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 禪匠을 찾아서
원담스님 <현 덕숭총림 방장>
“간화선의 핵심은 발심이야…”
“간화선이 제일 수승한 수행법이야. 발심(發心)을 해야 돼”
덕숭총림 방장 원담(圓潭)스님은 최근 일부에서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간화선 수행법에 대해 “발심을 얼마만큼
잘 했느냐가 그 사람의 수행정진을 좌우한다”면서 정진
을 당부했다. 올해 일흔일곱의 연세에도 불구하고 강건한
법체를 보존하며, 후학과 불자들에게 법향(法香)을 훈습
(薰習)시키고 있는 원담스님을 친견했다. 지난 10일 새해
를 맞아 덕숭총림 수덕사를 찾았다. “추운데 어떻게 왔어”
라며 반갑게 맞이한 원담스님에게 이 시대 불교인의
자세와 수행에 대해 들었다.
며칠전 내린 폭설로 수덕사 가는 길이 쉽지 않다.
아스팔트길에는 추위에 얼어붙었던 눈들이 햇볕을 받으며 조금씩 해동(解凍)
하는 조짐을 보였지만, 응달에 남은 빙설(氷雪)이 가는 길을 더디게 했다.
“스님 건강해 보이십니다. 비결이 있으십니까” “나는 건강 비결 없어. 밥 갖다
주면 밥 먹고, 옷 갖다 주면 옷 입고, 물 갖다 주면 물 먹고, 졸리면 자고, 그것
밖에 없어” 스님은 돋보기 없이 신문을 읽고, 포행도 할 만큼 건강하다.
- 간화선의 핵심은 무엇입니까.
“간화선의 핵심은 ‘발심(發心)’이지. 발심. 발심. 발심을 얼마만큼 했느냐가 그
사람의 수행정진을 좌우하는 거야”
- 간화선을 공부하는 방법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
“그것도 발심이지.”
원담스님의 답은 명료했다. 짧은 문답 속에 스님은 발심이라는 단어를 다섯
차례나 들 정도로 간화선 공부에 있어 발심이 중요함을 역설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일부에서 간화선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질문을 드렸다.
화두가 생명…생명처럼 지켜야
- 간화선이 문제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나는 그런 소리 못 들어 봤어.”
- 간화선이 제일 수승한 공부입니까.
“음. 그렇지. 그리고 공부하기가 제일 쉽지.”
- 간화선을 공부하는 방법을 몰라 어려운것 같습니다.
“제대로 발심을 안해서 그렇지. 발심이 됐으면 제일 쉬운거야.”
원담스님은 출가자뿐 아니라 재가불자들도 생활 속에서 간화선 공부를
하는 게 좋다고 권유했다. ‘이뭐꼬’ 화두를 들고 항상 화두를 참구하면
수행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화두를 들면 좋은 점은 무엇인지”를
여쭈었다. 그러자 스님은 곧바로 목소리를 높여 말했다. “화두가 곧
생명이야. 생명을 어디에 비교할 수 있남. 생명을 지키는 겨. 자기의
생명이여. 화두가.”
- 생명처럼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화두를 잘 참구하지 못하는 것은 간화선이
어렵기 때문 아닙니까.
“아니, 발심이 철저하게 안돼서 그렇지.”
- 부처님도 저자거리로 나와 중생을 제도했는데, 수좌(首座)들도 사회로
나와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중생들 해달라는 대로 다 해주면 언제 공부할 시간이 있간디.”
스님은 수행하는데 있어 먼저 ‘자기공부’가 철저해야 함을 강조했다.
스스로 공부가 제대로 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다른데 신경을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이다. 이어 원담스님은 “어묵동정(語默動靜)
행주좌와(行住坐臥)가 모두 공부하는 순간”이라면서 “따로 가르칠
것도 없다”고 말했다.
- 철마다 결제를 하는 것은 어떻게 봐야 합니까.
“몸뚱이는 머리가 있구, 다리도 있구, 귀도 있구, 입두 있구, 콧구멍도
있어. 그런데 뭘로 걸어 댕겨. 사람이 몸뚱이를 끌구 댕기려면 뭐가
필요하겠어.”
질문을 받은 스님이 다시 기자에게 생각을 물었다. 우답(愚答)임을 각오
하고 의견을 드러냈다. “일단 다리가 있어야 하고, 몸을 끌고 다니려면
마음도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그래서 그렇다 이 말일세.” 경허(鏡虛)
만공(滿空) 스님의 선풍을 계승하고 덕숭총림만의 어른이 아니라
한국불교계의 ‘어른’으로 후학들의 귀감이 되고 있는 원담스님은 당신의
생애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스님은 평생 참선을 통해 용맹 정진했다.
경허·만공스님의 선풍이어
- 정진해오시면서 공부하는데 어려움은 없으셨습니까.
“공부하는데 어려움이 많지. 졸음이 와서 어렵고, 망상이 많이
나와서 어렵고, 태타(怠惰)하고 싶은 생각을 잊느냐고 어렵고...
그런 생각이지.”
- 어려움을 어떻게 풀어 내셨는지요.
“가만 뒀어. 그러니 다 해결됐어.”
- 경전을 보는 것도 화두만큼 공부에 도움이 됩니까.
“아니지. 그건 망상이지.”
- 경전을 본 다음에 화두를 드는 것은 어떻습니까.
“경전보고 싶으면 (게으름 피지 말고 빠짐없이) 다 보고 (참선을)해야지.”
- 경전을 보면서 화두를 드는 것은 바른 공부인지요.
“그것도 옳은 방법이지”
의문이 들었다. 스님의 말씀이 경전을 보라는 것인지, 아닌지.
다시 원담스님께 질문을 드렸다.
- 방금 전에는 그릇된 방법이라고 하시지 않으셨습니까.
“아까는 아까대로, 지금은 지금대로 옳은 방법이지.”
기자가 고개를 갸우뚱하자, 시자 법보스님이 이해를 도왔다. “방장스님께서는
처음부터 경전을 보면 망상을 피운다고 하십니다. 그래서 저도 처음에는 많
이 혼 났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경전을 보아도 뭐라고 하시지는 않습니다.”
수행자는 불자들의 정진을 경책하고, 바른 길로 인도(引導)하는 이 시대의
스승이다.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불자들은 어떤 길로
가야할지, 그리고 통일의 과제를 안고 있는 우리나라는 어디로 가야할지
를 물었다.
자가(自家)통일이 돼야 남북통일
- 불자들에게 하시고 싶은 말씀은 무엇이신지요.
“내가 이 말은 꼭하고 싶어. 뭐냐면 발심이여.” 부처님 법을 제대로
배우고 실천하려면 무엇보다 발심이 중요하고 발심을 수행까지 연결하려면
화두를 들고 참구하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라는 게 원담스님의 뜻이다.
-민족 문제 가운데 제일 중요한 것이 남북통일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통일은 남북통일도 있고 ‘자가(自家)통일’도 있는데, 자가통일이 돼야
남북통일이 돼.” 모든 사람들이 자기 공부에 충실할 때 비로소 남북통일이
가능하다는 것이며, 남북통일은 반드시 되니 너무 앞서지 말고, 스스로의
공부에 충실 하라는 것이다.
-올해 창간43주년을 맞아 주2회 발행에 들어간 불교신문에도 한 말씀 주
십시오
.
“불교신문이 할 일이 참으로 많아. 불교신문은 이 나라 국민의 태양이야.
어디에 비유할 수 없을 만큼 태양이야.”
염화실 밖으로 나오니, 햇살이 더욱 따듯하게 느껴졌다. 눈도 제법 녹았다.
수행자의 삶은 안으로는 철저하게 엄격하면서도, 밖으로는 훈기(薰氣)를
주는 것이리라. 대웅전 처마에 달린 풍경이 겨울바람과 함께 소리를 낸다.
원담스님이 말하는
나의 은사 벽초스님
“그 놈을 데려와라”
“은사인 벽초(碧超·덕숭총림 2대 방장)스님은 평생 일만 하다가 몸을
마치셨지. 전국에서 우리스님 만큼 승속 간에 애써서 정진한 이가
없으리라 생각해. 참 철저했어. 뭘로 표현 할 수 없을 만큼 철저했어.
존경할 만한 스님이였어. 그 스님을 보면 교훈이 따로 필요 없어.
행주좌와 어묵동정이 다 교훈이었지.
언젠가는 한번 건넌방에 있는데 ‘이리와라’고 말씀을 하시더라고.
그래서 대답을 했지. ‘오라고 하십니까.’ 그러자 은사스님이 ‘내 말이
들리느냐’고 다시 말하시데. 또 대답을 했지. ‘들립니다.’ 그러자
우리스님이 뭐라고 하신지 알아. ‘그 놈을 데려와라’ 순간 어찌할 수
없었어. ‘그 놈’이 분명히 있기는 있는데, 데려 가려면 데려 갈 놈이
없어. 갖다 바칠래야 바칠 것이 없어.
벽초스님이 다른 스님들과 함께 절 밭에 나가 운력을 하시는데, 점심공양
때가 되었는데도 혼자 오시지 않는 거야. 그래서 밭에 가보면 괭이 들고
그대로 서 계신거야. 정진삼매에 빠져 있더라고. 참 철저하게 수행하셨지.”
원담스님은…
만공스님께 전법게 받아
1
926년 전북 옥구에서 태어난 원담스님의 세속 이름은 김몽술(金夢述).
모친의 꿈속에서 스님이 나타나 이름을 지어주었다고 한다. 스님은 일곱
살 되던 1933년 벽초스님을 은사로, 만공스님을 계사로 불문(佛門)에 들었다.
만공스님에게 전법게(傳法偈)를 받은 후 덕숭총림의 지금이 있게 가람을
수호하고 산중화합에 앞장섰다. 현재는 덕숭총림 3대 방장과 조계종
원로의원으로 있다. 상좌로 설정(전 중앙종회 의장)스님과 법장
(총무원장)스님 등이 있다.
* 스님이야기 출처: 불교신문의 <금주에 만난 우리스님>
'불교이야기 > 수사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덕사출신스님원담스님 <덕숭총림 방장> (0) | 2008.01.26 |
---|---|
수덕사출신스님원담스님 <덕숭총림 수덕사 방장> (0) | 2008.01.26 |
수덕사출신스님-벽초 경선스님 (제2대 덕숭총림 방장) (0) | 2008.01.26 |
수덕사출신스님-혜암 현문스님 (제1대 덕숭총림 방장) (0) | 2008.01.26 |
수덕사출신스님-만공월면 (0) | 2008.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