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백산 성혈사 나한전
정면 3칸의 분합문
어칸 분합문. 극락의 연못에는 연꽃.연잎.가재.개구리.물고기.두루미. 물총새.연잎위의 동자승 등등등...
좌협칸 분합문.
화병에 탐쓰럽게 활짝핀 모란이.
물새 한마리가 물고기를 입에물고...
두루미 한마리가 연못에서 어슬렁 어슬렁...
주장자를 잡고 연잎위에서 한가로이 동자승이...
연잎위에서 개구리가 햇?을 쏘이며 ..
아직 피어나지 않은 오므려진 연잎과 활짝핀 연꽃
소백산 성혈사 경북 영주시 순흥면 덕현리 277번지
♧꽃살문♧ ♧♧꽃살문♧♧ ♧♧♧꽃살문♧♧♧
법당은 진리로 가득 채워져 있는 집이라는 뜻이다. 법 즉, 진리를 깨우치는 전각이요,
특정한 부처님의 세계를 그 작은 공간 속으로 옮겨 함축성 있게 묘사한 건물이다.
법당, 그 곳엔 꽃 비 날리고 그지 없는 향, 용들이 여의주를 나투며, 학과 봉황이 노닐며
천인들이 공후와 생황으로 공양을 올리며, 동, 식물, 물고기,곤충, 어패류 들이 모여
한가로이 시간을 초월하고 있다.
법당이 화려함의 극치를 이룬 것도 속세에 베풀 극락 정토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법당 문, 이문은 색계와 무색계와의 경계의 지점, 즉 이문을 지나는 사람들은 탐욕과
번뇌를 털어 버리고 깨끗한 마음으로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법당 문 중에서도 꽃살문 ,이 문은 불전에 바치는 공화 (供花)의 마음을 담고 있다.
단순히 여닫는 일상 수단의 문인 동시에 부처님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이다.
이법당 꽃살문의 무늬는 연꽃, 모란, 매화, 장미, 국화, 무궁화 등 모양이 다양하다.
굴마라(봉오리),분타리( 만개),연 잎, 동자상, 학 ,물총새, 개구리, 자라,게, 소라,
나비 ,물고기 등이 조각되어 더욱 극치를 이루고 있다.
꽃살문의 꽃은 대개 3개의 크고 작은 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3개의 원은 시간(三世)을, 꽃과 꽃을 이어주는 대각선은 공간(十方)을 뜻한다.
시공을 넘어 끝도 없이 회전 하면서 연기(緣起)의 세계를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정교하게 빚은 꽃살문의 형태와 빛깔 그 자체가 깨달음이라는 저~화엄의 세계,
만다라의 세계를 시각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 만다라의 세계, 진리의 세계로 들어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門
이문을 열고 들어 가는 그 자체가 이미 부처님 세계로의 진입을 의미한다.
이 법당 문짝에 꽃문늬을 새기는 것은 부처님을 찬미하고 공경하는 애틋한 정을
바치는 마음의 발로인데, 생화는 곧 시들고 종이로 만든 꽃은 쉽게 변하지만,
나무로 꽃살문을 만들어 법당 문을 화려하게 장식하게 된 것이다.
門 (창호)
◈어간. 협간. 툇간 (四합. 三합.분합. 외짝문), 교창
◈띠살. 정자살. 빗살. 소슬빗살. 살창. 귀갑문양 . 左,右旋 卍字문양.
◈연꽃 , 잎. 줄기. 소용돌이형. 모란. 장미. 국화. 무궁화. 매화. 난초. 금강저
아름다운 꽃살문양으로 장식된 사찰.
마니산 정수사, 소백산 성혈사, 작봉산 쌍계사, 능가산 내소사, 설악산 신흥사,
조계산 선암사, 팔공산 동화사, 공산 북지장사, 영축산 통도사 , 노악산 남장사,
금정산 범어사, 함월산 기림사, 사불산 대승사, 무등산 증심사, 모악산 불갑사.
방장산 실상사, 모악산 금산사, 두륜산 대흥사, 영축산 옥련암, 천성산 미타암.
월악산 덕주사, 소백산 용문사, 월류산,영명사, 비봉산 죽장사, 팔공산 부인사.
복우산 대둔사.
'문화,예술 > 이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호의 아름다움 (0) | 2007.12.09 |
---|---|
이미지 자료 (편집용 자료) (0) | 2007.12.08 |
소백산 성혈사 나한전 꽃살문 (0) | 2007.12.03 |
초겨울에 핀 선인장 꽃" (0) | 2007.12.03 |
국화 예술의 극치 (0) | 2007.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