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조절/당뇨조절및 치료

당뇨 환자 270만명’에 손 놓고 있는 정부

淸潭 2007. 5. 14. 16:11

 ‘당뇨 환자 270만명’에 손 놓고 있는 정부

 

국내 糖尿病당뇨병 환자 수가 2003년에 270만명에 달했다고 한다. 성인 인구의 7.75%다. 세계보건기구는 작년 한국의 당뇨환자가 2025년 무렵이면 676만명에 이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당뇨로 인한 사망률은 1985년 10만명當당 5명꼴이던 게 지금은 35.3명으로 늘어났다.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다. 식습관이 크게 다르지 않은 일본(10만명당 5.9명)과 견줘도 6배나 된다. 한국이 ‘당뇨 王國왕국’이 돼 버린 것이다.

당뇨병은 처음엔 증세가 미약해 환자의 절반은 병이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지낸다. 당뇨병 진단을 받아도 초기엔 그럭저럭 견딜만 하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보기 십상이다. 하지만 증세가 심해지면 뇌졸중·실명·치아상실·심근경색 등의 合倂症합병증이 생기게 된다. 개인 생활은 망가지고 가정도 만신창이가 된다. 합병증 진료비는 한해 1000만원 이상 든다니 국가적 부담도 보통일이 아니다.

사실 당뇨는 소변검사·혈액검사만 제대로 받아도 일찍 발견할 수가 있다. 초기 당뇨는 규칙적인 운동과 식이요법만으로도 큰 탈 없이 관리할 수 있다. 미국은 2004년 ‘아메리카 당뇨 선언’을 통해 국가적인 당뇨 早期조기검진과 계몽운동을 펴고 있다. 일본 역시 ‘건강 일본 21’ 계획을 통해 적정 체중 유지, 합병증 발생 줄이기 등 10가지 정책을 시행 중이다. 유럽은 1989년 ‘세인트 빈센트 선언’을 통해 당뇨에 대한 국가 간 연합대응 시스템까지 갖췄다.

우리나라에선 매년 20만~30만명씩 새 당뇨병 환자가 생겨나고 있다. 그런데도 당뇨 대책은 시·군·구 보건소에서 주민 대상으로 여는 ‘당뇨 교실’ 빼고는 이렇다 할 게 없다. 환자 수가 40만명인 癌암 질환에 대해선 정부가 매년 1000억원의 早期조기진단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면서 말이다. ‘당뇨 王國왕국 한국’이란 이름은 부끄럽기만 한 것이 아니라 국민의 건강은 물론 나라의 장래까지 위협하게 될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