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2F23_17_17_29_06JoD_IMAGE_1_187.jpg%3Fthumb&filename=187.jpg)
덕숭총림 수덕사 범종 경당목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8%2F23_17_17_29_06JoD_IMAGE_1_172.jpg%3Fthumb&filename=172.jpg)
덕숭총림 수덕사 산문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2%2F23_17_17_29_06JoD_IMAGE_1_176.jpg%3Fthumb&filename=176.jpg)
수덕사 사천왕문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3%2F23_17_17_29_06JoD_IMAGE_1_187.jpg%3Fthumb&filename=187.jpg)
수덕사 황하정루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3%2F23_17_17_29_06JoD_IMAGE_1_188.jpg%3Fthumb&filename=188.jpg)
덕숭총림 수덕사 범종루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4%2F23_17_17_29_06JoD_IMAGE_1_181.jpg%3Fthumb&filename=181.jpg)
수덕사 경당목:포뢰용(鐘龍紐)은 고래를 만나면 크게 소리를. .고래의 모습으로 만들어 타종을.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4%2F23_17_17_29_06JoD_IMAGE_1_182.jpg%3Fthumb&filename=182.jpg)
수덕사 법고대 , 용의 머리에 거북의 몸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5%2F23_17_17_29_06JoD_IMAGE_1_190.jpg%3Fthumb&filename=190.jpg)
법고받침 용두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2F23_17_17_29_06JoD_IMAGE_1_188.jpg%3Fthumb&filename=188.jpg)
수덕사의 목어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2%2F23_17_17_29_06JoD_IMAGE_1_177.jpg%3Fthumb&filename=177.jpg)
덕숭산 수덕사 대웅전 국보제 49호 (고려 충령왕 34년(1308)건립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2%2F23_17_17_29_06JoD_IMAGE_1_178.jpg%3Fthumb&filename=178.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3%2F23_17_17_29_06JoD_IMAGE_1_189.jpg%3Fthumb&filename=189.jpg)
수덕사 대웅전 측면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3%2F23_17_17_29_06JoD_IMAGE_1_190.jpg%3Fthumb&filename=190.jpg)
수덕사 대웅전의 측면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4%2F23_17_17_29_06JoD_IMAGE_1_183.jpg%3Fthumb&filename=183.jpg)
수덕사 대웅전 측면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4%2F23_17_17_29_06JoD_IMAGE_1_184.jpg%3Fthumb&filename=184.jpg)
수덕사 대웅전 배흘림기둥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5%2F23_17_17_29_06JoD_IMAGE_1_191.jpg%3Fthumb&filename=191.jpg)
덕숭총림 대웅전 본존불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5%2F23_17_17_29_06JoD_IMAGE_1_192.jpg%3Fthumb&filename=192.jpg)
덕숭산 소림초당 갱진교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2F23_17_17_29_06JoD_IMAGE_1_190.jpg%3Fthumb&filename=190.jpg)
덕숭산 만공탑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2F23_17_17_29_06JoD_IMAGE_1_191.jpg%3Fthumb&filename=191.jpg)
덕숭산 미륵불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2%2F23_17_17_29_06JoD_IMAGE_1_179.jpg%3Fthumb&filename=179.jpg)
덕숭산 수덕사 법고 받침의 뒷모습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7교구 본사로서. 554~597년(백제 위덕왕) 창건. 고려 충렬왕(1308) 때 지금의 대웅전이 건립. 구한말에 근대 한국 선불교의 중흥조인 경허(鏡虛)선사가 이곳에서 선풍을 일으켰으며 그의 제자 만공(滿空)선사가 수덕사에 머물며 가람을 중창.
1984년 11월 29일 중앙종회의 의결로 수덕사는 총림(叢林)으로 승격, 이름을 덕숭총림(德崇叢林)이라 하고 초대방장에 혜암스님을 추대. 창건설화(수덕사 홈피에서 발췌 ) 홍주마을에 사는 수덕이란 도령이 있었다.도령은 훌륭한 가문의 도령이었는데, 어느날 사냥을 나갔다가 먼 발치에서 낭자를 보고 사랑에 빠지게 된다. 집에 돌아와 상사병에 걸린 도령은 수소문한 결과 그 낭자가 건너마을에 혼자
사는 덕숭낭자라는 것을 알게 되어 청혼을 했으나 여러번 거절당한다. 수덕도령의 끈질긴 청혼으로 마침내 덕숭낭자는 자기 집 근처에 절을 하나 지어
줄것을 조건으로 청혼을 허락하였다.
수덕도령은기쁜 마음으로 절을 짓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절을 완성하는 순간 불이 나서 소실되었다. 다시 목욕재개하고 예배 후 절을 지었으나 이따금 떠오르는 낭자의 생각 때문에
다시 불이 일어 완성하지 못했다.
세 번째는 오로지 부처님만을 생각하고 절을 다 지었다. 그 후 낭자는 어쩔 수 없이 결혼을 했으나 수덕도령이 손을 대지 못하게 했다. 하지만 이를 참지 못한 수덕도령이 덕숭낭자를 강제로 끌어안는 순간 뇌성벽력이
일면서 낭자는 어디론가 가 버리고 낭자의 한 쪽 버선만이 쥐어져 있었다.
그리고 그 자리는 바위로 변하고 옆에는 버선모양의 하얀 꽃이 피어 있었다. 이 꽃을 버선꽃이라 한다.
낭자는 관음보살의 화신이었으며 이후 수덕도령의 이름을 따 수덕사라 하며
산 이름을 덕숭낭자의 이름을 따서 덕숭산이라고 하였다 한다. | | |
가져온 곳 :
블로그 >참 나를 찾아 山寺로의 여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