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내 파일

예산현(禮山縣)

淸潭 2024. 1. 28. 12:56

신증동국여지승람 제20 / 충청도(忠淸道)

예산현(禮山縣)

 

동쪽으로는 온양군(溫陽郡) 경계까지 28리이고,

남쪽으로는 대흥현(大興縣) 경계까지 9리이고,

서쪽으로는 덕산현(德山縣) 경계까지 22리이고,

북쪽으로는 신창현(新昌縣) 경계까지 21리이고,

서울과의 거리는 2 95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백제의 오산현(烏山縣)이었는데,

신라에서 고산(孤山)으로 고쳐 임성군(任城郡)의 속현으로 삼았고,

고려 태조(太祖) 2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으며,

현종(顯宗) 9년에 천안부(天安府)에 붙였다가,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던 것을 본조 태종 13년에 예에 따라 현감으로 하였다.

 

【관원】 현감ㆍ훈도 각 1.

【군명】 오산(烏山)ㆍ고산(孤山).

【성씨】 본현 신()ㆍ손()ㆍ심()ㆍ장()이 있으며, () 속성(續姓)이다.화물(化物) () 문석(文石)과 같다.

【산천】 금오산(金烏山) 현 북쪽 2리에 있는 진산(鎭山)이다. 남산(南山) 현 남쪽 6리에 있다. 도고산(道高山) 현 북쪽 11리에 있다. 또한 신창현(新昌縣) 산천에도 나와 있다. 무한산(無限山) 현 서쪽 9리에 있다. 소기현(蘇機峴) 현 동북쪽 28리에 있다. 무한천(無限川) 무한산 서쪽에 있는데, 홍주(洪州) 여양천(驪陽川)의 하류이다. 매양 여름철에 물이 벌창하면 큰 뱀이 산에서 나와 냇물에 잠복하여 사람과 가축에 우환을 준다. 호두포(狐頭浦) 현 북쪽 19리에 있는데, 곧 무한천의 하류이다.

【토산】 사기그릇[磁器]ㆍ숭어[秀魚]ㆍ게[]ㆍ웅어[葦魚]ㆍ복령(茯苓).

【학교】 향교 현 동쪽 1리에 있다.

【역원】 일흥역(日興驛) 현 서쪽 13리에 있다. 무한성원(無限城院) 무한천 냇가에 있다. 고사원(古沙院) 현 동쪽 13리에 있다.

【불우】 향천사(香泉寺)ㆍ안락사(安樂寺)ㆍ관정사(觀正寺) 모두 도고산에 있다.

【사묘】 사직단 현 서쪽에 있다. 문묘 향교에 있다. 성황사 현 동쪽 1리에 있다. 여단 현 북쪽에 있다.

【고적】 입석소(立石所) 구명은 문석(文石)이며, 현 동쪽 16리에 있는데, 지금은 대지동촌(大枝洞村)으로 되어 있다. 화물장(化物莊) 현 서쪽 22리에 있는데 지금은 입암촌(立巖村)으로 되어 있다. 무한산성(無限山城) 돌로 쌓았는데, 주위가 2 2척이며, 안에 우물 하나가 있는데 지금은 못쓰게 되었다.

【명환】 본조 유문통(柳文通) 현감이 되었었다.

【효자】 본조 김근(金勤)ㆍ이개우(李開右) 모두 정문을 세워 표창했다.

【열녀】 본조 매읍덕(每邑德) 호장(戶長) 장중연(張仲淵)의 딸이다. 나이 23세에 남편이 죽었는데, 무덤 곁에 여막[]을 세우고 3년간을 친히 제사하며 소금ㆍ장 등을 먹지 않았다. 뒤에 부모가 그 뜻을 꺾고 다시 시집보내려 하자, 죽음으로 스스로 맹세하고 드디어 머리를 깎고 중이 되었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연혁】 본래 백제의 고산(孤山)이다 오산(烏山)이라고도 한다. ()이 마진(馬津)이라 고치고 지심주(支潯州)의 영현(領縣)으로 만들었다. 고종 32년에 군으로 고쳤다.

 

《대동지지(大東地志)

【방면】 현내(縣內) 끝이 5. 술곡(述谷) 동남쪽으로 처음이 5, 끝은 20. 대지동(大枝洞) 본래는 입석소(立石所)인데, 동쪽으로 처음은 10, 끝이 20리이다. 금평(金坪) 북쪽으로 처음은 7, 끝은 20리이다. 두촌(豆村) 북쪽으로 처음은 10, 끝은 15리이다. 입암(立巖) 본래는 화물장(化物莊)인데, 서북쪽으로 처음은 15, 끝은 20리이다. 거구화(巨仇火) 서쪽으로 처음은 10, 끝은 20리이다. 자가산(子加山) 서쪽으로 처음은 7, 끝은 20리이다. 오원(吾元) 북쪽으로 처음은 7, 끝은 10리이다.

【성지】 오산성(烏山城) 바로 옛읍의 터인데 지금 치소(治所)에서 서쪽으로 6리에 있다. 평평한 들에서 외롭게 서 있기 때문에 고산(孤山)이라 하며, 오산산성(烏山山城)이라고도 한다. 둘레가 2 2척인데 우물 하나가 있다.

【역참】 북쪽으로 10리에 있는데, 내포(內浦) 11읍에서 서울로 통하는 큰길에 있다.

【토산】 감[]ㆍ붕어[].

【사원】 덕잠서원(德岑書院) 숙종 을유년에 세워졌고, 갑오년에 사액되었다. 김구(金絿) 자는 대유(大柔), 호는 자암(自庵), 본관은 광주(光州)이며, 벼슬은 부제학(副提學)이었고, 이조 판서에 추증되고 시호는 문의(文懿)이다.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20 / 충청도(忠淸道)

대흥현(大興縣)

 

동쪽으로는 공주(公州) 경계까지 30리이고,

남쪽으로는 청양현(靑陽縣) 경계까지 22리이고,

서쪽으로는 홍주(洪州)까지 9리이고,

북쪽으로는 예산현(禮山縣) 경계까지 19리이고,

서울과의 거리는 3 23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백제의 임존성(任存城) 금주(今州)라고도 했다. 이었는데, 신라 때에 임성군(任城郡)으로 고쳤고, 고려 초기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으며, 현종(顯宗) 9년에 운주(運州)에 붙였다가 명종(明宗) 2년에 감무(監務)를 두었던 것을, 본조 태종 13년에 예에 의하여 현감으로 하였다.

【관원】 현감ㆍ훈도 각 1.

【군명】 임존성(任存城)ㆍ금주(今州)ㆍ임성(任城).

【성씨】 본현 이()ㆍ한()ㆍ장()ㆍ오()ㆍ백(). 거변(居邊) ()ㆍ이().

【산천】 봉수산(鳳首山) 현 서쪽 2리에 있는 진산(鎭山)이다. 사자산(獅子山) 현 동쪽 21리에 있다. 백월산(白月山) 현 남쪽 19리에 있다. 금롱산(金籠山) 현 남쪽 16리에 있다. 당산(堂山) 현 동쪽 21리에 있다. 박산(朴山) 현 동쪽 12리에 있다. 가차산(加次山) 현 동북쪽 11리에 있다. 송림산(松林山) 현 동쪽 19리에 있다. 비도현(飛到峴) 현 동쪽 14리에 있다. 내천(奈川) 현 동쪽 1리에 있다. 물의 근원이 둘이 있는데, 하나는 청양현(靑陽縣) 어호동(於乎洞)에서 나오고, 또 하나는 홍주(洪州) 여양현(驪陽縣)에서 나와서 신창현(新昌縣) 정포(井浦)로 들어간다. 경결천(京結川) 현 동북쪽 6리에 있다. 바로 내천(奈川)의 하류이다. 죽천천(竹遷川) 거변소(居邊所)에 있다. 현에서 동쪽으로 17리 떨어져 있으며, 청양현 어사현(於士峴)에서 발원하여 경결천으로 들어간다. 달천(達川) 현 동쪽 17리에 있다.

【토산】 붕어[]ㆍ게[]ㆍ지황(地黃).

【성곽】 읍성(邑城) 돌로 쌓았는데, 주위는 1 1 15척이다. 안에 우물 하나가 있었는데 지금은 못쓰게 되었다.

【정사】 포정정(布政亭) 객관 동쪽에 있다. 『신증』 관찰사(觀察使) 안침(安琛)이 견사정(見思亭)이라 이름을 고쳤다.

【학교】 향교 현 북쪽 3리에 있다.

【역원】 광시역(光時驛) 현 남쪽 19리에 있다. 가방원(加方院) 현 남쪽 2리에 있다.

【교량】 내천교(奈川橋) 현 동쪽 2리에 있다. 거변교(居邊橋) 달천에 있다. 금막천교(金莫川橋) 현 북쪽 19리에 있다.

【불우】 대련사(大連寺) 봉수산에 있다. 용흥사(龍興寺) 사자산에 있다. 보광사(普光寺) 백월산에 있다. 은사(銀寺) 금롱산에 있다.

【사묘】 사직단 현 서쪽에 있다. 문묘 향교에 있다. 성황사 봉수산에 있다. 속설에 전하기를, 당 나라 장수 소정방(蘇定方)을 사당의 신으로 모시고 봄 가을에 본읍에서 제사하였다 한다. 여단 현 북쪽에 있다.

【고적】 임존성(任存城) 이곳이 바로 백제의 복신(福信), 지수신(遲受信), 흑치상지(黑齒常之) 등이 당 나라 장수 유인궤(劉仁軌)와 항거하던 곳이다. 지금의 본현 서쪽 13리에 옛 돌성이 있는데, 그 주위가 5 1 94척이며, 안에 세 개의 우물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의심컨대 이 성이 아닌가 한다. 부여 인물 조에 자세히 나와 있다. ○ 고려 태조가 후백제(後百濟)의 임존성을 공격하여 형적(刑積) 3천여 명을 죽이고 잡았다. 거변소(居邊所) 옛날에는 거질물소(居叱勿所)로 불리웠으며, 현 동쪽 21리에 있다.

【인물】 고려 한문준(韓文俊) 천성이 고아(高雅) 정직하고 작문(作文)에 능하였으며, 인종(仁宗) 때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때는 바야흐로 외임[外重]을 중히 여기던 시대였는데 장주(長州)ㆍ장흥(長興)ㆍ남원(南原) 3개 군의 부사(副使)와 남경 부유수(南京副留守)를 역임하면서 모두 어진 정사를 베풀었다. 그의 제자 오세재(吳世才)의 시에 이르기를, “남쪽으로는 세 군의 사람들을 소식(蘇息)하게 하고, 동쪽으로 한 주()의 백성을 무애(撫愛)하였다.” 하니, 세상에서 이르기를, “사실을 기록한 말이다.” 하였다. 벼슬이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이르렀다. 한취(韓就) 진사(進士) 시험에 합격하여 벼슬이 문하성사(門下省事)에 이르렀다.

【효자】 고려 이성만(李成萬) 성만이 그 아우 순()과 더불어 모두 지극한 효성이어서 부모가 죽자, 성만은 아버지의 분묘를 지키고, 순은 어머니의 분묘를 지키면서 각각 애통과 경근(敬謹)을 다하였으며, 3년의 복제를 마치고는 아침에는 아우가 형의 집으로 가고, 저녁에는 형이 아우의 집을 찾았으며, 한 가지의 음식이 생겨도 서로 모여 만나지 않으면 서로 먹지 않았다. 이 사실이 임금에게 보고 되자 되어 정문을 세워 표창하였다.

【열녀】 고려 곽씨(郭氏) 나이 19세에 박근(朴根)에게 시집갔는데, 23세에 근이 죽으니, 3년간 여묘(廬墓)를 살고는 상을 마치고도 친정으로 돌아가지 않고 시부모를 효성껏 받들면서 평생을 마쳤다. 이 사실이 임금에게 보고되자 정문을 세워 표창하였다.

【제영】 관어지북인한천(觀魚池北引寒泉) 이맹상(李孟常)의 시에, “포정정(布政亭) 동쪽에선 흰 달을 맞이하고, 관어지 북쪽에는 찬 샘물 끌어왔다.” 하였다.

 

《대동지지(大東地志)

【연혁】 본래는 백제의 지분촌(只分材)이었는데, ()이 지심(支潯)으로 고치고 지심주의 영현(領縣)으로 만들었다. 신라 경덕왕(景德王) 16년에 임성군(任城郡)으로 고쳤다 영현(領縣)이 둘인데, 청정(靑正)ㆍ고산(孤山)이다. 숙종 7년에 현종의 어태(御胎)를 묻어 군으로 승격시켰다.

【방면】 읍내 끝이 7. 일남(一南) 처음은 7, 끝은 20. 이남(二南) 처음은 6, 끝은 20. 거변(居邊) 동쪽으로 처음은 17, 끝은 30. 근동(近東) 처음은 7, 끝은 20. 원동(遠東) 처음은 10, 끝은 25. 내북(內北) 처음은 10, 끝은 19. 외북(外北) 서북쪽으로 처음은 10, 끝은 20.

【사원】 소도독사(蘇都督祠) 대잠도(大岑島)에 있으며 고려 때부터 춘추로 향축(香祝 제사에 쓰는 향과 축문)을 내려 치제(致祭)한다. 소정방(蘇定方) 당 고종 때 백제를 평정하였다.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19 / 충청도(忠淸道)

덕산현(德山縣)

동쪽으로는 예산현(禮山縣) 경계까지 23리이고,

남쪽으로는 홍주(洪州) 경계까지 13리이고,

서쪽으로는 해미현(海美縣) 경계까지 18리이고,

북쪽으로는 면천군(沔川郡) 경계까지 23리이고, 서울과의 거리는 3 41리이다.

【건치연혁】 덕풍현()은 본래 백제의 금물현(今勿縣)이었는데, 신라 때에 금무(今武)라고 고쳐 이산군(伊山郡)의 속현으로 만들었고, 고려에 와서 덕풍으로 고쳐 현종(顯宗) 때에는 운주(運州)에 붙였고, 명종(明宗) 때는 감무(監務)를 두었다. 이산현(伊山縣)은 본래 마시산군(馬尸山郡)이었는데, 신라에 와서 이산으로 고쳐 그대로 군()으로 하였더니, 고려 현종 때에 홍주(洪州)에 붙였다가 뒤에 감무를 두었던 것을, 본조 태종 5년에 이산현의 인민과 형세가 피폐하였다 하여 드디어 두 개의 현을 합병하여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고, 13년에 예에 의하여 현감으로 하였다.

【관원】 현감ㆍ훈도 각 1.

【군명】 금물(今勿)ㆍ금무(今武)ㆍ덕풍()ㆍ이산(伊山)ㆍ마시산(馬尸山)

【성씨】 덕풍 황()ㆍ송()ㆍ이()ㆍ윤(). 이산 고()ㆍ오()ㆍ문()ㆍ송(). 신곡(薪谷) ().

【형승】 동쪽으로 큰 들을 끼고, 북쪽에 앵산(鶯山)을 등지고 있다 최지(崔池)의 기문에 있음.

【산천】 가야산(伽倻山) 현 서쪽 11리에 있다. 해미현(海美縣)에도 나와 있다. 팔봉산(八峯山) 현 남쪽 5리에 있다. 상왕산(象王山) 현 북쪽 13리에 있다. 또 해미현에도 나와 있다. 덕숭산(德崇山) 현 남쪽 12리에 있다. 대덕산(大德山) 현 남쪽 8리에 있다. 앵산(鶯山) 현 북쪽 4리에 있다. 대현(大峴) 현 서쪽 18리에 있다. 온천(溫泉) 현 남쪽 5리에 있다. 용연(龍淵) 현 서쪽 12리에 있다. 날이 가물 때에 비를 빌면 매양 감응이 있다고 한다. 화척탄(禾尺灘) 현 동쪽 16리에 있으니, 곧 신교천(薪橋川)의 하류이다. 정포도(井浦渡) 현 동쪽 30리에 있다. 또 신창현(新昌縣)에도 나와 있다. 신교천(薪橋川) 현 동쪽 17리에 있다. 홍주(洪州) 금마천(金馬川)의 하류이며, 정포로 들어간다. 사읍교천(沙邑橋川) 현 동쪽 17리에 있다.

【토산】 지치[紫草]ㆍ옻[]ㆍ붕어[]ㆍ숭어[秀魚]ㆍ뱅어[白魚]ㆍ산무애뱀[白花蛇].

【성곽】 읍성(邑城) 돌로 쌓았는데 주위가 2 6 55척에 높이는 9척이며, 그 안에 두 개의 우물이 있으니, 곧 이산영(伊山營)이다.

【정사】 관가정(觀稼亭) 현 동쪽에 있다.

【학교】 향교 현 서쪽 5리에 있다.

【역원】 급천역(級泉驛) 현 동쪽 8리에 있다. 봉용원(峯聳院) 현 남쪽 5리에 있다.

【교량】 신교(薪橋)ㆍ사읍교(沙邑橋).

【불우】 가야사(伽倻寺) 가야산에 있다. 수덕사(修德寺) 덕숭산(德崇山)에 있는데 이 절에 취적(翠積)ㆍ불운(拂雲) 두 누각이 있다. 서림사(西林寺) 상왕산에 있다. 용연사(龍淵寺) 가야산에 있다. 수암사(水菴寺) 팔봉산에 있다. 운암사(雲菴寺) 상왕산에 있다.

【사묘】 사직단 현 서쪽에 있다. 문묘 향교에 있다. 성황사 현 동쪽 3리에 있다. 가야갑사(伽倻岬祠) 현 서쪽 3리에 있다. 신라 때에 이를 서진(西鎭)으로 삼아 중사(中祀)로 기록되어 있는데, 본조에서는 그 고을로 하여금 춘추로 제사하게 하였다. 여단 현 북쪽에 있다.

【고적】 이산진(伊山鎭) 고려 최영(崔瑩)이 이산(伊山)에 도절제사(都節制使)의 병영을 두도록 건의한 것인데, 본조 태종 16년에, 태안군(泰安郡)에 거둥하여 명하여 이 진영을 해미현(海美縣)으로 옮기고, 이산의 구영(舊營)은 본현의 청사로 쓰도록 하였다. 옛 덕산[古德山] 지금의 관청 북쪽 13리에 있다. 내박소(乃朴所) 주 남쪽 18리에 있다. 신곡소(薪谷所) 덕풍현()에 있다. 지금의 관청과 북쪽으로 17리 떨어진 곳이다.

【제영】 일계류수사위산(一溪流水四圍山) 안숭선(安崇善)의 시에, “한 시내 흐르는 물은 사면으로 산을 두르고 있는데, 나 홀로 맑게 갠 창 아래 누워 발[]을 걷고 내다본다.” 하였다.

 

《대동지지(大東地志)

【연혁】 본래 백제의 마시산(馬尸山)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16년에 이산군(伊山郡)으로 고쳤다. 영현(領縣)이 둘인데, 금무(今武)ㆍ목우(目牛)이다. 순조 28년에 군수(郡守)로 승격시켰다 고려 공민왕 때 최영(崔瑩)이 건의하여 이산현(伊山縣)에 도절제사(都節制使)를 세웠다. 본조 태조 2년에 병마절도사영(兵馬節度使營)으로 고쳤다가 16년에 태안군(泰安郡)으로 행차하셨을 때 해미현(海美縣)으로 영을 옮기도록 명하였는데, 이산의 옛 영이 본현의 치소(治所)이기 때문이었다.

【방면】 현내(縣內) 끝이 15. 나박소(羅朴所) 옛날 내박소(乃朴所)인데 남으로 처음은 15, 끝은 20. 대덕산(大德山) 남쪽으로 처음은 5, 끝은 10. 내야(內也) 북쪽으로 처음은 5, 끝은 20. 외야(外也) 북쪽으로 처음은 10, 끝은 20. 고현내(古縣內) 북쪽으로 처음은 10, 끝은 15. 대조지(大鳥旨) 동북쪽으로 처음은 5, 끝은 10. 장촌(場村) 동쪽으로 처음은 15, 끝은 20. 도용(道用) 동쪽으로 처음은 7, 끝은 20. 고산(高山) 동북쪽으로 처음은 15, 끝은 20. 거등(居等) 동쪽으로 처음은 20, 끝은 25. 비방곶(非方串) 동쪽으로 처음은 30, 끝은 40리인데 홍주(洪州)ㆍ합덕(合德)의 동쪽 건너에 있다.

【진도】 돈곶진(頓串津) 동쪽으로 40리에 있는데, 신창(新昌)으로 통한다. 삽교(揷橋) 동쪽으로 15리인 선화천(宣化川) 큰길에 있는데, 고려 때는 신교천(()橋川)이라 하였다.

【토산】 게[]ㆍ감[]ㆍ포초(浦草).

…………………………………………………………….

현 예산군은   

1.   예산현

2.   대흥현

3.   덕산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