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득관(爲氣得官)
[요약] (爲: 할 위. 氣: 기세 기. 得: 얻을 득. 官: 벼슬 관)
기세로 벼슬을 얻었다는 뜻으로, 대원군에게 호기를 부려 금위대장에 오른 이장림의 고사에서 유래함. 남자는 마땅히 기개가 있어야 큰일을 할 수 있다는 의미로 쓰임.
[문헌] 일성록(日省錄), 고종기사(高宗記事)
[내용] 조선 말기의 왕족인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은 조선왕조 제14대 영조의 현손 남연군 구(南延君 球)의 넷째아들이며, 제26대 고종의 아버지이다. 세간에서는 대원위대감(大院位大監)이라 불렸다.
이하응은 1843년(제24대 헌종 9년) 흥선군(興宣君)에 봉해지고, 도총관(都摠管) 등 한직(閑職)을 지내면서 안동김씨(安東金氏)의 세도정치 밑에서 불우한 생활을 하였다. 왕족에 대한 안동김씨의 감시가 심하자 보신책(保身策)으로 불량배와 어울려, 파락호(破落戶)로서 궁도령(宮道令)이라는 비칭(卑稱)으로까지 불리며 안동김씨의 감시를 피하는 한편, 제25대 철종이 후사(後嗣)가 없이 병약해지자 조대비(趙大妃-헌종의 대비)에 접근하여 둘째 아들 명복[命福: 고종의 아명(兒名)]을 후계자로 삼을 것을 허락받았다.
1863년 철종이 죽고 조대비에 의해 아들 명복이 12세에 제26대 고종으로 즉위하자 이하응은 대원군(大院君)에 봉해지고 어린 고종의 섭정(攝政)이 되었다.
이하응이 젊었던 시절, 몰락한 왕족으로 기생 춘홍(春紅)의 집을 드나들던 어느 날, 술집에서 추태를 부리다 옆자리에 있는 금군별장[禁軍別將-조선 중기 이후 국왕의 친병(親兵)을 통솔한 무관직(武官職)] 이장렴(李章濂)과 시비가 붙게 되었다.
화가 난 이하응이
"그래도 내가 왕족이거늘 일개 군관이 무례하다!"라고 소리쳤다.
그러자 이장렴이 이하응의 뺨을 후려갈기며 호통을 쳤다.
“그래, 당신 말대로 한 나라의 종친이 기생집에나 드나들면서 왕실의 체통을 더럽히고 있으니, 나라를 사랑하는 뜻에서 내가 주먹으로 당신을 다스리는 것이오.”
이에 이하응은 말문이 막혀 아무 소리 못하고 그 자리를 빠져 나갔다.
이하응이 대원군으로 섭정하던 어느 날 이장렴을 운현궁(雲峴宮)으로 불렀다.
이장렴은 살아남지 못할 것 같은 각오로 가족에게 유언까지 하였다고 한다.
이장렴이 방에 들어서자 흥선대원군은 눈을 부릅뜨면서
"자네는 이 자리에서도 내 뺨을 때릴 수 있겠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이장렴은
“대감께서 지금도 기생 춘홍이 집에서 하던 것과 같은 행동을 하신다면 이 장렴의 손을 이장렴의 마음이 억제하지 못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하하하 장부답구려, 별장의 기백을 내가 사리다."
체격은 작지만 통이 큰 화통한 남자 이하응이었다.
술상을 들이도록 하여라!”라고 하여 이장렴을 극진히 대접하였다.
이장렴이 돌아갈 때 흥선대원군은 하인들에게
“금위대장(禁衛大將) 나가시니 앞을 물리고, 중문(中門)으로 모시도록 하여라!”라고 하였다.
이 중문이 노락당(대원군 거처)으로 들어가는 문이다. 흥선대원군을 만나 뜻을 이룬 방문객들은 이 문으로 나가도록 했다고 한다. 그래서 이 문을 등용문이라고도 한다.
그날로 이장렴은 금위대장으로 임명된 것이다.
'글,문학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제투금(兄弟投金) (0) | 2016.05.25 |
---|---|
殺身成仁(살신성인) (0) | 2016.05.25 |
知者不失人(지자불실인) (0) | 2016.05.24 |
면귀심수(面鬼心水) (0) | 2016.05.23 |
可卷而懷(가권이회) (0) | 2016.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