立春大吉 입춘대길 建陽多慶 건양다경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할 것이요 따스한 기운이 도니 경사가 많으리라.
父母千年壽 부모천년수 子孫萬歲榮 자손만세영
부모님 오래 사시고 자손은 길이 영화를 누리리라.
壽如山 富如海 수여산 부여해 掃地黃金出 開門百福來 소지황금출 개문백복래
산처럼 오래살고 바다처럼 재물이 쌓여라. 땅을 쓸면 황금이 생기고 문을 열면 만복이 온다.
去千災 來百福 거천재 래백복 災從春雪消 福逐夏雲興 재종춘설소 복축하운흥
온갖 재앙은 가고 모든 복은 오라. 재난은 봄눈처럼 사라지고 행복은 여름 구름처럼 일어나라.
......................................................
입춘대길
입춘 (立春)
오늘날도 일부에서 대문이나 대들보 등에
좋은 뜻의 글귀를 써서 붙인다.
내용
음력 1월, 양력 2월 4일경이며, 태양의 황경이 315°에 와 있을 때이다.
봄으로 접어드는 절후로 음력으로는 섣달에 들기도 하고
정월에 들기도 하며,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들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재봉춘(再逢春)이라 한다.
정월은 새해에 첫번째 드는 달이고, 입춘은 대체로 정월에
첫번째로 드는 절기이다.
입춘은 새해를 상징하는 절기로서,
이날 여러가지 민속적인 행사가 행해진다.
그 중 하나가 입춘첩(立春帖)을 써 붙이는 일이다.
한편, 옛날 대궐에서는 설날에 내전 기둥과 난간에다
문신들이 지은 연상시(延祥詩) 중에서 좋은 것을 뽑아 써 붙였는데,
이것을 춘첩자(春帖子)라고 불렀다.
사대부집에서는 흔히 입춘첩을 새로 지어 붙이거나
옛날 사람들의 아름다운 글귀를 따다가 쓴다.
제주도에서는 입춘일에 큰굿을 하는데, ‘입춘굿’이라고 한다.
입춘굿은 무당조직의 우두머리였던 수심방
[首神房 : 큰무당]이 맡아서 하며, 많은 사람들이 굿을 구경하였다.
이 때에 농악대를 앞세우고 가가호호를 방문하여 걸립(乞粒)을 하고,
상주(上主)·옥황상제·토신·오방신(五方神)을 제사하는 의식이 있었다.
입춘일은 농사의 기준이 되는 24절기의 첫번째 절기이기 때문에
보리뿌리를 뽑아보고 농사의 흉풍을 가려보는 농사점을 행한다.
또, 오곡의 씨앗을 솥에 넣고 볶아서 맨 먼저 솥 밖으로
튀어나오는 곡식이 그해 풍작이 된다고 한다.
戊戌年 立春帖 봄이 온 천지에 가득하면
복이 온 집 안에 가득하다
입춘2018년도 2월 4일 18시28분부터 시작
인류는 자연조건을 활용하려는 욕망으로
우선 밤과 낮 달과 태 양의 변화 현상과
그 주기를 읽어내려고 했다
동양은 달을 중심으로 물때를 맞춘 음력이고
서양은 태양의 영향을 받아 생육한 태양력을 창안했다
동양에서도 태양의 현상을 적용할
필요성을 인식해 만든 것이 개 절 기력이다
해정 박종길님
[2018년 입춘]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
예전부터 1년은 춘, 하, 추, 동 4계절로 나뉘는데요.
간격으로 등분해 24절기로 나눕니다.
24절기 중 입춘은 첫 번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해당하는데요. 입춘(立春)이란 말 그대로,
봄의 시작을 알리는 새해 첫 절기를 의미한답니다.
◐2018년 24절기 (二十四節氣)
◐2018년 24절기 (二十四節氣) | |||||||
봄 (春) | |||||||
절기 양력 음력 절입시간 특징 | |||||||
입춘 (立春) 2018년 02월 04일 2017년 12월 19일 07시 34분 봄의 시작
|
'글,문학 > 舍廊房'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 명절이 시작되었습니다 (0) | 2018.02.15 |
---|---|
[스크랩] 전우가 남긴 한마디 & 김남조 - 무명 영령은 말한다 & 모윤숙 -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0) | 2018.02.11 |
새해엔 황금개로 복 많이 (0) | 2018.01.07 |
무술년 새 희망아 솟아라 (0) | 2018.01.02 |
'반갑다 2018년' 새해 첫 일출 (0) | 2018.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