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문학/漢詩

규원4수 〔閨怨 四首〕

淸潭 2025. 2. 6. 20:26

규원4수 〔閨怨 四首〕

동명집 제2 / 칠언절구(七言絶句) 174

 

옥문관은 아득 멀어 소식조차 안 오는데 / 玉關迢遞闕音塵

물가에는 파릇파릇 풀빛에 봄 물들었네 / 河畔靑靑草色春

구름 보니 천 리 밖에 아득하니 멀거니와 / 却望秦雲千里遠

망행인곡 뜯는 소리 어이 견딜 수 있으랴 / 可堪弦上望行人

 

남편 이에 서쪽 변경 가서 무황 섬기거니 / 夫婿西遊事武皇

감천궁의 궁전에서 우림랑이 되었다네 / 甘泉殿上羽林郞

꽃향기를 보내려나 산과 시내 멀거니와 / 馨香欲寄山川遠

뜨락 자란 꽃나무잎 시들어 가 탄식 나네 / 歎息庭中奇樹黃

 

누각 위의 고운 기생 분단장을 하였는데 / 樓上娥娥紅粉粧

막 혼인한 새신랑은 어양에서 보초 서네 / 新婚夫婿戍漁陽

시어미께 맛난 음식 못 올릴까 늘 걱정돼 / 養姑常恐闕甘旨

봄날에 성 남쪽 나가 뽕잎 따서 돌아오네 / 春日城南來採桑

 

서북쪽의 높은 누각 뜬구름 위 솟았는데 / 上入浮雲西北樓

홀로 앉은 고운 사람 정히 수심 머금었네 / 佳人獨坐正含愁

옥거문고 손에 들고 상사곡을 타거니와 / 玉琴爲奏相思曲

진천 땅의 농수 물에 애간장이 끊기누나 / 腸斷秦川隴水流

 

[-D001] 규원(閨怨) :

젊은 부인의 애원(哀怨)을 소재로 하여 읊은 시를 총칭하는 말로, 〈규원시(閨怨詩), 〈규원사(閨怨詞)〉 등이 있으며, 왕창령(王昌齡)과 유신(庾信)의 작품이 유명하다.

[-D002] 망행인곡(望行人曲) :

악부 횡취곡사(橫吹曲辭)의 곡 이름으로, 당나라 왕건(王建)과 장적(張籍)의 작품이 유명하다.

[-D003] 감천궁(甘泉宮) :

섬서성(陝西省) 감천산(甘泉山)에 있는 한나라 때의 궁전으로, 본디는 진()나라의 궁궐이었는데, 한나라 무제(武帝)가 증축하였다. 한 무제가 이곳에서 제후 왕들의 조회를 받고 외국의 사신들에게 잔치를 열어 주었다.

[-D004] 꽃향기를 …… 나네 :

고시(古詩)에 이르기를뜨락에는 고운 나무 자라나 있어, 잎 푸르고 꽃은 활짝 피어 있다네. 나뭇가지 잡고서는 꽃가지 꺾어, 그리운 님 있는 곳에 보내려 하네. 그 꽃향기 소매 가득 들었으나, 길 멀어서 보내 줄 길이 없구나. 이런 꽃이 귀할 것이 뭐가 있으랴, 이별 한만 되레 더욱 들게 하는걸.〔庭中有奇樹 綠葉發華滋 攀條折其榮 將以遺所思 馨香盈懷袖 路遠莫致之 此物何足貴 但感別經時〕하였다. 《文選 卷15

[-D005] 어양(漁陽) :

하북성(河北省) 소속의 고을 이름인데, ()나라 때 진승(陳勝)이 이곳에서 수자리를 살다가 반란을 일으켰으며, 당나라 때에는 안녹산(安祿山)이 이곳을 근거로 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D006] 진천(秦川) …… 끊기누나 :

진천은 섬서성(陝西省)과 감숙성(甘肅省)의 진령(秦嶺) 이북으로, 춘추 시대에 진()나라에 속했던 곳이라 이렇게 부른다. 농수(隴水)는 섬서성의 농현(隴縣) 서북쪽에 있는 농산(隴山)에서 발원하는 물인데, 이 지역은 중국 서쪽 변경의 요해처이므로 흔히 변경 지방에 있는 물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