸을 얻기를 바라는 원.
제 27원 : 장엄무량원(莊嚴無量願)
극락 국토에는 장엄이 한량없기를 바라는 원.
제 28원 : 보수실지원(寶樹悉知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보배나무를 보고 깨닫기를 바라는 원.
제 29원 : 획승변재원(獲勝辯才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말솜씨가 뛰어나기를 바라는 원.
제 30원 : 대변무변원(大辯無辯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거룩한 설법 한량없기를 바라는 원.
제 31원 : 국정보조원(國淨普照願)
극락 국토가 청정하여 두루 비치기를 바라는 원.
제 32원 : 무량승음원(無量勝音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거룩한 음성이 두루 하기를 바라는 원.
제 33원 : 몽광안락원(蒙光安樂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광명을 받아 안락을 얻기를 바라는 원.
제 34원 : 성취총지원(成就總持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모두 다 무생법인(無生法忍)을 얻기를 바라는 원.
제 35원 : 영리여신원(永離女身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모두 다 여자의 몸 받지 않기를 바라는 원.
제 36원 : 문명지과원(聞名至果願)
모두 아미타불의 이름을 듣고 청정한 행을 닦아서 성불하기를 바라는 원.
제 37원 : 천인경례원(天人敬禮願)
하늘과 사람들이 모두 와서 공경하고 예배하게 되기를 바라는 원.
제 38원 : 수의수념원(須衣隨念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생각따라 옷을 입게 되기를 바라는 원.
제 39원 : 자생심정원(自生心淨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마음이 저절로 조촐하기를 바라는 원.
제 40원 : 수현불찰원(樹現佛刹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보배나무를 보고 무량불토 보기를 바라는 원.
제 41원 : 무제근결원(無諸根缺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육근이 구족하기를 바라는 원.
제 42원 : 현증등지원(現證等持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해탈 얻기를 바라는 원.
제 43원 : 문생호귀원(聞生豪貴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훌륭하고 귀한 몸 받기를 바라는 원.
제 44원 : 구족선근원(具足善根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모두 좋은 마음씨가 구족하기를 바라는 원.
제 45원 : 공불견고원(供佛堅固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모두 부처님을 지극정성으로 불공하길 바라는 원.
제 46원 : 욕문자문원(欲聞自聞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모두 마음대로 항상 좋은 법문 듣기를 바라는 원.
제 47원 : 보리무퇴원(菩提無退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보리심(菩提心)에서 물러서지 않기를 바라는 원.
제 48원 : 현획인지원(現獲忍地願)
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은 생사없는 무생법인(無生法忍) 얻기를 바라는 원.
'불교이야기 > 불교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화경 (0) | 2009.07.12 |
---|---|
회심곡 내용 (0) | 2009.07.12 |
원각경보안 보살장 (圓覺經普眼 菩薩章) /성수스님 (0) | 2009.06.29 |
반야심경 (0) | 2009.06.29 |
신심명(信心銘) /낭송 엄주환 (0) | 2009.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