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몸병’ 못 다스리면 ‘온몸병’ 된다
24일 잇몸의 날… 치주병과 다른 질환과의 관계
협심증 - 동맥경화 발생률 높여… 폐렴 4.2배나↑
치태 - 치석 제거후 잇몸약 복용하면 개선효과 커
24일은 잇몸의 날. 잇몸이 아프면 온몸이 아프다. 잇몸에 번식하는 세균이 체내를 돌아다니며 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치주병을 앓는 한 환자가 치과 치료를 받고 있다. 사진 제공 대한치주과학회 |
○치주병 환자 심혈관 질환 위험 25%나 높아
치주병과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질환은 협심증, 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 등과 같은 심혈관 질환이다. 치주병을 가진 환자들은 정상인보다 심혈관 질환 위험이 25%나 높았고 특히 25∼49세 남성은 70%나 높았다.
잇몸이 오랜 기간 세균에 감염되면 우리 몸은 세균 증식을 막기 위해 방어기제를 작동시킨다. 결국 구강뿐 아니라 혈액 내에도 백혈구 수가 증가한다. 백혈구와 더불어 혈액량도 늘어나 혈관폐색 등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혈액 응고 인자도 많아져 혈액이 끈끈해진다.
치주병은 혈관 벽이 두꺼워지면서 생기는 동맥경화증도 유발한다. 치주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이 혈액을 타고 돌아다니며 혈관 벽을 손상시킨다. 손상된 혈관 벽을 회복시키기 위해 단핵구라는 세포가 혈관에 침투하게 된다. 이 세포는 혈관에 염증반응을 증가시켜 혈관을 좁게 만든다. 바로 단핵구동맥경화증이다.
치주병은 당뇨환자의 혈당 조절도 방해한다. 치주병을 앓고 있으면 음식을 씹기가 불편해 섬유질 섭취가 줄어든다. 그 대신 소화하기 쉬운 지방, 당류의 섭취가 늘어나 당뇨를 악화시킨다. 치주병의 원인 세균이 혈액을 감염시키고 이로 인해 혈당이 높아져 당뇨병 발병률도 높아진다.
2009년 뉴욕대 치대 연구팀의 자료에 따르면, 치주병이 없는 사람의 63%가 당뇨병 고위험군이었지만 치주병이 있는 사람은 93%였다. 치주병 환자들은 반드시 당뇨 검진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거꾸로 당뇨합병증으로 치주병이 나타나기도 한다. 당뇨환자는 혈당조절능력을 상실해 소변으로 당과 함께 정상치보다 많은 수분을 배출한다. 이에 따라 구강이 건조해지면서 상처가 잦고 세균의 집합소가 된다. 또 침 안의 당도가 높아져 세균 번식에 좋은 환경이 된다. 당뇨환자는 정상인보다 치주병에 걸릴 확률이 3배나 높으며, 특히 당뇨합병증을 가진 환자는 합병증이 없는 환자에 비해 치주병 발생빈도가 5배나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금연은 기본, 올바른 칫솔질 배워야
올바른 칫솔질도 중요하다. 반드시 치간칫솔을 사용하여 치아 사이와 칫솔이 닿지 않는 사각지대를 말끔히 닦아준다. 치주병은 심한 통증이 없이도 질환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최소 6개월에서 1년에 한 번씩 치과에 가 전반적인 구강검진을 받아야 한다. 심하지 않은 잇몸염증은 치태, 음식물 찌꺼기와 치석 등을 제거하는 스케일링으로도 치료가 된다. 만약 잇몸염증이 악화되었을 때는 치아 뿌리 깊숙한 곳까지 침투한 치태, 치석과 염증조직을 긁어내 치아 뿌리를 매끄럽게 해주는 치주소파술로 호전될 수 있다.
치과 치료와 더불어 잇몸약을 함께 복용하면 치료효과가 높다. 류인철 서울대 치과병원 치주과 교수(대한치주과학회 부회장)는 “스케일링 등 치주병 치료법과 함께 잇몸약을 복용하면 치주질환을 좀 더 빠르게 개선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우경임 기자 woohaha@donga.com
'당뇨조절 > 당뇨상식및 발병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잇몸질환 ! 방치하다가는 큰 코 다칠 수 있어 (0) | 2010.08.24 |
---|---|
고령출산, 혈압-혈당을 잡으세요 (0) | 2010.08.24 |
담배 끊을 땐 당뇨병 조심 (0) | 2010.08.24 |
“간 수치 높으면 당뇨병 위험 커” (0) | 2010.08.23 |
제왕절개 출산아, 소아당뇨병 위험 (0) | 2010.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