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을 보려면 아래 주소를 클릭하시요.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128454
하버드대 '맞춤형 줄기세포' 연구 착수 2006-06-07 21:18
"황우석 박사의 '체세포 핵이식' 기술 이용"
|
<8뉴스>
<앵커>
미국 하버드대학이 황우석 박사가 시도했던 체세포 핵이식 방법을 이용해서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를 만드는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했습니다.
김승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 하버드 대학은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를 만들기 위해 체세포 핵이식에 의한 인간배아복제 실험을 시작한다고 오늘(7일) 발표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시사주간지인 타임지는 하버드 대학의 이번 실험이 논문 위조로 문제가 된 한국의 황우석 박사가 사용한 기술이란 점을 강조했습니다.
미국 대학연구소가 체세포 핵이식을 이용해 줄기세포를 만드는 연구에 착수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하버드 대학은 특히 황우석 박사의 난자 불법 모집 사례를 감안해 모든 연구 과정을 윤리적·법적 테두리 내에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연구진은 난자 기증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지만 동의서 서명 과정을 반드시 거치도록 했습니다.
별도의 보상비도 지급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연구진은 이와 함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경우 연방기금을 사용할 수 없지만 이미 수백만 달러의 개인 기부금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하버드대와는 별도로 캘리포니아 대학도 조만간 체세포 핵이식을 통한 인간배아 복제 연구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의 이런 움직임은 황우석 박사의 몰락 이후 줄기세포 기술 분야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차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김승필 기자 kimsp@sbs.co.kr
아래 주소를 클릭하면 동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128395
미 하버드대,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 만든다 2006-06-07 18:09
미국 하버드 대학이 황우석 박사가 시도했던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를 만들기 위해 체세포핵이식에 의한 인간배아복제 실험을 시작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권애리 기자 xenieune17@sbs.co.kr |
美 하버드대 줄기세포 연구 돌입
[머니투데이 강기택기자]미국 하버드 대학 연구진들이 황우석 박사가 시도했던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를 만들기 위해 인간배아복제 실험에 돌입했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하버드 대학은 그동안 윤리적 법적 테두리 내에서 줄기세포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준비를 해 왔다.
하버드대학은 보스턴 지역 병원과 지역 IVF(체외수정시줄) 클리닉, 컬럼비아대학 등을 포함한 5개 기관의 검토를 거쳐 이번 실험을 승인했다.
대학측은 이번 실험은 민간 연구 자금을 통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시 행정부는 2001년 이전에 만들어진 인간배아 줄기세포주를 이용한 연구에 한해 연방연구기금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다.
하버드대학은 구체적인 금액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이번 연구를 위해 하워드 휴즈 메디칼연구소, 보스톤 아동병원, 뉴욕줄기세포재단 등과 개인들로부터 수백만 달러의 기부금을 확보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연구와 관련된 논란 이후 미국이 줄기세포 형성 기술 분야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하버드대학은 불임치료 클리닉에서 사용하고 남은 난자를 이용하고 필요한 경우 여성들로부터 난자를 기증받아 이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캘리포니아대학(UC) 샌프란시코 캠퍼스 연구팀도 지난 5월 체세포핵이식에 의한 인간배아복제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강기택기자 acekang@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줄기세포의 진실 > 줄기세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英 인간+소 배아 성공…半人半牛 현실로? (0) | 2008.04.03 |
---|---|
줄기세포란? (0) | 2008.03.09 |
국내 최대 규모 줄기세포연구센터 문열어 (0) | 2008.03.09 |
태아 줄기세포로 쥐의 마비된 다리 치유 (0) | 2008.03.09 |
황우석연구지원 모임 “황교수 연구재개시 난자 제공” (0) | 2008.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