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담 큰스님 <덕숭총림 방장>
덕숭총림 수덕사 방장 원담 스님은
1926년 전북 옥구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꿈에 신승이 이름을 지어주었다고 하여
‘몽술(夢述)’이라고 이름을 지었는데,
울지 않던 아이가 화주하러 온 스님의
목탁과 염불 소리를 듣고 울음을 터트렸다고 한다.
12살 되던 1937년 이모를 따라 수덕사를 찾은 스님은
정진하는 스님들의 청정한 모습에 환희심을 느껴 출가했다.
천장사와 전월사 등에서 만공 스님을 시봉하며 5년 여 동안
행자생활을 한 스님은 16세 되던 1941년 벽초 스님을 은사로
만공 스님을 계사로 사미계를 받았다. 스님의 은사 벽초 스님은
평생 수행을 한 농선도인(農禪道人). 일평생을 남을 위해 살다간
도인이었지만 스님은 한번도 “무엇을 했다”고 상을 내지 않았다고 한다.
원담 스님은 이러한 벽초 스님의 가풍을 계승하여 현대의
선농일여란 새로운 가풍을 진작시키기도 했다.
만공 선사로부터 전법게를 받은 후 가행정진하다
1970년 수덕사 주지로 취임 덕숭총림의 기초를 닦기 시작해
1983년 덕숭총림을 설립했다. 이후 스님은 <만공법어집>을 발간하는 등
덕숭선맥의 선풍을 계승하기 위한 수행에 힘써오다
지난 86년부터 혜암ㆍ벽초 스님에 이어 덕숭총림 3대 방장에 취임했다.
현재 스님은 염화실에 주석하며 많은 수좌들을 제접하지만 대부분
1700 공안만 달달 외울 뿐 진정으로 공부한 수행자가 없음을 걱정하고 계시다.
‘도인’이라는 헛껍데기 이름에 만족하지 말고 진실한 수행자가 돼야한다는 것이다.
고승법어
원담스님 (덕숭총림 방장)
“구름 걷히면 청산…
"구� 걷히면 청산 서로 다투지 말라”
“淸淨本然하거늘 云何忽生 山河大地리요?”
(청정이 본연하거늘 어찌하여 홀연히 산하대지가 나왔는고?)
이는 만공큰스님께서 일본 총독의 간담을 서늘케한 사자후로
산승이 현금의 정치권과 이사회에 던지는 화두이기도 하다.
산승은 다만 침묵할 따름이지만 꼭 해야할 말이 있다면
‘그르쳐 가지말지어다’. 서로의 다툼인 것을 누가 옳고 누가 그르다 하겠는가.
“시시비비여! 구름걷히면 이내 청산인 것을(白雲斷處有靑山)”
98년 무인년 하안거 해제법어-원담스님 (덕숭총림 방장)
-“동쪽나무 쉬지않고 나부끼도다”-
一口吸盡西方水
一舌呑吐天地顯
東樹不休風吹搖
從來宗師坐不動
한 입으로 서방수를 다 마시고
한 혀로 삼키고 토하니 천지가 나타나는도다.
동쪽의 나무가 쉬지 않고 바람에 나부낌에
이로 좇아 모든 종사가 앉아서 움직이지 않는다.
원담(덕숭총림 수덕사 방장) 스님 作 달마도(종이에 수묵).
“大道에 입문한 것은 仙佛 인연 있기 때문”
수행하는 사람은
모두가 骨肉之親이며
靈山의 한 핏줄
'불교이야기 > 수사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덕사출신스님-설정 스님(덕숭총림 수덕사 수좌) (0) | 2008.01.26 |
---|---|
수덕사출신스님-원담 진성(圓潭 眞性)스님 (0) | 2008.01.26 |
수덕사출신스님-원담스님 <수덕사 방장> (0) | 2008.01.26 |
수덕사출신스님원담스님 <덕숭총림 방장> (0) | 2008.01.26 |
수덕사출신스님원담스님 <덕숭총림 수덕사 방장> (0) | 2008.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