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진 이, 봉지에 넣고 치과 가면 큰일나는 이유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 04. 04. 14:00 댓글 233개
사고로 이가 빠지면 빠진 자리에 넣어 치과에 가져가는 게 좋다./헬스조선 DB
야외 활동이 많아지면서 응급 상황에 처할 위험도 커졌다. 응급 상황이 생기면 보호자는 빨리 대처해야 한다고 조급해하면서 환자를 잘못 다루는 경우가 있다. 응급 상황별 올바른 대처법을 익혀두면 좋다.
◇이 빠지면 입 안에 넣어 가야
사고로 치아가 빠지면 대부분 휴지나 손수건에 싸서 병원에 가져간다. 그런데 치아가 건조해지면 치주인대 세포가 죽어서 재식할 수 없다. 치아가 뽑히면 찬 물에 헹군 뒤 빠진 자리에 밀어 넣어(입 안에 보관) 치과에 가야 한다. 만약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 어려우면 찬 우유나 생리식염수에 담가서 한 시간 안에 가져간다.
◇저혈당 쇼크에 꿀물 금지
저혈당 쇼크로 쓰러져 의식을 잃은 당뇨병 환자에게 꿀물이나 주스 등을 억지로 먹이면 안 된다.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는 기도가 막힐 위험이 있다. 이땐 즉시 구급차를 불러야 한다. 의식이 있을 때는 단 것을 먹여야 한다.
◇심근경색·뇌졸중은 구급차로
심·뇌혈관질환자를 응급실로 옮길 때는 반드시 구급차를 부르도록 한다. 구급차를 기다리는 시간이 아깝다고 환자를 승용차로 이송하면, 가는 도중에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산소 요법·기도 유지 등의 응급 처치를 할 수 없어서 심정지나 뇌 손상을 막기 어렵다.
◇화상에 얼음 대면 안 돼
화상을 당했을 때 얼음을 피부에 직접 대면 2차 감염 위험이 높다. 화상 부위는 흐르는 차가운 물로 식혀야 한다. 옷을 입은 상태이면 옷을 무리하게 벗기지 말고 그냥 둔 상태에서 찬물을 옷 위에 흘려서 열을 식힌다. 화상연고는 화상 부위 열이 다 식었을 때 발라야 한다.
'사회생활 > 건강,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산 중 손목서 '뚝' 소리나면..5년내 사망률 50% 이 병 의심 (0) | 2021.04.25 |
---|---|
소변 자주 마려워 고민이라면.. 과민성방광 예방수칙 5 (0) | 2021.04.19 |
더럽다고 파내? 귀지, 코딱지의 뜻밖의 건강효과 (0) | 2021.01.25 |
아침에 먹는 삶은 계란의 건강 효과 (0) | 2020.12.24 |
시름시름 앓는 동물들에게 비타민D 줬더니.. (0) | 2020.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