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 알앤엘바이오 |
생명공학기업 알앤엘바이오는 서울대 수의대 이병천 교수팀과 공동으로 일본산 암 탐지견을 4마리 복제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사진).
이들 복제 개는 생후 3개월이 지나는 9월 초 일본으로 가 암 탐지 훈련을 받는다.
알앤엘바이오는 마린의 유전자를 물려받은 복제 개들이 유사한 능력을 보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훈련을 통과한 복제 개 4마리 중 한 마리는 동물 줄기세포 치료 연구에 활용되고, 다른 한 마리는 마린을 소개해 준 일본 줄기세포 기업 ‘심스’에 기증된다. 나머지 두 마리는 수요자에게 최소 5억 원에 분양될 예정이다.
동영상 제공: 로이터/동아닷컴 특약
복제 개는 핵을 제거한 잡종견의 난자에 마린의 체세포를 이식한 다음 대리모(잡종견)에게 착상시켜 태어났다. 서울대 의대 법의학교실에 검증을 의뢰한 결과, 4마리 모두 복제 개로 최종 확인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알앤엘바이오는 서울대가 보유한 개 복제 기술을 이전받기로 했으며, 개 복제 특허에 대한 국내외 전용실시권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근 복제 양 ‘돌리’의 특허를 관리하는 미국 회사 ‘스타팅 라이선싱’이 개를 포함한 동물 복제 상업화는 원천특허를 침해한다고 주장해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알앤엘바이오 라정찬 대표는 “양 복제 기술만으론 개를 복제할 수 없고, 이번에 서울대 연구팀은 난자 선택과 체세포 처리에 새로운 기술을 적용해 착상률을 높였기 때문에 원천특허 침해 주장은 상식적이지 않다”며 “소송이 제기되면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임소형 동아사이언스 기자 sohyung@donga.com
'줄기세포의 진실 > 줄기세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우석 팀 ‘9.11 영웅 구조견’ 복제한다 (0) | 2008.07.01 |
---|---|
“난자없이 사람 만능줄기세포 만들었다” (0) | 2008.06.22 |
황우석vs이병천, 애완견 복제사업 '경쟁' (0) | 2008.06.10 |
피부ㆍ성형 ‘지방줄기세포 시술’ 허용키로 (0) | 2008.06.10 |
산사의 바람에 번뇌를 띄우다 (0) | 2008.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