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丘永言 2/3
靑丘永言 2/3 청구영언 셋 가운데 둘째 ※ 1728년(영조4년) 伯涵 南坡 金天澤
藥泉 약천 ※남구만(1629~1711)
南九萬字雲路號藥泉 남구만자운로호약천
남구만 자는 운로 호는 약천
孝李廟朝登第官至領相奉朝賀 효이묘조등제관지영상봉조하
효종 때 과거에 올라 벼슬이 영의정에 이르러 봉조하가 된다
203
東窓이 갓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쇼칠 아 여태 아니 니러냐 소 먹일 아이는 여태 아니 일어났나
재너머 래 긴밧츨 언제갈려 니 재 너머 사래 긴 밭을 언제 갈려 하느니
柳赫然 류혁연 ※류혁연(1616~1680)
肅宗朝武科至大將 숙종조무과지대장
숙종 때 무과에 올라 대장에 이르렀다
204
셔셔늙고 드칼 보뫼거다 닫는 말 서서 늙고 드는 칼 녹슬었다
無情 歲月은 白髮을 촉니 정 없는 해와 달은 흰머리 재촉하니
聖主의 累世鴻恩을 못가플가 노라 임금님 오랜 큰 베풂 못 갚을까 하여라
定齋 정재 ※박태보(1654~1689)
朴泰輔字士元號定齋 박태보자사원호정재
박태보 자는 사원 호는 정재
肅宗朝登第官至應敎己巳三臣 숙종조등제관지응교기사삼신
숙종 때 과거에 올라 벼슬이 응교에 이르렀다 기사년의 세 신하이다
※己巳換局(1689) 三臣 吳斗寅(1624~1689) 李世華(1630~1701)
205
胸中에 불이나니 五臓이 다 간다 가슴에 불이 나니 온 속이 다 타간다
神農氏 에 보와 불 藥 무러보니 신농씨 꿈에 보아 불 끌 약 물어보니
忠節과 慷慨로난불이니 藥업다 라 올곧아 복받쳐 난불 끌약 없다 하더라
逸老堂 일로당 金盛最(1645~1713) 벼슬은 충주목사에 이르렀다
206
公庭에 吏退고 일이 아조 업서 벼슬해 자리 물려 할 일이 아주 없어
扁舟에 술을 싯고 侍中臺 자가니 얕은 배 술을 싣고 시중대 찾아가니
蘆花에 수만흔며기는 제벗인가 라 갈대꽃 수많은 갈매기 제 벗인가 하더라
207
술 야 니러안자 거믄고를 戯弄니 술 깨어 일어앉아 거문고를 갖고 노니
窓밧긔 셧 鶴이 즐겨서 넘다 창 밖에 섰는 학이 즐겨서 넘나 논다
아야 나믄 술부어라 興이다시 오노라 아이야 남은 술 부어라 흥이다시 붙는다
208
좌내집의 술 닉거든 부듸 날 부르시소 자네 집에 술 익거든 부디 날 부르시게
내집의 곳픠여든 나도 좌내 請옴 내 집에 꽃 피거든 나도 자네 불러옴세
百年 시 니즐일을 議論코져 노라 한 백년 시름 잊을 일을 나누고자 함이라
石郊 석교 金昌業(1658~1721) 벼슬하지 않고 향리에 은거함
209
거믄고술 자노코 호졋이 낫든 제 거문고술대 꽂아놓고 호젓이 낮잠 든때
柴門 犬吠聲에 반가온 벗 오도괴야 사립문 개 짖어대 반가운 벗 오는구나
아야 點心도 려니와 외자濁酒 내여라 아이야 점심 하려니와 외상탁주 내어라
210
자나믄 보라매를 엊그제 손혀 자 넘는 보라매를 엊그제 갓 손 떼어
짓체 방올 라 夕陽애 밧고나니 빼깃에 방울 달아 저문 볕 바쳐 나서
丈夫의 平生得意 잇분인가 노라 사나이 한 삶에 찾은 뜻 이뿐인가 하여라
211
벼슬을 저마다면 農夫리 뉘이시며 벼슬을 저마다해 농부할 이 뉘 있으며
醫員이 病고치면 北邙山이 져려랴 의원이 병 고치면 북망산이 저러하랴
아야 盞특부어라 내 대로 하리라 아이야 잔 가득 부어라 내 뜻대로 하리라
石湖 석호 申靖夏(1680~1715)
212
벼슬이 貴타들 이내 몸에 비길소냐 벼슬이 귀하다고 이내 몸에 비길쏘냐
蹇驢 밧비 모라 故山으로 도라오니 저는 나귀 바삐 몰아 고향으로 돌아오니
어듸셔 急비줄기에 出塵行裝 시서고 어디서 서둔 비 한줄기 나선차림 씻었네
213
諫死 朴坡州ㅣ야 주그라 셜워마라 죽기로 말한 박태보 죽는다 설워마라
三百年 綱常을 네 혼자 붓들거다 삼백년 삼강오상 네 혼자 붙들었다
우리의 聖君不遠復이 네죽긴가 노라 우리의 성군 머잖아 돌림 네 죽어서 됨이라
光齋 광재 趙觀彬(1691~1757)
214
사이 삼겨나셔 皐陶稷契 못될지면 사람이 태어나서 고요 직 설 못 될 거면
千古 往牒에 눌을 부러리 오랜 옛 내린 글에 또 누구를 부러워해
五湖에 扁舟烟月이 明哲인가 노라 오호에 범려 뱃놀이 밝음인가 하여라
215
金壇이 雄豪고 黃閣이 尊重들 장수자리 커다랗고 정승 집 높여논들
功業이 蕭條여 富貴만 량이면 이룬 일 스산하여 넉넉만 할양이면
하리 靑山綠水에 逸民이나 되오리라 차라리 푸른산 푸른물 숨은 사람 되리라
列聖御製 열성어제 역대 임금이 몸소 지음
太宗 3대 임금 李芳遠(1367~1400~1418~1422)
216
이런들 엇더며 져런들 엇더료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萬壽山 드렁츩이 얼거진들 엇더리 만수산 두렁 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치얼거져 百年지 누리리라 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
孝宗 17대 임금 李淏(1619~1649~1659)
217
靑石嶺 지나거냐 草河口ㅣ 어듸오 청석령 지났느냐 초하구 어디쯤이
胡風도 도 샤 구즌 비 무스일고 호풍도 차고 찬데 궂은비는 무슨 일로
아므나 내行色그려내여 님계신듸드리고쟈 아무나 내꼴 그려내어 님 계신데 드리면
218
朝天路 보뫼닷말가 玉河舘이 뷔닷말가 사신 길 녹슨단 말 옥하관이 빈다는 말
大明 崇禎이 어드러로 가시건고 명나라 숭정임금 어디로 가셨는가
三百年 事大誠信이 이런가 노라 삼백년 섬긴 정성이 꿈이런가 하여라
219
앗가야 사되랴 온몸에 짓치도쳐 앗가야 사람 되랴 온 몸에 깃이 돋쳐
九萬里 長天에 프드득 소사올라 구만리 먼 하늘에 푸드덕 솟아올라
님 계신 九重宮闕을 구버볼가 노라 임 계신 깊은 궁궐을 굽어볼까 하여라
肅宗 19대 임금 李焞(1661~1674~1720)
220
秋水 天一色이오 龍舸 泛中流ㅣ라 가을물 하늘 한빛 임금 배 떠서 흘러
簫鼓 一聲에 解萬古之 愁兮로다 퉁소 북 한 소리에 오래 묵은 시름 풀려
우리도 萬民리고 同樂太平 리라 우리도 온 백성 데리고 함께 느긋 즐기리
閭巷六人 여항육인 거리에 여섯 사람
張鉉 장炫(1613~?) 譯官 張禧嬪(1659~1701)의 堂叔
221
鴨綠江 진 後에 에엿분 우리 님이 압록강 해진 뒤에 어여쁜 우리 님이
燕雲 萬里 어듸라고 가시고 연나라 구름 멀리 어디라고 가시는고
봄풀이 프르고프르거든 卽時도라 오쇼셔 봄풀이 푸르고 푸르면 곧장 돌아 오소서
朱義植 주의식(?~?) 자는 道源 호는 南谷 숙종 때 柒原(현 경남 함안군 칠원읍) 현감을 지냄
222
하이 놉다고 발져겨 셔지말며 하늘이 높다하고 발 제겨 서지 말며
히 두텁다고 이지 마롤거시 땅이 두텁다고 세게 밟지 말아야지
하 놉고두터워도 내조심을 리라 하늘땅 높고 두터워도 나는 조심 하리라
223
窓밧긔 아와셔 오이 새오커 창밖에 아이 와서 오늘이 새해라 해
東窓을 열쳐보니 녜 돗 도닷다 동녘 창 밀쳐보니 옛 돋던 해 돋았다
아야 萬古니 後天에 와닐러라 아이야 오랜 옛 한 해니 먼 뒷날 와 일러라
224
말하면 雜類라고 말아니면 어리다 말하면 잡것이라 말 않으면 어리석다
貧寒을 이 웃고 富貴를 새오듸 가난을 남이 웃고 가멺을 시샘한데
아마도 이 하아레 사롤일이 어려왜라 아마도 이 하늘아래 말할 일이 어려워
225
늙고 病든 몸이 가다가 아므듸나 늙어서 병든 몸이 가다가 아무데나
절로 소슨 뫼헤 손조 밧 가로리라 저절로 솟은 뫼에 손수 밭 갈아보리
結實이 언매리마 連命이나 리라 알 맺음 얼마랴마는 목숨 이음 하리라
226
荊山에 璞玉을어더 世上사 뵈라가니 형산에 옥돌 얻어 세상사람 뵈러가니
것치 돌이여니 속 알리 뉘 이시리 겉으로 돌이어서 속 알 이 뉘 있으리
두어라 알닌들 업스랴 돌인드시 잇거라 두어라 알사람 없으랴 돌인 듯이 있어라
227
人生을 혜여니 바탕 이로다 사람 삶 헤어보니 한바탕 꿈이어라
죠흔 일 구즌 일 속에 이여니 &bsp; 좋은 일 궂은 일이 꿈속에 꿈이려니
두어라 튼人生이 아니놀고 어이리 두어라 꿈같은 한 삶이 아니 놀고 어쩌리
228
주려 주그려고 首陽山에 드럿거니 굶주려 죽으려고 수양산에 들었으니
현마 고사리 머그려 야시랴 설마 해 고사리를 먹으려 캐었으랴
物性이 구븐줄 믜워 펴보려고 미라 본바탕 굽은 줄 미워 펴보려고 캠이라
229
屈原 忠魂 에 너흔 고기 采石江에 긴고래 되야 굴원의 넋 배에 넣은 고기
채석강에 긴 고래 돼
李謫仙 등에 언 우희 올시니 이태백 등에 얹고 하늘 위에 올랐으니
이제 새고기낫거니 낙가 다 엇더리 이제는 새고기 나왔지 낚아 삶아 어떠리
230
忠臣의 속음을 그님금이 모로므로 충신의 속마음을 그 임금이 모르므로
九原 千載에 다 스러 려니와 먼 저승 오랜 천년 다 설워 하려니와
比干은 음을뵈야시니 므슴恨이 이시리 비간은 마음을 보였으니 무슨한이 있으리
231
唐虞도 죠커니와 夏商周ㅣ 더옥 죠희 요순 때 좋거니와 하은주 더욱 좋아
이제를 혜여니 어적만 거이고 이제를 생각하니 어느 때만 한 것인가
堯天에 舜日이가시니 아모젠줄 몰래라 요하늘 순의해 밝았으니 어느땐지 몰라라
余甞得見朱公道源所製 新飜一二闋 여상득견주공도원소제 신번일이결
내 일찍이 주도원 공이 지은 신번 한두 곡을 얻어 보고는
惟恨未得其全調也 一日 卞君和叔 유한미득기전조야 일일 변군화숙
그 모든 노래 얻지 못함을 뉘우쳤다 하루는 변화숙 군이
爲我得全篇以眎之 余三復遍閱 其辭正大 위아득전편이시지 여삼복편열 기사정대
나를 위하여 모든 걸 얻어서 보여주었다 내가 세 번 거듭 두루 살피니 그 노랫말이 바르고 크며
其旨微婉 皆發乎情而實有風雅之遺韵 기지미완 개발호정이실유풍아지유운
그 뜻이 살짝 나긋하여 모두 정에서 나와 참으로 풍아(시경)의 남긴 맛이 있어
使古之觀民風者采之 其亦得徹於陳詩之列矣 사고지관민풍자채지 기역득철어진시지렬의
옛날 사람들 삶을 살피던 이로 하여금 이를 따게 하면 그 또한 시 펼친 줄에 놓임 얻을 것이라
盖玩其詞而想其人 必非烟火中人也 개완기사이상기인 필비연화중인야
무릇 그 노랫말을 갖고 놀아 그 사람을 떠올리니 반드시 연기 불 속 사람이 아니다
噫公 非徒能於此也 持身恭儉 희공 비도능어차야 지신공검
아 공은 여기에서 그냥 함이 아니라 몸가짐 삼가고 수수하며
處心恬靜 逡逡有君子之風焉 처심념정 준준유군자지풍언
마음 둠 가만히 고요하여 물러서니 군자의 모습을 지녔음이다
歲戊申夏五月上澣 南坡老圃書 세무신하오월상한 남파노포서
해는 무신(1728년) 여름 5월 상순에 남파노포(김천택)가 쓰다
金三賢 김삼현(?~?) 주의식의 사위
232
늙기 셜온 줄을 모로고나 늘것가 늙기가 설운 줄을 모르고나 늙었는가
春光이 덧이 업서 白髮이 절로 낫다 봄빛이 덧없어서 흰머리 절로 났나
그러나 少年음은 감일이 업세라 그러나 어릴 적 마음은 덜은 일이 없어라
233
綠楊 春三月을 자바야 둘거시면 풋 버들 삼월 봄날 잡아매어 둘 것이면
셴머리 바내여 동혀 두련마 센머리 뽑아내어 찬찬 동여 두련마는
올도 그리못고 그저노화 보내거다 올해도 그리 못하고 그저 놓아 보낸다
234
松壇에 선 야 醉眼을 드러 보니 솔밭에 선잠 깨어 취한 눈 들어 보니
夕陽 浦口에 나드니 白鷗ㅣ로다 저녁볕 개어귀에 나드는 이 갈매기다
어즈버 이江山風景이야 어그지 이시리 어즈버 이강산 바람볕 어디 끝이 있으리
235
功名을 즐겨마라 榮辱이 半이로다 이름남 즐겨마라 펼침 욕됨 반반이다
富貴 貪치마라 危機를 니라 높아짐 찾지 마라 아슬함 밟느니라
우리 一身이閑暇커니 두려온일 업세라 우리는 이몸 느긋하니 두려운 일 없어라
236
크나큰 바회우희 네사이 閑暇롭다 크나큰 바위 위에 네 사람이 느긋하다
紫芝歌 曲調 오이야 드를런가 약노래 한 가락을 오늘에야 들으려나
이後 나나더니 五皓ㅣ될가 노라 이 뒤로 나하나 더하니 다섯노인 되려니
237
내精靈 술에 섯겨 님의 속에 흘러드러 내 얼넋 술에 섞여 님의 속에 흘러들어
九回 肝腸을 다 자 닐만졍 굽이굽이 애간장을 다 찾아 다닐망정
날닛고 向음을 다스로려 노라 날 잊고 남 바란 마음을 다 쓰라려 하여라
漁隱 어은 金聖器(1649~1724) 조선후기 거문고 명인
238
江湖에 린 몸이 白鷗와 벗이 되야 강호에 버린 몸이 갈매기 벗이 되어
漁艇을 흘리노코 玉簫를 노피 부니 고깃배 띄워놓고 옥피리 높이 부니
아마도 世上興味 잇분인가 노라 아마도 세상 재미는 이뿐인가 하여라
239
겨월이 다지나고 봄節이 도라오니 겨울이 다 지나고 봄철이 돌아오니
萬壑 千峰에 프른빗치 새로왜라 온 골짝 온 봉우리 푸른빛이 새로워라
아야 江湖에오고 낙대推尋여라 아이야 강호에 배띄우고 낚싯대찾아오너라
240
이몸이 일 업서 西湖 자가니 이 몸이 할 일없어 서호를 찾아가니
白沙 淸江에 니 니 白鷗ㅣ로다 흰모래 맑은 강에 날으는 이 갈매기다
어듸셔 漁歌一曲이 이내興을 돕니 어디서 고기잡이노래가 이내 흥을 돕느니
241
蓼花에 든 白鷗 선야 지마라 여뀌 꽃에 잠든 갈매기 선잠 깨 날지마라
나도 일업서 江湖客이 되엿노라 나도야 일없어서 강호를 찾았노라
이後 즈리업스니 너를조차 놀리라 이 뒤론 찾을 이 없으니 너를 좇아 놀리라
242
塵埃에 무친分 이내말 드러보소 티끌에 묻힌 분들 이내 말 들어 보소
富貴 功名이 됴타도 려니와 높아져 이름남이 좋다고도 하려니와
갑업슨 江山風景이 긔죠흔가 노라 값없는 강산 바람볕이 좋은 건가 하여라
243
紅塵을 다치고 竹杖芒鞋 집고신고 세상 티 다 떨치고 죽장짚신 짚고신고
玄琴을 두러메고 洞天으로 드러가니 거문고 둘러메고 골짝으로 들어가니
어듸셔 을흔鶴唳聲이 구룸밧긔 들린다 어디서 짝잃은 학울음이 구름밖에 들린다
244
玉盆에 심근梅花 柯枝 것거내니 옥 화분 심은 매화 한 가지 꺾어내니
곳도 됴커니와 暗香이 더옥 죠타 꽃이야 좋거니와 살짝 향내 더욱 좋다
두어라 것근곳이니 릴줄이 이시랴 두어라 꺾은 꽃이니 버릴 줄이 있으랴
245
구레버슨 千里馬를 뉘라셔 자바다가 굴레 벗은 천리마를 뉘라서 잡아다가
조쥭 믄콩을 지게 머겨둔들 좁쌀죽 삶은 콩을 살찌게 먹여둔들
本性이 왜양거니 이실줄이 이시랴 본바탕 제멋대로거니 있을 줄이 있으랴
余甞癖於歌 裒集 國朝以來名人里巷之作 여상벽어가 부집 국조이래명인리항지작
내 일찍이 노래에 빠져 나라 세워오면서 이름난 사람 마을거리에 지은 걸 얻어 모았다
獨漁隱金聖器之譜 往往傳誦 독어은금성기지보 왕왕전송
홀로 어은 김성기의 노래모음은 이따금 외어 알려지나
而知其全譜者鮮故 廣求而莫之得 心常恨焉 이지기전보자선고 광구이막지득 심상한언
그 오롯 모음 아는 이 드문 까닭에 널리 찾아도 얻지 못하여 마음이 늘 안타까웠다
乃者遇西湖金君重呂於文郁哉許 내자우서호금군중려어문욱재허
접때에 서호 김중려 군을 문욱재 집에서 만났는데
君卽漁隱知己也 余謂之曰 子甞從漁隱 군즉어은지기야 여위지왈 자상종어은
그는 곧 어은을 아는 이다 내가 일러 말하길 그대는 일찍이 어은을 따랐으니
其所謂永言 想多記藏者 爲我示諸 기소위영언 상다기장자 위아시제
그 이른바 노래를 많이 적어 놓음이라 생각되는데 날 위해 모두 보여주겠는가 하니
曰吾與漁隱 十數年 同遊江湖 왈오여어은 십수년 동유강호
말하길 내 어은과 더불어 십몇 년을 강에 호수에 함께 다니며
其平日叙懷寓興者 盡記而有之 기평일서회우흥자 진기이유지
그 늘 하는 날 품은 뜻 펼치어 흥 붙인 것을 다 적어둠이 있으니
其中多有油然感人者 聾俗不知故 기중다유유연감인자 롱속불지고
그 가운데 넉넉하게 사람을 움직이는 것이 많이 있으나 귀먹은 세상 알지 못한 까닭에
藏諸巾笥 以待好事者久矣 장저건사 이대호사자구의
보따리나 상자에 감추어두고 좋아하는 이 기다린 지 오래다
子言如是 玆曲 將行于世也 자언여시 자곡 장행우세야
그대가 이와 같이 말하니 이 노래 앞으로 세상에 쓰임이리라
遂歸其全篇 三復諷詠 其得於跌宕山水之趣者 수귀기전편 삼복풍영 기득어질탕산수지취자
드디어 그 모든 게 돌아와 세 번 거듭 읊어 외니 산수 즐겨 빠져 노님에 그 얻음이란 것이
自見於辭語之表 飄飄然有遐擧物外之意矣 자견어사어지표 표표연유하거물외지의의
노랫말에 드러나 저절로 보여 휘날리듯이 온갖 것 밖에 멀리 있는 뜻이다
盖漁隱 逍遙天地間一閑人也 개어은 소요천지간일한인야
무릇 어은은 온 누리사이 거닐어 다닌 한 느긋한 사람이라
凡於音律 莫不妙悟 性好江山 범어음률 막불묘오 성호강산
무릇 음악가락에 야릇함 깨치지 않음이 없었으며 바탕이 강과 산을 좋아하여
構屋于西江之上 號漁隱 晴朝月夕 구옥우서강지상 호어은 청조월석
서강 가에 집을 짓고 호를 어은이라 하였다 맑게 갠 아침 달 밝은 저녁에는
或拊琴坐柳磯 或吹簫弄烟波 狎鷗而忘機 혹부금좌류기 혹취소롱연파 압구이망기
어쩜 버들낚시터 앉아 거문고 타며 어쩜 안개 낀 물결 놀려 퉁소 불며 갈매기 불러 세상일 잊고
觀魚而知樂 以自放於形骸之外 관어이지악 이자방어형해지외
물고기 살펴 즐거움 알아 스스로 꼴 지님 밖에 내맡겼으니
此其所以自適其適 而善鳴於歌曲者歟 차기소이자적기적 이선명어가곡자여
이것이 그 즐김 절로 즐기는 그 까닭이나 노랫가락에 잘 울림이라는 것인가
歲戊申暮春旣望 南波老圃書 세무신모춘기망 남파노포서
해는 무신(1728년) 늦은 봄(음3월) 16일 남파 늙은이가 쓰다
金裕器 김유기(?~1718) 자는 大哉 조선후기 여항가객 남원출신
246
내 몸에 病이만하 世上에 리이여 내 몸에 병이 많아 세상에 버려지어
是非 榮辱을 오로 다 니저마 옳다긇다 펼침 욕됨 온통 다 잊었건만
다만지 淸閑一癖이 매 부르기 죠해라 다만이 말간 한 빠짐 매 부르기 좋아라
247
丈夫로 삼겨나셔 立身揚名 못지면 사내로 태어나서 차고 날림 못할 거면
하리 다 치고 일 업시 늘그리라 차라리 다 떨치고 일없이 늙으리라
이밧긔 碌碌營爲에 걸릴길줄 이시랴 이 밖에 그저 꾸려감에 거리낄 줄 있으랴
248
百歲를 닷못사라 七八十만 살지라도 백살을 다 못살아 일흔 여든 살지라도
벗고 굼지말고 病업시 누리다가 헐벗고 굶지 말고 병 없이 누리다가
有子코 有孫오면 긔願인가 노라 아들에 손자 있으면 바램인가 하여라
249
春風 桃李花들아 고온양 쟈랑말고 봄바람 복사 오얏 고운모습 자랑 말고
長松 綠竹을 歲寒에 보려므나 높은 솔 푸른 대를 추위 속에 보려므나
亭亭코 落落한節을 고칠줄이 이시랴 우뚝해 의젓한 곧음을 고칠 줄이 있으랴
250
唐虞 언제時節 孔孟은 뉘시런고 요순은 언제 때며 공자맹자 누구신가
淳風 禮樂이 戰國이 되야시니 순박한 예의 음악 싸움터 되었으니
이몸이 서근션븨로 擊節悲歌 노라 이 몸이 썩은 선비로 슬픈 노래 하여라
251
泰山에 올라 안자 四海를 구버보니 태산에 올라 앉아 온 세상 굽어보니
天地 四方이 훤츨도 져이고 하늘땅 온데 쪽이 훤칠도 하는구나
丈夫의 浩然之氣를 오이야 알괘라 사나이 커다란 기운을 오늘에야 알겠네
252
不忠 不孝고 罪만흔 이내몸이 불충에 불효하고 허물 많은 이내 몸이
苟苟히 사라이셔 온일 업거니와 짜잖게 살아있어 해온 일 없으면서
그러나 太平聖代에 늙기셜워 노라 그러나 어진임금 좋은 때 늙기 설워 하여라
253
오은 川獵고 來日은 山行가 오늘은 냇물잡이 이튿날은 사냥가세
곳다림 모릐고 降神으란 글픠리 꽃달임 모레하고 신내림은 글피하리
그글픠 邊射會제 各持壺果 시소 그 글피 활 겨룸모임 때 나름 들고 오세요
254
蘭干에 지혀안자 玉笛을 빗기부니 난간에 기대 앉아 옥피리 비껴 부니
五月 江城에 흣듯니 梅花ㅣ로다 오월 달 강 고을에 흐드러져 매화꽃이
曲調 舜琴에섯거 百工相和 리라 한 가락 거문고에 섞어 온갖 서로 어울려
255
景星出 慶雲興니 日月이 光華ㅣ로다 별빛 나 구름일어 해달이 비쳐 빛나
三王 禮樂이오 五帝ㅣ 文物이로다 세 임금 예의 음악 다섯 임금 문물이라
四海로 太平酒비저 萬姓同醉 리라 세상을 태평 술 빚어 온 백성 다 취하리
金君大哉 以善歌 鳴於世 曾於丙申間 김군대재 이선가 명어세 증어병신간
김대재 군은 노래를 잘해서 세상에 이름났다 일찍이 병신년(1716년) 언제
余甞造其門 叩其篋 得一編 開卷而閱之 여상조기문 고기협 득일편 개권이열지
내 일찍이 그 집을 찾아 그 상자를 열어 책 하나를 얻어 펼쳐서 살펴보니
乃自家所爲新飜也 仍要余訂正 내자가소위신번야 잉요여정정
곧 제 스스로 지은 새 노래이다 이에 내가 고쳐 바로잡아주길 바래
余曰 觀其詞 說盡情境 諧合音律 여왈 관기사 설진정경 해합음률
내가 일러 그 노랫말을 보니 마음 둔 곳을 다 말했고 소리가락에도 어울려 들어맞으니
信樂譜之絶調也 以余不才 奚容贅焉 신악보지절조야 이여불재 해용췌언
믿어 악보에 뛰어난 가락이라 내 잘하지 못함으로 어찌 군더더기를 담겠는가했다
遂相與問答而歸 一二年間 已成陳迹 수상여문답이귀 일이년간 이성진적
이윽고 서로 묻고 답해 주다가 돌아왔다 한두 해 사이에 이미 지난 자취가 돼버리니
曺子建存沒之感 至是極矣 조자건존몰지감 지시극의
조자건의 지녀 잃은 느낌이 이에 다다라 다함이다
余於是掇拾其遺曲 以布于世 傳之不朽也 여어시철습기유곡 이포우세 전지불후야
내가 이에 그 남긴 가락을 거두어 주어모아 세상에 퍼뜨려 없어지지 않게 알리려 함이다
歲戊申暮春旣望 南波老圃書 세무신모춘기망 남파노포서
해는 무신(1728년) 늦은 봄(3월) 16일 남파 늙은이가 쓰다
南坡 남파 金天澤(1690?~?) 조선후기 여항가객 청구영언의 편찬자
256
榮辱이 並行니 富貴도 不關라 펼침 욕됨 아울러가 부귀도 아니 돌봐
第一 江山에 내 혼자 님자 되야 첫째인 강산에서 나 혼자 임자 되어
夕陽에 낙싯대두러메고 오명가명 리라 저녁볕 낚싯대둘러메고 왔다갔다 하리라
257
白鷗ㅣ야 말무러보쟈 놀라지 마라스라 갈맥아 말 물어보자 놀라지 말려무나
名區 勝地 어듸어듸 렷니 이름나 빼어난 곳 어디어디 벌렸느니
날려 仔細히닐러든 네와게가 놀리라 날보고 낱낱이 일러서 너와 거기 놀리라
258
蘆花 기픈 곳에 落霞를 빗기고 갈대꽃 깊은 곳에 지는 놀 비껴 띠고
三三 五五히 섯거노 져白鷗ㅣ야 두서너 대여섯이 섞여 노는 저 갈매기
므서세 챡엿관 날온줄을 모로니 무엇에 빠졌었기에 날 온 줄을 모르나
259
南山 린 골에 五穀을 초 심거 앞산에 내린 골에 오곡을 갖춰 심어
먹고 못나마도 긋지나 아니면 먹고서 못 남아도 그치지 않다면야
그밧긔 녀나믄富貴야 랄줄이 이시랴 그 밖에 딴 남은 가멺은 바랄줄이 있으랴
260
울밋 陽地ㅅ편에 외를 허두고 울밑에 볕바른데 외씨를 흩여두고
거니 붓도도와 빗김에 달화내니 매주고 북돋우어 빗김에 달아내니
어즈버 東陵瓜地 예야긘가 노라 어즈버 동릉에 외밭은 여기인가 하여라
261
田園에 나믄興을 전나귀에 모도싯고 시골에 남은 흥을 전 나귀에 모두싣고
溪山 니근 길로 흥치며 도라와셔 시내 산 익은 길로 흥얼대 돌아와서
아야 琴書를다스려라 나믄를 보내리라 아이야 거문고책챙겨라 남은해를보내리
262
雲霄에 오로젼들 래업시 어이며 구름하늘 오르잔들 날개없이 어찌하며
蓬島로 가쟈니 舟楫을 어이리 봉래섬 가자하니 배에 노를 어찌하리
ᄎ하리 山林에主人되야 이世界를 니즈리라 차라리 산숲에 임자돼 이세상을 잊으리
263
知足이면 不辱이오 知止면 不殆라니 족함 알면 욕됨 않고 그침 알면 아슬안해
功成 名遂면 마거시 긔올흐니 공 이뤄 이름나면 마는 것이 그 옳으니
어즈버 宦海諸君子 모다조심 시소 어즈버 벼슬한 여러님들 모두조심 하시오
264
綠駬霜蹄 櫪上에셔늙고 龍泉雪鍔 匣裏에운다 이름난 말 마구서 늙고
이름난 칼 칼집서 운다
丈夫의 혜온 을 쇽졀업시 못이로고 사나이 품은 뜻을 속절없이 못 이루고
귀밋테 흰털이니니 글을 셜워 노라 귀밑에 흰털이날리니 그를 설워 하여라
265
長劍을 혀들고 다시안자 혜아리니 긴 칼을 빼어들고 다시 앉아 헤아리니
胸中에 머근이 邯鄲步ㅣ 되야괴야 가슴속 먹은 뜻이 한단걸음 되었구나
두어라 이한命이여니 닐러므슴 리오 두어라 이또한 할일이니 일러무엇 하리오
266
生前에 富貴키는 一杯酒만 것 업고 살아서 넉넉 받듦 한잔 술만 한 것 없고
死後 風流 陌上花 이여니 죽은 뒤 바람놀이 길가 꽃 뿐 이려니
므스일 이죠흔聖世에 아니醉코 어이리 무슨 일 이 좋은 성인세상 아니취해 어쩌리
267
내부어 勸盞을 덜머그려 辭讓마소 내 부어 드리는 잔 덜 먹으려 물림 마오
花開 鶯啼니 이 아니 됴흔가 꽃 피어 꾀꼴 울어 이 아니 좋은 땐가
엇더타 明年看花伴이 눌과될줄 알리오 어떻게 이듬해 꽃놀이 뉘와 할 줄 알리오
268
셜흔 날에 醉날이 몃 날이리 한 달이 서른 날에 취할 날이 몇 날이리
盞자븐 날이야 眞實로 내 날이라 잔 잡은 날이라야 참으로 내 날이라
그날곳 지나간後ㅣ면 뉘집날이 될줄알리 그날 곧 지나간뒤면 뉘네 날이 될줄알랴
269
사이 번늘근後에 다시져머 보것가 사람 한번 늙은 뒤에 다시 젊어 볼것인가
更少年 닷말이 千萬古에 업슨말이 또 젊음 있단 말이 먼 옛날에 없던 말이
우리 그런줄알므로 양 醉코 노노라 우리는 그런 줄 알므로 늘 취하고 놀아라
270
人生을 혜아리니 아마도 늣거웨라 사람 삶 헤아리니 아마도 서글퍼라
逆旅 光陰에 시름이 半이여니 나그네 맞는 세월 시름이 반이러니
므스일 몃百年살리라 아니놀고 어이리 무슨 일 몇백년 살리라 아니 놀고 어쩌리
271
世上 사들아 이내 말 드러보소 세상에 사람들아 이내 말 들어보소
靑春이 양이며 白髮이 검 것가 푸른 봄 늘 있으며 흰머리 검어질까
엇더타 有限人生이 아니놀고 어이리 어떻게 다하는 사람 삶 아니 놀고 어쩌리
272
梅窓에 月上고 竹逕에 風淸제 매화 창에 달이 뜨고 대 밭에 바람 맑아
素琴을 빗기 안고 두세曲調 흣다가 거문고 비껴 안고 두세 가락 흩어 뜯다
醉고 花塢에져이셔 夢羲皇을 놋다 취하여 꽃둑에 누워서 복희 꿈을 꾸었네
273
午睡를 느지 야 醉眼을 여러 보니 낮잠을 늦게 깨어 취한 눈 비벼 보니
밤비에 픤 곳이 暗香을 보내 다 밤비에 갓 핀 꽃이 살큼 향 보내 난다
아마도 山家에 근맛시 이죠흔가 노라 아마도 두메집 맑은맛 이좋은가 하여라
274
泰山에 올라안자 天下를 두로보니 태산에 올라앉아 온 누리 둘러보니
世路ㅣ 多岐여 어이져리 머흔게고 세상 길 갈래 많아 어찌 저리 아슬 하기
阮籍이 이러으로 窮途哭을 닷다 완적이 이러했기에 길 막혔다 울었지
275
堯日月 舜乾坤은 녜대로 잇거마 요 해달 순 하늘땅 옛 그대로 있건마는
世上 人事 어이 져리 달란고 세상에 사람 일은 어찌 저리 달라졌나
이몸이 느저난줄을 못내슬허 노라 이 몸이 늦게 난 줄을 못내 슬퍼 하여라
276
人間 번우한 일을 다주어 후리치고 세상에 귀찮은 일 다 주어 뿌리치고
康衢 烟月에 일업시 노닐며셔 거리에 좋은 세월 일없이 노닐면서
어즈버 聖化千載애 이러구러 지내리라 어즈버 거룩한 천년에 이럭저럭 지내리
277
尼山에 降彩샤 大聖人을 내오시니 니구산 빛이 내려 큰 성인 내리시니
繼往聖 開來學에 德業도 노프실샤 이어가 배움 열어 덕 된 일 높으셔라
아마도 群聖中集大成은夫子ㅣ신가노라 아마도 뭇성인에 큰이룸 공자신가 하여라
278
遏人慾 存天理 秋天에 氣象이오 욕심 눌러 참됨 지님 가을하늘 날씨이며
知言 養氣 古今에 긔 뉘런고 말 알아 기운 길러 옛 이제 그 누군가
아마도擴前聖所未發은 孟軻ㅣ신가노라 아마도 앞서 못피움넓힘 맹자신가 하여라
279
杜拾遺의 忠君愛國이 日月로 爭光로다 두보의 나라사랑 해 달하고 다퉈 빛나
間關 劒閣에 둘듸 젼혀 업서 변방 길 칼산 길에 뜻 둘 데 전혀 없어
어즈버 無限丹衷을 一部詩에 부치도다 어즈버 가없는 속마음 한쪽 시에 부치네
280
岳鵬擧의 一生肝膽이 석지아닌 忠孝ㅣ로다 악비의 한 삶 속내 썩지 않는 충효이다
背上 四字 무어시라 엿고 등 뒤에 네 글자는 무엇이라 하였던가
南枝上 一片宋日이 耿耿丹衷에 비최엿다 앞가지 한 송나라 해 마음 밝혀 비쳤다
281
北扉下 져믄날에 에엿불슨 文天祥이여 북녘 문 저문 날에 가여우니 문천상이
八年 燕霜에 검 머리 다 희거다 여덟 해 된서리에 검든 머리 다 세었다
至今히 從容就死를 못내 슬허 노라 이제껏 가만 죽어감 못내 슬퍼 함이라
282
沃野千里 긴담안헤 阿房宮을 노피짓고 들녘 멀리 긴 담 안에 아방궁을 높이 짓고
當年에 어린 은 萬歲計를 려니 그때에 어린 뜻은 만년 살려 하렸더니
어덧 陳迹이되도다 긔뉘타슬 사므리 어느덧 묵힌 터 돼버려 그 뉘 탓을 삼으랴
283
莊生의 일이 아마도 多事다 장자의 하는 일이 아마도 허튼 일이
斥鷃 大鵬을 비겨 므슴 렷고 메추리 큰 붕새에 비겨 무엇 하렸던가
두어라 物之不齊를 견훌줄이 이시랴 두어라 온갖 다 다름을 견줄 줄이 있으랴
284
賀季眞의 鏡湖水 榮寵으로 어덧거니 하지장의 경호 물은 사랑으로 얻었거니
비록 말고젼들 므슴 핑계 려니오 그 비록 말자한들 무슨 핑계 하려는가
엇더타 내의 이江山은 걸닌 곳 업세라 어떻게 내 이 강산은 걸린 곳이 없어라
285
叩馬諫 不聽커 首陽山에 드러가셔 말 끌어 말 안 듣거늘 수양산에 들어가서
周粟을 아니 먹고 츰내 餓死키 주나라 밥 아니 먹고 마침내 굶어죽어
千秋에 賊子의 음을 것거보려 홈이라 천년에 거스른 마음을 꺾어보려 함이라
金君履叔 以善唱 名國中 一洗下里之陋 김군리숙 이선창 명국중 일세하리지루
김이숙군은 노래 잘해 나라 안에 이름나서 한 번에 아랫마을 좁음을 씻고서 ※金天澤(1690?~?)
而能自爲新聲 瀏喨可聽 又製新曲數十闋 이능자위신성 류량가청 우제신곡수십결
스스로 새론 소리를 할 수 있으며 소리가 맑고 맑아 들을만하다 또 새 노래 몇십 결을 지어
以傳於世 少年習而唱之余觀其詞 이전어세 소년습이창지여관기사
세상에 알려짐으로 젊은이가 익혀서 부르는데 내가 그 노랫말을 살펴보니
皆艶麗有理致 音調節腔 淸濁高下 개염려유리치 음조절강 청탁고하
다 곱고 고와 다스림이 있었으며 소리가락 마디울림에 맑고 흐림과 높낮이가
自叶於律 可與松江公新飜 後先方駕矣 자협어률 가여송강공신번 후선방가의
저절로 가락에 맞아 송강 공의 새 노래와 더불어 앞뒤를 다투어 올릴만했다 ※鄭澈(1536~1593)
履叔 非特能於歌 亦見其能於文也 리숙 비특능어가 역견기능어문야
이숙은 노래에 썩 잘함만이 아니라 또한 글에도 그 잘함을 보였다
嗚呼 使今之世 有善觀風者 오호 사금지세 유선관풍자
아 오늘날 세상에서 바람을 잘 살피는 이가 있다면
必采是詞而列於樂官 用之鄕人 用之邦國 필채시사이렬어악관 용지향인 용지방국
반드시 이 노랫말을 골라내어 악관에 줄지어두어 고을사람 쓰게 하고 나라에서 쓰게 할 것이라
不但爲里巷歌謠而止爾 奈何徒使履叔 부단위리항가요이지이 내하도사리숙
다만 마을거리의 노래가 됨에 그치지 않았을 것이다 어찌하여 그냥 이숙으로 하여금
爲燕趙悲慨之音 以鳴其不平也 且是歌也 위연조비개지음 이명기불평야 차시가야
연나라 조나라의 슬퍼 안타까운 노래를 하게하여 그 못마땅함을 울리게 하는가 또 이 노래는
多引江湖山林放浪隱遯之語 反覆嗟歎而不已 다인강호산림방랑은둔지어 반복차탄이불이
강호수 산숲 떠돎 숨어삶의 말을 많이 끌어내어 돌려 엎쳐 탓해 한숨지음을 그치지 않으니
其亦衰世之意歟 歲戊申暮春 黑窩書 기역쇠세지의여 세무신모춘 흑와서
그 또한 여윈 세상의 뜻이던가 해는 무신(1728년) 늦은 봄(3월) 흑와 쓰다 ※鄭來僑(1681~1759)
閨秀三人 규수삼인 뛰어난 아낙 세 사람
黃眞 황진이(?~?) 조선중기 이름난 기생 妓名은 明月
※ 松都三絶 : 徐敬德(1489~1546)과 黃眞伊와 朴淵瀑布
286
靑山裏 碧溪水ㅣ야 수이감을 쟈랑마라 푸른 산속 푸른 냇물 쉬이 감을 자랑마라
一到 滄海면 도라오기 어려오니 한번 닿은 푸른 바다 돌아오기 어려우니
明月이 滿空山니 수여간들 엇더리 밝은 달 빈산 가득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 碧溪都正 李終叔(1508~?) 明月 黃眞伊
287
冬至ㅅ 기나긴밤을 한허리를 버혀내여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허리를 베어내어
春風 니불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봄바람 이불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어론님 오신날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얼온님 오신 날 밤이거든 굽이굽이 펴리라
288
내 언제 無信여 님을 언제 소겻관 내 언제 못미더워 님을 언제 속였다고
月沉 三更에 온이 젼혀업 달 없는 한밤에도 올 뜻이 전혀 없네
秋風에 지닙소릐야 낸들어이 리오 갈바람 지는 잎 소리를 낸들 어찌 하려오
小栢舟 소백주(?~?) 광해군 때 평양기생
289 ※將棋 車包馬象 兵卒 士
相公을 뵈온後에 事事를 밋오매 상공을 뵈온 뒤에 일마다 믿사오매
拙直 음에 病들가 念慮ㅣ러니 빠듯한 마음에 병들까 걱정인데
이리마 져리챠시니 百年同抱 리이다 이러마 저러자 하시니 백년 함께 안기리
梅花 매화(?~?)
290
梅花 녯 등걸에 봄졀이 도라오니 매화꽃 옛 등걸에 봄철이 돌아오니
녜퓌던 柯枝에 픠염즉도 다마 옛 피던 가지에서 피어남직 하다마는
春雪이 亂紛紛니 픨동말동 여라 봄눈이 어지러이 날리니 필랑 말랑 하여라
年代缺考 년대결고 연대 빠져 모름
林晋 임진
291
활지어 헤걸고 칼라 녀폐고 활 걸어 팔에 걸고 칼 갈아 옆에 차고
鐵瓮 城邊에 筒盖베고 누어시니 철옹성 성 곁에서 동개 베고 누웠으니
보완다 보괴라솔의에 못드러 노라 보았나 보았다 소리에 잠 못 들어 하여라
李仲集 이중집
292
뉘라셔 날 늙다고 늘근이도 이러가 뉘라서 날 늙었다고 늙은이도 이러한가
곳 보면 반갑고 盞 보면 우음난다 꽃 보면 반겨하고 잔 보면 웃음진다
春風에 흣白髮이야 낸들어이 리오 봄바람 흩날린 흰머리 낸들 어찌 하려오
西湖主人 茂豊正 摠 서호주인 무풍정 이총(?~1504)
293
이 몸이 듸업서 世上이 리오매 이 몸이 쓸데없어 세상이 버렸음에
西湖 녯 집을 다시 고 누어시니 서호에 옛날 집을 다시 쓸고 누웠으니
一身이 閑暇나 님못뵈와 노라 이 한 몸 느긋할지나 님 못 보아 하여라
我東 自麗季 至國朝名公碩士及閭巷閨秀之作 아동 자려계 지국조명공석사급려항규수지작
우리나라에 고려 말부터 조선조정까지 이름난 이 큰 선비 및 마을거리사람 아낙네가 지어
爲永言以傳於世者 皆錄而其間 雖不以絶作鳴 위영언이전어세자 개록이기간 수불이절작명
노래되어 세상에 알려진 것은 다 베끼고 그 사이에 비록 뛰어난 지음에 울림나지는 않아도
若聞人則 皆記之 雖其人不足取也 약문인즉 개기지 수기인불족취야
사람들 들은 거라면 모두 적어놓았다 비록 그 사람이 뽑기에 넉넉지 않더라도
其永言可觀則 亦取有記之云爾 有名氏作品跋 기영언가관즉 역취유기지운이 유명씨작품발
그 노래가 볼만하면 또한 골라서 적어두었음이다 이름난 이가 지은 것에 대해 적다
無氏名 무씨명 이름 모른 이 지음
294
나의님 向이 주근後ㅣ면 엇더지 나의 님 바란 뜻이 죽은 뒤면 어떠할지
桑田이 變여 碧海 되려니와 뽕밭이 바뀌어서 푸른 바다 되려니 해
님向 一片丹心이야 가싈줄이 이시랴 님 바란 마음응어리 흩일 줄이 있으랴
295
가마귀 눈비마자 희 듯 검노라 까마귀 눈비 맞아 희는 듯 까맣구나
夜光 明月이 밤인들 어두오랴 밤에 빛 밝은 달이 밤인들 어두우랴
님向 一片丹心이야 고칠줄이 이시랴 님 바란 한쪽 붉은 마음 바뀔 줄이 있으랴
296
간밤의 우던여흘 슬피우러 지내여다 간밤에 울던 여울 슬피 울어 지나는데
이제야 각니 님이우러 보내도다 이제야 생각하니 님이 울어 보내는데
져물이 거스리흐로고져 나도우러 녜리라 저 물이 거슬러 흐르게 나도 울어 흘리리
297
늙고 病든몸이 北向여 우니노라 늙어서 앓는 몸이 북녘 바래 울고 있어
님向 음을 뉘 아니 두리마 님 바란 마음이란 뉘 아니 두랴마는
고 밤긴적이면 나인가 노라 달 밝고 밤 긴 때이면 나뿐인가 하여라
右 戀君 우 연군 여기까지 임금 그리워
298
님이 혜오시매 나 젼혀 미덧니 님이 생각해줘 나는 그냥 믿었더니
날 랑 던 情을 뉘손 옴기신고 날 사랑 하던 정을 뉘에게 옮기셨나
처음에 믜시던거시면 이대도록 셜오랴 처음에 밉다던 것이면 이렇도록 설우랴
299
어제 감던머리 현마 오 다셸소냐 어제는 검던 머리 설마 오늘 다 셀쏘냐
鏡裏 衰容이 이 어인 늘그니오 거울 속 여윈 얼굴 이 어인 늙은이요
님계셔 뉜다셔든 내긔로라 리라 님 계셔 뉜가 하시면 내가 맞다 하리라
300
이리혜고 져리혜니 쇽졀업슨 혬만만희 이리 헤 저리 헤니 속절없는 헤임 많아
業구즌 人生이 살고져 사란가 얄궂은 사람 삶에 살고자 살았는가
至今히 사라잇기 님을보려 이라 이제껏 살아있기는 님을 보려 함이라
右 譴謫 우 견적 여기까지 꾸짖어 멀리 가서
301
靑山아 웃지마라 白雲아 譏弄마라 푸른 산 웃지 마라 흰 구름 놀림마라
白髮 紅塵에 내 즐겨 니더냐 센머리 티 세상에 내 즐겨 다니더냐
聖恩이 至重시니 갑고가려 노라 님 베풂 다다른 무게니 갚고 가려 함이라
302
故園 花竹들아 우리를 웃지 마라 오랜 뜰 꽃과 대는 우리를 비웃지마
林泉 舊約이야 니즌 적이 업건마 숲 샘에 옛 맺음을 잊은 적이 없건마는
聖恩이 至重시니 갑고가려 노라 님 베풂 다다른 무게니 갚고 가려 함이라
右 報効 우 보효 여기까지 갚아 드리며
303
江湖에 봄이 드니 이 몸이 일이 하다 강호에 봄이 드니 이 몸이 일이 많다
나 그믈 깁고 아 밧츨 가니 나는 그물 깁고 아이는 밭을 갈아
뒷 뫼헤 엄기 藥을 언제랴 니 뒷산에 움트는 약을 언제 캐려 하느니
304
冊덥고 窓을 여니 江湖에 잇다 책 덮고 창을 여니 강호에 배 떠있다
往來 白鷗 무슴 머것고 오가는 갈매기는 무슨 뜻 먹었는지
앗구려 功名도 말고 너 조차 놀리라 앗 그래 이름냄 말고 너를 좇아 놀리라
305
池塘에 비 리고 楊柳에 인제 연못에 비 뿌리고 버들에 이내 낀 때
沙工은 어듸 가고 뷘 만 엿고 배 임자 어디가고 빈 배만 매였는가
夕陽에 일흔며기 오락가락 노매 저묾에 짝잃은 갈매기는 오락가락 하는데
306
졋소릐 반겨 듯고 竹窓을 밧비 여니 피리소리 반겨 듣고 댓살 창 바삐 여니
細雨 長堤에 쇠등에 아로다 가랑비 긴 둑길에 소등에 아이로다
아야 江湖에봄들거다 낙대推尋 여라 아이야 강호수봄들었다 낚싯대 봐 놓아라
307
아야 그믈 내여 漁舡에 시러 노코 아이야 그물 꺼내 고깃배 실어놓고
덜괸 술 막걸러 酒樽에 다마 두고 덜 괸 술 마구 걸러 술통에 담아두고
어즈버 아직노치마라 기드려 가리라 어즈버 배 아직놓지마라 달 기다려 가리라
308
秋江에 밤이 드니 물결이 노라 가을 강 밤이 드니 물결이 찹찹하다
낙시 드리치니 고기 아니 무노라 낚시를 드리우니 고기 아니 무는구나
無心 빗만 싯고 뷘 저어 오노라 맘 없는 달빛만 싣고 빈 배 저어 오느니
309
우거슨 버국이가 프른거슨 버들숩가 우는 것은 뻐꾸긴가 푸른 것은 버들 숲이
漁村 두세 집이 속에 날락들락 강마을 두세 집이 이내 속에 날락들락
夕陽에 欸乃聲 듯거든 더옥無心 여라 저묾에 뱃노래 듣거든 더욱 마음 몰라라
右 江湖 우 강호 여기까지 강호에 살며
310
功名 富貴과란 世上사 맛져두고 이름남 높아 받듦 세상사람 맡겨두고
말 업슨 江山에 일업시 누어시니 말없는 강에 산에 일없이 누웠으니
봄비에 절로난山菜 긔分인가 노라 봄비에 절로난 산나물 내 차진가 하여라
311
말업슨 靑山이오 態업슨 流水로다 말없는 푸른 산에 짓 않는 흐른 물에
王喬 赤松外에 날알 니 업것마 신선 왕교 적송 밖에 날 알 이 없건마는
어듸셔 망녕엣겨슨 오라말라 니 어디서 넋 나간 것은 오라 말라 하느니
312
淸凉山 六六峰을 아니 나와 白鷗 청량산 열두 봉을 아는 이 내 갈매기
白鷗ㅣ야 헌랴 못 미들슨 桃花ㅣ로다 갈맥아 야단치랴 못 믿을 건 복사꽃이
桃花ㅣ야 나지마라 漁舟子ㅣ알가 노라 복사꽃 떠 나가지마 어부 알까 함이라
右 山林 우 산림 여기까지 산 숲에
313
時節이 太平토다 이 몸이 閑暇커니 때 맞이 반듯하다 이 몸이 느긋커니
竹林 프른곳에 午鷄聲 아니런들 대 수풀 푸른 곳에 한낮 닭 소리 않아
기피든 一場華胥夢을 어벗이 오리 깊이 든 한바탕 단꿈을 어느 벗이 깨우리
314
아 藥라가고 竹亭은 뷔엿듸 아이는 약 캐러가 대밭 정자 비었는데
흐터진 바독을 뉘 주어 다믈소니 흩어진 바둑돌을 뉘 주어 담을거나
醉고 松下에져셔니 節가줄 몰래라 취하고 솔 아래 누우니 철가는 줄 몰라라
右 閑適 우 한적 여기까지 느긋이 살아
315
목 불근 山上 雉와 홰에 안즌 松骨이와 목 붉은 산에 꿩과 홰에 앉은 송골매와
집압 논 무살미에 고기엿 白鷺ㅣ로다 집 앞논 물 대 썰어 고기 노린 해오라기
草堂에 너희곳아니면 날 보내기 어려왜라 초가에 너희들 아니면 날 지내기 어려워
316
업슨 손이 오나늘 갓버슨 主人이나셔 띠 없는 손 오거늘 갓 벗은 임자 나서
여나모 亭子에 박 將碁 버려노코 열 아름 정자나무 바둑장기 벌여놓고
아야 濁酒걸러라 외 안들 못 머그랴 아이야 탁주걸러라 오이 안주 못 먹으랴
317
새벽 비 일 갠날에 닐거스라 아들아 새벽 비 일찍 갠 날 일어나라 아이들아
뒷 뫼헤 고사리 마 아니 라시랴 뒷산에 고사리가 하마 아니 자랐으랴
오은 일것거오라 새 술안쥬 리라 오늘은 일러꺾어오너라 새 술안주 하리라
318
還上도 와 잇고 小川魚도 어더 잇고 환곡도 타와 있고 시냇고기 얻어 있고
비즌 술 새로 닉고 뫼헤 이 가셰라 빚은 술 새로 익고 산에 달이 밝았어라
곳픠고 거믄고이시니 벗 請여 놀리라 꽃 피고 거문고 있으니 벗 불러서 놀리라
319
집方席 내지마라 落葉엔들 못안즈랴 짚방석 내지마라 진잎엔들 못 앉으랴
솔불 혀지마라 어제 진 도다온다 관솔불 켜지 마라 어제 진달 돋아온다
아야 濁酒山菜만졍 업다말고 내여라 아이야 막걸리산나물이나 없다말고내어라
右 野趣 우 야취 여기까지 들녘에 멋
320
世上이 말 하거 치고 드러가니 세상이 말 많거늘 떨치고 들어가니
一頃 荒田과 八百桑株 이로다 한 이랑 거친 밭에 팔백 그루 뽕나무뿐
生利야 不足다마 시름업서 노라 이끗 남 모자라다만 시름없어 함이라
321
忠誠이 첫이러니 님으뢰야 마롼졔고 충성이 첫뜻인데 님으로해 말았구나
두어라 엇지리 天分이 그러커니 두어라 어찌하리 타고남 그렇거늘
하리 江湖에主人되야 이世界를 니즈리라 차라리 강호에임자돼 이 누리를 잊으리
右 隱遯 우 은둔 여기까지 숨어 떠나며
322
비오날 들에 가랴 사립닷고 쇼머겨라 비 오는 날 들에 가랴 사립닫고 소 먹여라
마히 양이랴 장기연장 다스려라 장마가 늘 있으랴 쟁기 연장 다스려라
쉬다가 개 보와 래긴 밧 갈리라 쉬다가 개는 날 보아 이랑 긴 밭 갈리라
323
삿갓세 되롱이닙고 細雨中에 호믜메고 삿갓에 도롱이 입고 가랑비속 호미 메고
山田을 흣다가 綠陰에 누어시니 산밭을 훑어 매다 숲 그늘에 누웠으니
牧童이 牛羊을 모라 잠든 날을 와다 소몰이 소 염소 몰아 잠든 나를 깨우네
324
대쵸볼 불근 골에 밤은 어이 드르며 대추 볼 붉은 골에 밤은 어찌 떨어뜨려
벼뷘 그르헤 게 어이 리고 벼 베인 그루턱에 게는 어찌 내리는가
술닉쟈 체쟝도라가니 아니먹고 어이리 술 익자 체장수돌아가니 아니 먹고 어쩌리
325
오려 고개 속고 열무우 졋듸 올벼는 고개 숙고 열무는 살졌는데
낙시에 고기 물고 게 어이 리고 낚시에 고기 물고 게는 어찌 내리는가
아마도 農家에근맛시 이죠흔가 노라 아마도 농삿집맑은맛이 이 좋은가 하여라
右 田家 우 전가 여기까지 시골집
326
치위를 마글션졍 구야 비단옷가 추위를 막을지언정 구태여 비단옷이
고폰 몌올션졍 山菜라타 관계랴 고픈 배 메울지언정 산나물 걸릴 거랴
이밧긔 잡시름업스면 긔죠흔가 노라 이 밖에 잡시름 없으면 그 좋은가 하여라
327
시름이 업슬션정 富貴功名 관계며 시름이 없을지언정 부귀공명 걸릴 거며
음이 편션졍 이 웃다 어이리 마음이 편할지언정 남 웃는다 어찌하리
엇더타 守拙安貧을 나 죠화 노라 어떻게 서툰 가난 즐김을 나는 좋아 하여라
328
내 오 내 밥 먹고 내 집의 누어시니 내 옷에 내 밥 먹고 내 집에 누웠으니
귀에 잡말 업고 是非에 걸릴소냐 귀에도 잡말 없고 옳다 긇다 걸릴쏘냐
百年을 이리 지내미 긔 分인가 노라 한 백년 이리 지냄이 그 삶인가 하여라
右 守分 우 수분 여기까지 분수 지키며
329
이셩져셩 다지내고 흐롱하롱 인일 업 이쪽저쪽 다 지내고 흐롱하롱 한일 없네
功名도 어근버근 世事도 싱슝샹슝 이름 냄 어긋버긋 세상일 싱숭생숭
每日에 盞두盞여 이렁져렁 리다 날마다 한잔두잔 하여 이럭저럭 하리다
330
이럿타 져러탓 말이 오로 다 두리슝슝 이렇다 저렇단 말 오롯 다 뒤숭숭해
잇거나 사거나 기픈 盞에 득 부어 있거나 샀다거나 깊은 잔에 가득 부어
每日에 長醉不醒면 긔죠흔가 노라 날마다 늘 취해 안 깨면 그 좋은가 하여라
331
어리거든 채어리거나 밋치거든 채밋치거나 얼숙해 채 얼숙지 미치면 다 미치지
어린 듯 밋친 듯 아 듯 모로 듯 미친 듯 얼숙한 듯 아는 듯 모르는 듯
이런가 져런가니 아므란줄 몰래라 이런가 저런가하니 아무런 줄 몰라라
332
世事ㅣ 삼울이라 허틀고 쳐셰라 세상일 삼거웃이 흩으러 맺혔어라
거귀여 드리치고 나몰래라 고라쟈 구기어 드날리고 나 몰라라 하고 지고
아야 덩덕궁북쳐라 이야지야 리라 아이야 덩더쿵 북쳐라 어야 지야 하리라
右 放浪 우 방랑 여기까지 떠돎에 놓여
333
그러 거니 어이 아니 그러리 그렇다 하였거니 어찌 아니 그러하리
이리도 그러그러 져리도 그러그러 이리도 그러그러 저리도 그러그러
아마도 그러그러니 숨계워 노라 아마도 그러그러하니 한숨 겨워 하여라
334
흥흥 노래고 덩덕궁 북을 치고 흥얼대 노래하고 덩더쿵 북을 치고
宮商 角徵羽를 마초리 엿니 궁상 각치우를 맞추는 듯 하였더니
어긔고 다齟齬니 허허웃고 마노라 어기고 다 어긋나니 허허 웃고 말아라
右 悶世 우 민세 여기까지 세상 애태워
335
萬頃滄波 水로도 다 못 시슬 千古 愁를 먼 바다 물결로도 다 못 씻을 오랜 시름
一壺酒 가지고 오이야 시서괴야 한 병 술 가지고서 오늘에야 씻었구나
太白이 이러으로 長醉不醒 닷다 이태백 이러함으로 늘 취해 안 깼다지
336
술을 내 즐기더냐 狂藥인줄 알건마 술을 내 즐기더냐 미칠 건 줄 알건마는
一寸 肝膓에 萬斛愁 너허두고 한 치 속 애간장에 만 섬 시름 넣어두고
醉여 든 덧이나 시름닛쟈 노라 취하여 잠든 때나마 시름 잊자 함이라
右 消愁 우 소수 여기까지 시름 없애며
337
人生이 둘가 셋가 이 몸이 네다섯가 사람 삶 두 셋인가 이 몸이 너 댓인가
비러온 人生에 어온 몸 가지고셔 빌어 온 사람 삶에 꾸어온 몸 가지고서
平生에 사롤일만고 언제 놀려 니 한 삶에 사는 일만하고 언제 놀려 하느니
338
一定 百年 산들 百年이 긔언매라 놓아둔 백년 산들 백년이 그 얼마라
疾病 憂患 더니 남 날 아조 젹의 앓는 병 걱정 빼니 남는 날 아주 적어
두어라 非百歲 人生이 아니놀고 어이리 두어라 백년 안 사람 삶 아니 놀고 어쩌리
右 遊樂 우 유락 여기까지 즐겨 놀며
339
白沙場 紅蓼邊에 구버기 白鷺들아 모래펄 여뀌 물가 꾸벅이는 해오락아
口腹을 못 몌워 뎌다지 굽니다 입과 배 못 채워서 저다지 굽어지나
一身이 閑暇션졍 져무슴 리오 몸 하나 느긋할지언정 살쪄 무엇 하리오
340
쥐 쇼로기들아 부로롸 쟈랑마라 쥐를 챈 솔개들아 배불러 자랑마라
淸江 여왼 鶴이 주리다 부를소냐 맑은 강 여윈 학이 굶주려 부러울까
내 몸이 閑暇야마 못진들 엇리 내 몸이 느긋하지만 살 안찐들 어떠리
右 嘲奔走 우 조분주 여기까지 바쁨을 비웃으며
341
내 죠타고 슬흔 일 지 말며 나에게 좋다하고 남 싫은 일 하지 말며
이 다고 義 아니면 좃지말니 남들이 한다하고 옳지 않아 좇지 말라
우리 天性을직희여 삼긴대로 리라 우리는 난 바탕 지키어 낳은 대로 하리라
342
듯 말 보 일을 事理에 비겨보와 듣는 말 보는 일을 일됨에 견줘보아
올흐면 지라도 그르면 마롤 거시 옳으면 할지라도 그르면 말 것이니
平生에 말슴을희내면 므슴是非 이시리 한 삶에 말씀을가려내면 무슨다툼 있으리
343
이 害지라도 나 아니 겨로리라 남이 날 해칠 지라 나는 아니 겨루리라
으면 德이오 겨로면 트리니 참으면 덕 됨이오 겨루면 같으리니
구부미 제게잇거니 올 줄이 이시랴 굽음이 그에게 있거니 갈굴 줄이 있으랴
右 修身 우 수신 여기까지 몸 닦으며
344
가마귀 검거라말고 오라비 셸줄어이 까마귀 검다고말고 해오라기 흴 줄 어찌
검거니 셰거니 一便도 져이고 검거니 하얗거니 한쪽에 하는 지고
우리 수리두루미라 검도셰도 아녜라 우리는 수리 두루미라 검고 희고 아녀라
345
넙엿 쟈니 모난 듸 일셰라 반듯이 하자하니 모난데 까일세라
두렷 쟈니 의 손 둘릴셰라 둥그레 하자하니 남에게 둘릴세라
外두렷 內번듯면 둘릴 줄 이시랴 밖 둥글 안 반듯하면 까 둘릴 줄 있으랴
右 周便 우 주편 여기까지 두루 잘 지내
346
琵琶를 두러메고 玉蘭干에 지혀시니 비파를 둘러매고 옥난간에 기댔으니
東風 細雨에 드니 桃花ㅣ로다 봄바람 가랑비에 떨어지니 복사꽃이
春鳥도 送春을 슬허 百般啼를 놋다 봄새도 봄 보내 슬퍼 온갖 울음 짓는다
347
곳이 진다고 새들아 슬허마라 꽃이 진다하고 새들아 슬퍼마라
람에 흣리니 곳의 탓 아니로다 바람에 흩날리니 꽃 탓이 아니어라
가노라 희짓 봄을 새와 므슴 리오 간다고 휘젓는 봄을 흘겨 무엇 하리오
右 惜春 우 석춘 여기까지 봄이 아쉬워
348 ※이존오(1341~1371)
구룸이 無心탄말이 아마도 虚浪다 구름이 맘 없단 말이 아마도 헛 떠다녀
中天에 이셔 任意 니며서 한 하늘 떠있어서 맘대로 다니면서
구야 光明날빗츨 라가며 덥니 구태여 빛 밝은 햇빛을 따라가며 덮느니
349
구룸아 너 어이 비츨 초다 구름아 너는 어찌 햇빛을 감추느냐
油然 作雲하면 大旱에 죠커니와 뭉클히 구름지면 가뭄에 좋을 것을
北風이 하져블제 볏뉘 몰라 노라 높바람 쓰라려 불 때 볕뉘 몰라 하여라
右 壅蔽 우 옹폐 여기까지 막아 가리니
350
자 내 少年이야 어드러로 간 거이고 아자 내 젊은 때야 어디로 간 것인가
酒色에 겨신 제 白髮과 밧괴도다 술 놀이 빠졌을 때 센머리 바뀌었다
이제야 아모리즌들 다시오기 쉬오랴 이제야 아무리 찾은들 다시 오기 쉬우랴
351
半나마 늘거시니 다시 졈든 못 여도 반이나 늙었으니 다시 젊진 못 하여도
이後ㅣ나 늙지말고 양 이만 엿고쟈 이 뒤로 늙지 말고 늘 이만 하였으면
白髮아 네나 짐쟉여 더듸늙게 여라 센머리 얼핏 어림하여 더디 늙게 하여라
352
남도 준배 업고 바든 바도 업건마 남이라 준 게 없고 받은 바도 없건 마는
怨讐 白髮이 어더러셔 온 거이고 미운 것 센머리가 어디라서 온 것인가
白髮이 公道ㅣ없도다 날을 몬져 늙킨다 센머리 함께함 없이 나를 먼저 늙게 해
353
희여 검을지라도 희 거시 셔로려든 희다가 검을 지라 희는 것이 서럽거든
희여 못검듸 의 몬져 힐줄 어이 희여서 못 검은데 남 먼저 흴 줄 어찌
白髮이 公道ㅣ쟉도다 날을 몬져 얀다 흰머리 함께함 작아 나를 먼저 보게 해
右 歎老 우 탄로 여기까지 늙음을 탓해
354
靑春 少年들아 白髮老人 웃지마라 푸른 봄 젊은이들 머리 센 이 웃지 마라
공번된 하아래 넨들 양 져머시랴 함께한 하늘 아래 너희들 늘 젊었으랴
우리도 少年行藥이 어제론 듯 여라 우리도 젊음 즐김이 어제인 듯 하여라
355
귀밋치 셰여시니 이 늙다 려니와 귀밑이 세었으니 남이 늙다 하더라도
내 음 져믈션졍 의 말 허믈랴 내 마음 젊을망정 남의 말 허물하랴
곳과술 죠히너기기야 엇老少 이시리 꽃과 술 좋게 여기기야 어떤 나이 있으리
右 老壯 우 노장 여기까지 늙어 씩씩함
356
나의 未平 을 日月 뭇니 내 아니 반듯한 뜻 해달께 물어보니
九萬里 長天에 무스일 얏바셔 구만리 먼 하늘에 무슨 일 바빠해서
酒色에 못슬믠 이몸을 수이늙게 고 술 놀이 싫다 못한 몸 쉬이 늙게 하는가
357
金烏 玉兎들아 뉘 너를 니관 금 까마귀 옥토끼야 뉘 너흴 쫓아가나
九萬里 長天에 허위허위 니다 구만리 먼 하늘에 허위허위 다니느냐
이後란 十里에번식 쉬염쉬염 니거라 이 뒤로 십리에 한번 씩 쉬엄쉬엄 가거라
右 戒日 우 계일 여기까지 날을 살피며
358 ※南坡 李陽元(1533~1592)
노프나 노픈 남게 날 勸여 오려두고 높으나 높은 나무 날 해보라 올려두고
이보오 벗님야 흔드지나 마르되야 이 보오 벗님네야 흔들지나 말아야지
려져 죽기섧지아녀 님못볼가 노라 떨어져 죽기는 안 섧지 님 못볼까 하여라
359 ※碧梁 兪應孚(?~1456)
간밤의 부던 람에 눈서리 치단말가 간밤에 불던 바람 눈서리 쳤단 말이
落落 長松이 다 기우러 가노라 높다란 오랜 솔이 다 기울어 가는구나
믈며 못다픤곳이야 닐러므슴 리오 하물며 못다 핀 꽃이야 일러 무엇 하리오
360
어인 벌리완 落落長松 다 먹고 어찌된 벌레인데 높은 큰 솔 다 먹는가
부리긴 져고리 어 곳에 가잇고 부리 긴 딱따구리 어느 곳에 가 있는가
空山에 落木聲들릴제 내안 둘듸 업세라 빈산에 지는잎 소리에 내 맘 둘데 없어라
右 戕害 우 장해 여기까지 해침 입어
361
小園 百花叢에 니 나뷔들아 작은 뜰 온 꽃떨기 날아든 나비들아
香내를 죠히 너겨 柯枝마다 안지마라 향내를 좋게 여겨 가지마다 앉지 마라
夕陽에 숨즌 거믜 그믈 걸 여은다 저묾 볕 심술궂은 거미 그물 걸어 엿본다
362
굼벙이 매암이되야 래 도쳐 라올라 굼벵이 매미 되어 날개 돋아 날아올라
노프나 노픈 남게 소릐 죠커니와 높으나 높은 나무 소리는 좋거니와
그 우희 거믜줄이시니 그를 조심 여라 그 위에 거미줄 있어 그를 조심 하여라
右 知止 우 지지 여기까지 그침 알아
363 ※耘谷 元天錫(1330~?)
興亡이 有數니 滿月臺도 秋草ㅣ로다 일어 잃음 때 있으니 만월대도 가을풀이
五百年 王業이 牧笛에 부쳐시니 오백년 임금 일이 풀피리에 부쳤으니
夕陽에 지나 客이 눈물계워 라 저묾에 지나는 길손 눈물겨워 하더라
364 ※冶隱 吉再(1353~1419)
五百年 都邑地를 匹馬로 도라드니 오백년 서울 땅을 말 하나 돌아드니
山川은 依舊되 人傑은 간 듸 업다 산과 내 옛 대론데 빼난 이 간 데 없다
어즈버 太平烟月이 이런가 노라 어즈버 다스려 멋진 때 꿈이런가 하여라
右 懷古 우 회고 여기까지 옛날을 돌이켜
365 ※百花軒 李兆年(1269~1343)
梨花에 月白고 銀漢이 三更인제 배꽃에 달은 밝고 별빛이 한밤인 때
一枝 春心을 子規ㅣ야 아라마 꽃가지 들뜬 마음 두견새 알까마는
多情도 病이냥여 못드러 노라 정 많음 병인지 싶어 잠 못 들어 하여라
366
金爐에 香盡고 漏聲이 殘도록 금화로 향 다 타고 물시계 다 지도록
어듸 가이셔 뉘 랑 바치다가 어디에 가서있어 뉘 사랑 바치다가
月影이 上蘭干야 바드라 왓니 달 그늘 난간 올라서야 맘 떠보러 왔느니
367 ※梅窓 李桂生(1573~1610) 부안 기생
梨花雨 흣릴 제 울며잡고 離別 님 배꽃 비 흩뿌릴 때 울며 잡고 헤어진 님
秋風 落葉에 저도 날 각가 갈바람 지는 잎에 저도 날 생각는가
千里에 외로온 만 오락가락 노매 멀리서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는지
368
이 몸이 싀여져셔 졉동새 넉시되야 이 몸이 죽어지어 접동새 넋이 되어
梨花 픤 柯枝 속 닙헤 엿다가 배꽃이 피는 가지 속잎에 싸였다가
밤즁만 하져 우러 님의 귀에 들리리라 밤에만 슬퍼져 울어 님의 귀에 들리리
369 ※仙源 金尙容(1561~1637)
랑 거즛말이 님 날랑 거즛말이 사랑이 거짓말이 님 날 사랑 거짓말이
에 뵌닷말이 긔 더옥 거즛말이 꿈에서 봤단 말이 그 더욱 거짓말이
날치 아니오면 어 에 뵈이리 나처럼 잠 아니 오면 어느 꿈에 보이리
右 閨情 우 규정 여기까지 아낙네 마음
사랑해 참말이니 잠에 꿈 참말이지 사랑 그 거짓말이 혼자 보니 거짓말이
내 그리 안 된다며 너도 이리 안 될 거라 저 모른 혼자사랑 내 꿈엔들 그 사랑이
못 믿는 아낙네 마음 몰라 어쩜 사내들 아무렴 참말이건만 님 안 믿어 거짓말
2018.12.17. 조영철 2018.12.18. 조영철
370 ※俛仰亭 宋純(1493~1582)
十年을 經營여 草廬三間 지여내니 열 해를 꾸려가며 초가 세 칸 지어내니
나 간 간에 淸風 간 맛져두고 나 한 칸 달 한 칸에 바람 한 칸 맡겨두고
江山은 들일듸 업스니 둘러두고 보리라 강산은 들일 데 없으니 둘러두고 보리라
右 兼致 우 겸치 여기까지 아울러 이름
371 ※旴齋 趙浚(1346~1405)
술을 醉케먹고 오다가 空山에지니 술 한껏 얼큰 먹고 오다가 빈산에 자
뉘 날 오리 天地卽 衾枕이로다 누가 날 깨우려나 하늘땅 곧 이부자리
狂風이 細雨를 모라 든 날을 와다 웬 바람 가랑비 몰아 잠든 나를 깨웠다
右 大醉 우 대취 여기까지 한껏 취해
372 ※蘆溪 朴仁老(1561~1642)
비즌 술 다 머그니 먼듸셔 벗이 왓다 빚은 술 다 먹으니 먼데서 벗이 왔다
술집은 졔연마 헌 옷세 언마주리 술집은 저기건만 헌옷에 얼마주리
아야 셔기지말고 주대로 바다라 아이야 서기지 말고 주는 대로 받아라
右 客至 우 객지 여기까지 손님 오니
373
三角山 푸른 빗치 中天에 소사올라 삼각산 푸른빛이 하늘에 솟아올라
鬱葱 佳氣란 象闕에 부쳐두고 우거진 좋은 기운 궁궐 문에 부쳐두고
江湖에 盞잡은 늘그니란 양醉케 쇼셔 강호에 잔잡은 늙은이 늘 취하게 하소서
右 醉隱 우 취은 여기까지 취해 숨어
374 ※蓬萊 楊士彦(1517~1584)
泰山이 높다되 아레 뫼히로다 태산이 높다 해도 하늘아래 뫼이러니
오르고 오르면 못 오를理 업건마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것 없건마는
사이 제 아니 오르고 뫼흘놉다 니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를 높다 하느니
右 中道而廢 우 중도이폐 여기까지 중간에 그만 둠
375 ※汝諧 李舜臣(1545~1598)
十年 온 칼이 匣裏에 우노라 열 해를 갈아온 칼 칼집 속에 우는구나
關山을 라보며 로 져보니 변방 산 바라보며 때때로 만져보니
丈夫의 爲國功勳을 어에 드리올고 사나이 나라에 이룬 일 어느 때에 드리워
右 壯懷 우 장회 여기까지 씩씩함 품어
376 ※이정진
天下 匕首劒을 듸 모하 뷔를 야 온 누리 날선 칼을 한데 모아 비를 매어
南蠻 北狄을 다 러 린 後에 남북에 오랑캐를 다 쓸어 버린 뒤에
그쇠로 홈의를 그라 江上田을 리라 그 쇠로 호미를 만들어 강둑 밭을 매리라
右 勇退 우 용퇴 여기까지 나서서 물러나
377 ※惺齋 崔沖(984~1068)
一生에 願기를 羲皇時節 못 난 줄이 한 삶에 바라기를 복희씨 때 못 난 것이
草衣를 무릅고 木實을 머글만졍 풀 옷을 무릅쓰고 나무열매 먹을망정
人心이 淳厚던줄을 못내 불워 노라 사람 맘 참 두텁던 줄을 못내 하여 부러워
右 羨古 우 선고 여기까지 옛날이 부러워
378 ※定齋 朴泰輔(1654~1689)
靑山 自負 松아 네 어이 누엇다 푸른 산 잘난 솔아 네 어찌 누웠느냐
狂風을 못 이긔여 불휘 져저 누엇노라 갑작바람 못 이기어 뿌리 젖어 누웠네라
가다가 良工을만나거든 날 옛라 고려 가다가 쓸목수 만나면 내 여깄다 하구려
右 自售 우 자수 여기까지 스스로 팔려
379 ※漢陰 李德馨(1561~1613)
이 두렷여 碧空에 걸려시니 저 달이 뚜렷하여 파란하늘 걸렸으니
萬古 風霜에 러졈즉 다마 먼 오랜 바람서리 떨어질만 하다마는
至今히 醉客을 爲여 長照金樽 노매 이제껏 취한 이 보라고 금 술통을 비추네
右 醉月 우 취월 여기까지 달에 취해
380 ※정몽주母 ※鄭夢周(1337~1392)
가마귀 호 골에 白鷺ㅣ야 가지마라 까마귀 싸우는 골 백로야 가지마라
셩낸 가마귀 흰 빗 새을셰라 성이 난 까마귀는 흰 빛을 샘낼 거라
淸江에 잇것 시슨 몸을 더러일가 라 맑은 강 기껏 씻은 몸을 더럽힐까 함이라
右 우 여기까지
381 ※千錦(?~?) 조선 후기 기생
도 나지 계면 山河로 도라 지고 해도 낮이 가면 산하로 돌아 지고
도 보롬後ㅣ면 보터 이져온다 달도 보름 뒤면 한 가부터 이지러져
世上에 富貴功名이 다 이런가 노라 세상에 높아서 날려도 다 이런가 하여라
右 盈虧 우 영휴 여기까지 차고 기욺
382
北海上 져믄 날에 울고 가 져 기러기 북녘바다 저문 날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
내 말슴 드러다가 金尙書ㅅ게 롸주렴 내 말씀 들어다가 김상서께 말해주렴
수 羊이 삿기칠덧으란 으쇼셔 여라 숫염소 새끼 칠 때까지 참으소서 하여라
右 우 여기까지
383 ※汝諧 李舜臣(1545~1598)
胸中에 머근 을 속졀업시 못 이로고 가슴 속 먹은 뜻을 속절없이 못 이루고
半世 紅塵에 의 우음 된져이고 반쯤 산 티끌세상 남 비웃음 돼버렸나
두어라 時乎時乎니 恨줄이 이시랴 두어라 때로야 때라니 탓할 줄이 있으랴
右 命蹇 우 명건 여기까지 할 일 절며 걸어
384 ※栗谷 李珥(1536~1584)
다 져믄 날에 지져귀 ᄎᆞᆷ새들아 해가 다 저문 날에 지저귀는 참새들아
죠고마 몸이 半柯枝도 足거든 조그만 너희 몸에 반 가지도 넉넉커든
믈며 크나큰수풀을 새와무슴 리오 하물며 크나큰 수풀을 샘내 무엇 하려고
右 不爭 우 부쟁 여기까지 다툼 않아
385
假使 주글지라도 明堂이 뷘듸 업 어쩌면 죽을 진데 쓸 자리 빈 데 없네
三神山 不死藥을 다 야 머글만졍 삼신산 안 죽는 약 다 캐어 먹을망정
海中에 새 뫼나거든 게가 들려 노라 나라에 새 무덤 나거든 거기 들려 함이라
右 遠致 우 원치 여기까지 멀리 이르러
386 ※靑蓮 李後白(1520~1578)
蒼梧山 聖帝魂이 구룸조차 瀟湘에려 창오산 순임금 넋 구름 좇아 소상에 와
夜半에 흘러드러 竹間雨 되온 은 한밤에 흘러들어 대숲에 비 돼 온 뜻은
二妃의 千年淚痕을 못내 시서 홈이라 두 왕비 옛 눈물자국 못내 씻어 함이라
右 二妃 우 이비 여기까지 두 왕비(娥皇과 女英)
387 ※靑蓮 李後白(1520~1578)
洞庭 근 이 楚懷王의 넉시되야 동정호 밝은 달이 초회왕의 넋이 되어
七百里 平湖에 두렷이 비쵠 은 칠백리 너른 물에 뚜렷이 비춘 뜻은
屈三閭 魚腹裏忠誠을 못내 켜 홈이라 굴원님 물고기뱃속 충성 못내 밝혀 줌이라
右 懷王 우 회왕 여기까지 초나라 회왕(BC374~BC328~BC296)
388 ※白洲 李明漢(1595~1645)
楚江 漁夫들아 고기 낫가 지마라 초땅 강 어부들아 고기 낚아 삶지 마라
屈三閭 忠魂이 魚腹裏에 드럿니 굴원님 충정 넋이 고기뱃속 들었느니
아므리 鼎鑊에 믄들 變줄이 이시랴 아무리 가마솥에 삶은들 바뀔 줄이 있으랴
右 屈平 우 굴평 여기까지 屈原 굴평(BC343~BC278)
389
공번된 天下業을 힘으로 어들 것가 함께하는 누리 일을 힘으로 얻을 건가
秦宮室 불질음도 오히려 無道커든 진 궁궐 불을 질러 오히려 무도한데
믈며 義帝를 주기고 하罪를 免랴 하물며 의제를 죽이고 하늘에 죄 벗으랴
右 項羽 우 항우 여기까지 항우 項籍(BC232~BC202)
390 ※麟坪大君(1622~1658) 인조의 셋째아들 효종의 동생
람에 휘엿노라 구븐 솔 웃지마라 바람에 휘었어라 굽은 솔 비웃지마
春風에 픠온 곳이 양에 고아시랴 봄바람 피운 꽃이 늘 같이 곱다하랴
風飄飄 雪紛紛제 네야날을 부르리라 흩날려 구름 뒤섞일 때 너희 나를 부르리
右 松 우 송 여기까지 소나무
391 ※耘谷 元天錫(1330~?)
눈 마자 휘어진 대를 뉘라셔 굽다고 눈 맞아 휘인 대를 뉘라서 굽다든가
구블 節이면 눈 속에 프를소냐 굽어질 곧음이면 눈 속에 푸를쏘냐
아마도 歲寒高節은 너인가 노라 아마도 추운날 높은곧음 너 뿐인가 하여라
右 竹 우 죽 여기까지 대나무
392 ※晩雲 鄭忠信(1576~1636)
空山이 寂寞듸 슬피우 져杜鵑아 텅 빈산 고요한데 슬피 우는 저 두견아
蜀國 興亡이 어제 오 아니여 촉나라 일어 잃음 어제오늘 아니거늘
至今히 피나게 우러 의애를 긋나니 이제껏 피나게 울어 남의 애를 끊나니
右 杜宇 우 두우 여기까지 두견이 ※歸蜀道
393 ※聽松 成守琛(1493~1564)
이리도 太平聖代 져리도 聖代太平 이리도 태평성대 저리도 성대태평
堯之 日月이오 舜之 乾坤이로다 요임금 나날다달 순임금 하늘땅이
우리도 太平聖代에 놀고가려 노라 우리도 태평성대에 놀다가려 함이라
右 太平 우 태평 여기까지 크게 반듯
394 ※花潭 徐敬德(1489~1546)
음아 너 어이 양에 져멋다 마음아 너는 어찌 언제나 젊었느냐
내 늘글 적이면 넨들 아니 늘글소냐 내 늙을 때가 되면 넌들 아니 늙을쏘냐
아마도 너죳녀니다가 우일가 노라 아마도 너 쫓아다니다가 남 웃길까 하여라
右 戒心 우 계심 여기까지 마음 살펴
395
녯적의 이러면 이 形容이 나마실가 옛적에 이러하면 이 얼굴이 남았을까
愁心이 실이 되야 구뷔구뷔 쳐이셔 시름이 실이 되어 굽이굽이 맺혀있어
아므리 푸로되 긋 간듸를 몰래라 아무리 풀려하는데 끝 간데를 몰라라
右 勞役 우 노역 여기까지 힘든 일하며
396 ※怡軒 成汝完(1309~1397)
泰山이 平地되고 河海 陸地되도록 태산이 반반히 돼 강 바다 뭍 땅되게
北堂 俱慶下에 忠孝로 일삼다가 뒷방에 두 어버이 참 모심 일삼다가
聖代에 稷契이되야 늘글뉘를 모르리라 좋은 때 후직과 설이 돼 늙을 때를 모르리
右 忠孝 우 충효 여기까지 충성효도
397 ※千錦(?~?) 조선 후기 기생
곳은 밤비에 퓌고 비즌 술 다 닉거다 꽃마저 밤비에 펴 빚은 술 다 익었다
거문고 가진 벗이 긔 오마터니 거문고 가진 벗이 달 함께 온다했지
아야 茅簷에 올랏다 손오가 보와라 아이야 처마에달올랐다 손님오나 보아라
右 待客 우 대객 여기까지 손님맞이
三數大葉 삼삭대엽 가곡 악곡의 하나 삭대엽 악곡 중 세 번째 곡 이삭대엽 보다 빠름
398
主辱 臣死ㅣ라니 내주검즉 건마 님 욕되 섬겨 죽어 내 죽음직 하건마는
큰칼 녀픠고 이제도록 사랏기 큰칼 옆에 차고 이제껏 살았기는
聖主의 萬德中興을 다셔보려 노라 임금님 큰 덕 일으킴을 다시 보려 함이라
399
功名도 辱이러라 富貴도 슈괴러라 이름 남 욕됨이라 높아짐도 수고러라
萬頃 滄波에 白髮漁翁 되야이셔 만 이랑 푸른 물결 늙은 어부 되어있어
白日이 照滄浪제 오명가명 리라 한낮 해 물결 비춘 때 오며가며 하리라
400
곳지고 속닙나니 綠陰이 소사난다 꽃 지고 속잎 나니 푸른 그늘 솟아난다
솔柯枝 것거내여 柳絮를 리치고 솔가지 꺾어내어 버들개지 쓸어내고
醉여 계유든을 喚友鶯에 괘라 취하여 겨우 든 잠을 꾀꼬리로 깨었네
401
대심거 울을삼고 솔갓고니 亭子ㅣ로다 대 심어 울을 삼고 솔 가꾸니 정자려니
白雲 더핀듸 날인줄 제뉘알리 흰 구름 덮인 곳에 내 있는 줄 그 뉘 알랴
庭畔에 鶴徘徊니 긔벗인가 노라 뜰 가에 두루미 다니니 내 벗인가 하여라
402
草堂에 일이업서 거믄고를 베고누어 초당에 일이 없어 거문고를 베고 누어
太平 聖代를 에나 보려니 반듯이 다스린 때 꿈에나 볼까했지
門前에 數聲漁笛이 든날을 와다 문 앞에 몇 어부노래가 잠든 나를 깨우네
403
靑山에 눈노긴람 건듯불고 간듸업다 푸른 산 눈 녹인 바람 건 듯 불고 간데없다
잠간 비러다가 불리고쟈 마리우희 조금만 빌어다가 불게 할까 머리 위에
귀밋 무근서리를 노겨볼가 노라 귀밑에 해 묵은 서리를 녹여볼까 함이라
404
어우하 날소겨고 秋月春風 날소겨고 어우하 날 속이고 갈 달 봄바람 날 속이고
節節이 도라오매 有信히 너겻니 철철이 돌아옴에 미덥다 여겼더니
白髮란 날다맛지고 少年롸 니거니 흰머리 날 다 맡기고 젊음 따라 가느니
405
人生이 可憐다 물우희 萍草치 사람 삶 안타깝다 물 위에 뜬 물풀같이
偶然히 만나셔 덧업시 여희거다 어쩌다 만나서는 덧없이 헤어지나
이後에 다시만나면 緣分인가 리라 이 뒤에 다시 만나면 맺음인가 하리라
406
世上 사들이 人生을 둘만 너겨 세상에 사람들이 사람 살며 둘 걸 여겨
두고 두고 먹고 놀 줄 모르라 두고서 또 두려고 먹고 놀 줄 모르더라
주근後 滿堂金玉이 뉘거시라 리오 죽은 뒤 가득한 금 구슬 뉘 것이라 하리오
407
이러니 져러니고 世俗긔별 傳치마라 이러니 저러니 해 세상 말들 알림마라
의 是非 나의알배 아니로다 남들의 옳니 긇니 내 알바 아니어라
瓦樽에 술이닉어시면 긔죠흔가 노라 질 술통 술 익었으면 그 좋은가 함이라
408
이러니 져러니말고 술만먹고 노새그려 이러니 저러니 말고 술만 먹고 노세 그려
먹다가 醉커든 머근재 을 드러 먹다가 취하거든 먹은 채 잠이 들어
醉고 든덧이나 시름닛쟈 노라 취하여 잠든 때나마 시름 잊자 하여라
409
술먹고 뷔거를저긔 먹지마쟈 盟誓ㅣ러니 술 먹고 비틀할 적 먹지말자 다짐터니
盞잡고 구버보니 盟誓홈이 虛事ㅣ로다 잔 잡고 굽어보니 다짐함이 헛일이라
두어라 醉中盟誓ㅣ를 닐러므슴 리오 두어라 취해 한 다짐을 일러 무엇 하리오
410
어우하 날죽거든 독밧츼집 東山에무더 어우하 나 죽거든 독장이 집 산에 묻어
白骨이 塵土ㅣ도여 酒樽이나 글고쟈 하얀 뼈 티끌 흙 돼 술 단지나 만들고자
平生에 덜 먹은 맛슬 다시다마 보리라 한 삶에 덜 먹은 맛을 다시 담아 보리라
411
간밤의 부던에 滿庭桃花ㅣ 다지거다 간밤에 불던 바람 뜰 복사꽃 다 져버려
아 뷔를들고 로려 괴야 아이는 비를 들고 쓸어내려 하는구나
落花들 곳이 아니랴 지 만들 엇리 꽃 진들 꽃이 아니랴 쓸지 않아 어떠리
412
엊그제 부던람 江湖에도 부돗가 엊그제 불던 바람 강 호수에 불었던가
滿江 舡子들이 어이구러 지내연고 온 강에 뱃사람들 어떻게들 지내는고
山林에 드런지오래니 消息몰라 노라 산 숲에 든지도 오래라 말 못 들어 하여라
413
大海에 觀魚躍이오 長空에 任鳥飛라 큰 바다 고기 뜀이 먼 하늘 새 날림이
大丈夫ㅣ 되야나셔 志槩를 모롤것가 사나이 돼 태어나 뜻할 바 모를 텐가
엇더타 博施濟衆이 病되옴이 이시랴 어떻게 널리 펴 건짐이 병이 됨이 있으랴
414
어져 可憐다 宇宙ㅣ어이 怱忙턴고 어져 안타깝다 누리 어찌 바쁘던고
南薰殿 五絃琴이 어에 그처진지 남훈전 오현금이 어느 때에 그쳐선지
春秋에 風雨ㅣ亂니 그를슬허 노라 봄가을 비바람 마구 쳐 그를 슬퍼 하여라
415
仁風이 부날에 鳳凰이 來儀니 산들바람 부는 날에 봉황이 와 춤추니
滿城 桃李 지니 곳이로다 성 가득 복사 오얏 지느니 꽃이구나
山林에 구전솔이야 곳이잇사 져보랴 산 숲에 굽은 솔이야 꽃 있거든 져보랴
416
잘 새 다 라들고 새 은 도다온다 잘 새는 날아들고 새 달은 돋아온다
외나모 리로 홀로 가 져 禪師ㅣ야 외나무 다리위로 홀로 가는 저 스님아
네졀이 언매나멀관 遠鍾聲이 들리니 네 절이 얼마나 먼데 먼 종소리 들리나
417
風霜이 섯거친날에 픠온 黃菊花를 된서리 섞어 친 날 갓 피운 노란국화
金盆에 득다마 玉堂에 보내오니 금 화분 가득 담아 옥당에 보내오니
桃李야 곳이오냥마라 님의을 알괘라 복사꽃 꽃인 체 마라 님의 뜻을 알거라
418
가마귀 검다고 白鷺ㅣ야 웃지마라 까마귀 검다하고 해오라가 웃지 마라
것치 거믄들 속조차 거믈소냐 겉으로 검다한들 속조차 검을쏘냐
아마도 것희고 속검을슨 너인가 노라 아마도 겉 희고 속검기 너뿐인가 하여라
419
煤山閣 寂寞듸 草色만 프르럿고 뜰 누각 쓸쓸한데 풀빛만 푸르렀고
天壽陵 뷔여시니 구룸 겨셰라 옛 왕릉 비었으니 찬 구름 쌓였어라
어즈버 古國興廢를 못내슬허 노라 어즈버 나라 세워 닫혀 못내 슬퍼 하여라
420
世上 사들이 입들만 셩여셔 세상에 사람들이 입들만 성하여서
제 허믈 젼혀 닛고 의 흉 보괴야 제 허물 전혀 잊고 남 잘못 보는구나
의 흉 보거라말고 제허물을 고치고쟈 남 잘못 보겠다말고 제 허물을 고쳐야
421
酒客이 淸濁을희랴 나나 마고걸러 술꾼이 청탁을 가려 다나 쓰나 마구 걸러
잡거니 勸거니 量대로 머그리라 잡거니 잔 치거니 마실 만큼 마시리라
醉고 草堂근에 누어신들 엇더리 취하고 초당 밝은 달에 누웠던들 어떠리
422
夕陽에 醉興을 계워 나귀등에 실려시니 저녁 볕 취흥 겨워 나귀등에 실렸으니
十里 溪山이 夢裏에 지내여다 십리 길 시내 산이 꿈속에 지나간다
어듸셔 數聲漁笛이 든 날을 와라 어디서 몇 피리소리 잠든 나를 깨웠다
423
叩馬諫 못 일워든 殷日月에 못 죽던가 말잡고 말 못 이뤄선 은나라때 못 죽었나
首陽山 고사리 긔 뉘 헤 나닷말고 수양산 고사리는 그 뉘 땅에 났단 말고
아므리 푸새엣 거신들 먹을 줄이 이시랴 아무리 푸성귀 것인들 먹을 줄이 있으랴
424
周公도 聖人이샷다 世上사 드러스라 주공도 성인이셔 세상사람 들어보라
文王의 아들이오 武王의 아이로되 문왕의 아들이요 무왕의 아우로서
平生에 一毫驕氣를 내야뵈미 업니 한 삶에 한낱 뽐냄을 내 보임이 없느니
425
南八兒 男兒ㅣ死已연정 不可以 不義屈矣여다
남팔아 사내죽어도 못하니 안 옳아 굽혀
웃고 對答되 公이有言 敢不死아 웃고서 맞아 말해 공의 말 아 안 죽어
千古에 눈물둔英雄이 몃몃줄을 지올고 오랜 옛 눈물진 영웅이 몇줄 눈물 지을까
426
豪華코 富貴키야 信陵君만 가마 한껏 펴 넉넉하기 신릉군만 할까마는
百年 못야셔 무덤 우희 밧츨가니 백년이 못 되어서 무덤 위에 밭을 가니
믈며 녀나믄丈夫ㅣ야 닐러무슴 리오 하물며 그 다른 사내야 일러 무엇 하리오
427
엊그제 쥐비즌 술을 酒桶에 잇재 메고나니 엊그제 쥐빚은 술 술 통째 메고 나와
집안 아들히 허허쳐 웃괴야 집안에 아이들이 허허하며 웃는구나
江湖에 봄 간다니 餞送려 노라 강호에 봄 간다하니 배웅하려 함이라
428
겨월날 스 볏츨 님계신듸 비최고쟈 겨울날 따스한 볕 님 계신데 비치고파
봄미나리 진 마슬 님의게 드리고쟈 봄 미나리 살진 맛을 님에게 드리고파
님이야 무서시업스리마 내못니저 노라 님이야 무엇 없을까만 내 못잊어 하여라
429
어져 世上사 올흔 일도 못다고 어져 세상사람 옳은 일도 못다 하고
구야 그른 일로 업슨 허믈 싯괴야 구태여 그른 일로 없던 허물 싣는구나
우리 이런줄아라셔 올혼일만 리라 우리는 이런줄 알아서 옳은 일만 하리라
430
白髮이 功名이런들 사마다 톨지니 흰머리 이름 냄을 사람마다 다툴지니
날튼 愚拙은 늘거도 못볼랏다 나 같은 못난이는 늙어도 못 보겠다
世上에 至極公道 白髮인가 노라 세상에 다한 함께할 길 흰머린가 하여라
431
世事를 내아더냐 가리라 渭水濱에 세상 일 내 알더냐 가리라 위수 물가
벗이 날다 山水조차 날을 랴 벗이라 날 꺼려서 산수조차 날 꺼리랴
江湖에 一竿漁父ㅣ되야 待天時를 리라 강호에 한낱 어부 돼 때기다림 하리라
432
言忠信 行篤敬고 그른 일 아니면 말 믿겨 몸짓 섬겨 그른 일 아니하면
내 몸에 害업고 아니 무이니 내 몸에 끼침 없고 남 아니 미워하니
行고 餘力이잇거든 學文조차 리라 몸소 해 남은 힘 있거든 글 배움을 하리라
433
대쵸볼 블글柯枝에 후루혀 희고 대추 볼 붉은 가지 후리채 가려 따고
올밤 벙근 柯枝 휘두두려 희주어 올밤이 벌인 가지 휘두들겨 가려주어
벗모화 草堂에드러가니 술이풍풍 이셰라 벗 모아 초당에 드니 술이 풍풍 있어라
434
외야도 올타고 올희야도 외다니 외해도 옳다하고 옳아도 외다하니
世上 人事를 아마도 모를로다 세상에 사람 일을 아마도 모르리라
하리 내왼쳬고 을올타 리라 차라리 내 왼체하고 남을 옳다 하리라
435
百年을 可使人人壽ㅣ라도 憂樂이 中分未百年을
백년을 어쩜 살아도 걱정즐김 나눠 못백년
믈며 百年 반듯기 어려오니 하물며 백년이란 반듯하기 어려우니
두어라 百年前지란 醉코놀려 노라 두어라 백년 되기까진 취해 놀려 함이라
436
桃花梨花杏花 芳草들아 一年春光 恨치마라
복사 배꽃 살구 꽃풀들아 한해봄빛 설워마라
너희 그리여도 與天地 無窮이라 너희는 그리해도 하늘땅과 끝없음이
우리 百歲ㅅ이매 그를슬허 노라 우리는 온 살뿐임에 그를 슬퍼 함이라
437
楚覇王 壯도 죽기도곤 離別셜어 초패왕 굳센 뜻도 죽기보다 헤져 설워
玉帳 悲歌에 눈믈 지여시나 옥 장막 슬픈 노래 눈물을 지었으나
至今히 烏江風浪에 우닷말은 업세라 이제껏 오강 바람물결에 울었단 말 없어라
438
르지나셰지낫즁에 주근後ㅅ면내아냐 가로죽나 세로죽나는 죽은 뒤면 내 알거냐
나 주근 무덤우희 밧츨 가나 논을 나 나 죽은 무덤 위에 밭을 가나 논을 매나
酒不到 劉伶墳上土ㅣ니 아니놀고어이리 술 못가 유령무덤 흙에는 아니놀고 어쩌리
439
말기 죠타고 의 말을 마롤거시 말하기 좋다하고 남의 말을 못할 것이
의 말 내 면 도 내말 거시 남의 말 내가하면 남도 내말 하는 것이
말로셔 말이 만흐니 말 모로미 죠해라 말로써 말이 많으니 말 모름이 좋아라
말하기 싫다 해도 내 할 말 있음인데 말하기 싫다하고 내 할 말 안한 것이
할 말은 해줄 말이 들을 리 없을 거라 내 말해 남 들으면 나도 남말 하는 것이
몰라줄 사람들 다들 저들 말만 하면서 말 않아 말이 적으니 말 못해도 괜찮아
2018.12.22. 조영철 2018. 12. 22 조영철
440
가더니 니즈양여 에도 아니 뵌다 가더니 잊은듯해 꿈에도 아니 뵌다
현마 님이야 그덧에 니저시랴 설마 님이라야 그사이 잊었으랴
내각 애쉬온젼로 님의타슬 삼노라 내 생각 아쉬운 까닭에 님의 탓을 삼으니
441
섬고 놀라올슨 秋天에 기러기로다 몰랐고 놀라울 건 가을하늘 기러기라
너 라 나올제 님이 分明 아라마 너 날아 나올 때를 님이 또렷 알랴마는
消息을 못미처 지 우러녤만 다 소식을 미처 못 맺나 울며가기 하느냐
442
冬至ㅅ 밤기닷말이 나니론 거즛말이 동짓달 밤 길다 말 나는 일러 거짓말이
님 오신 날이면 조차 무이너겨 님 오신 날이라면 하늘조차 밉게 여겨
자 일와 울려 님 가시게 고 자는 닭 일깨워 울려 님 가시게 하는가
443
雪月이 滿窓듸 람아 부지마라 눈에 달이 창 가득해 바람아 불지마라
曳履聲 아닌 줄을 判然히 알건마 발소리 아닌 줄을 가려내 알건마는
그립고 아쉬온 적이면 혀긘가 노라 그립고 아쉬운 때이면 어쩜 맞나 함이라
444
窓밧 셧 燭불 눌과 離別 엿관 창 밖에 섰는 촛불 누굴 떨쳐 보냈기에
눈물 흘리며 속 줄 모로고 눈물을 흘리면서 속 타는 줄 모르는가
우리도 져 燭불틔여 속줄 몰래라 우리도 저 촛불 같아서 속 타는줄 몰라라
445
져 건너 져뫼흘보니 눈와시니 다희거다 저 건너 저 뫼 보니 눈이 와 다 하얗다
져눈곳 노그면 프른빗치 되련마 저 눈 곧 녹아나면 푸른빛이 되련마는
희온後 못 검거슨 白髮인가 노라 흰 뒤에 못 검어지는 건 센머린가 하여라
446
감장새 쟉다고 大鵬아 웃지마라 굴뚝새 작다하고 큰 붕새 웃지 마라
九萬里 長天을 너도 고 저도 다 구만리 먼 하늘을 너도 날고 저도 난다
두어라 一般飛鳥ㅣ니 네오긔오 다르랴 두어라 다들 나는 새니 너나 그나 다르랴
447
越相國 范小伯이 名遂功成 못젼에 월나라 재상 범려 이름 이룸 못한 때에
五湖 烟月이 죠흔 줄 아라마 다섯 호수 안개달이 좋은 줄 알랴마는
西施를 싯노라여 느저 도라 가니라 서시를 싣느라하여 늦어 돌아 가니라
448
술 먹지 마쟈니 술이라셔 제론다 술 먹지 말자하니 술이라서 제 따른다
먹 내 왼가 로 술이 왼가 술 먹는 내 그른가 따르는 술 그른가
盞잡고 려問니 뉘야왼고 노라 잔 잡고 달더러 묻느니 뉘 그른가 하여라
449
天地도 唐虞ㅅ적天地 日月도唐虞ㅅ적日月 하늘땅 요순 때 것 해와 달 요순 때 것
天地 日月이 古今에 唐虞ㅣ로되 하늘땅 해와 달이 예나 이제 요순인데
엇더타 世上人事 나날 달라 가고 어떻게 세상에 사람일 나날 달라 가는가
450
龍치 한 것 게 자 나믄 매를 밧고 용같이 큰 걸음 말 자 남짓 매를 받쳐
夕陽 山路 개 리고 드러가니 저녁볕 산에 길로 개 데리고 들어가니
아마도 丈夫의 노리 이 죠흔가 노라 아마도 사나이 놀이는 이 좋은가 하여라
451
治天下 五十年에 不知왜라 天下事를 다스림 쉰 해 흘러 알지 못해 누리 일을
億兆 蒼生 엿고쟈 願이러냐 온 세상 온 사람을 살펴봐 바램이랴
康衢에 童謠를 드르니 太平인가 노라 거리에 동요를 들으니 태평인가 하여라
452
南薰殿 근 밤의 八元八凱 리시고 남훈전 달 밝은 밤 팔원 팔개 거느리고
五絃琴 一聲에 解吾民之 慍兮로다 오현금 한 소리에 백성 성냄 풀었어라
우리도 聖主를뫼으와 同樂太平 리라 우리도 임금을 모시고 태평 함께 즐기리
凡此無名氏 世遠代邈 莫知其姓名者 범차무명씨 세원대막 막지기성명자
무릇 이 이름 없는 이는 세상 멀고 때 아득해 그 성에 이름 앎이 없는 이라
今皆不可攷 目錄于后 금개불가고 목록우후
이제 다 밝힐 수 없다 뒤에다 보게 적어두고
以待該洽之士 傍參而曲證 無名氏作品跋 이대해흡지사 방참이곡증 무명씨작품발
꼭 맞춤 갖춘 선비로 곁에 자리해 까닭 밝혀내길 기다린다 이름 모른 이가 지은 것에 대해 적다
樂時調 낙시조 가곡 악곡의 하나 마냥 즐겁기만 한 가락
453
조오다가 낙대를 일코 춤추다가 되롱이를 일헤
졸다가 낚싯대 잃고 춤추다 도롱이 잃어
늘근의 망녕을 白鷗ㅣ야 웃지마라 늙은이 넋 나감을 갈매기야 웃지 마라
져 건너 十里桃花에 春興을계워 노라 저 건너 십리 복사꽃에 봄날 들뜸 겨워라
454
도 誤往면 셔고 셧 쇼도 타면 간다
달린 말 잘못 와 서 섰던 소 타 하면 가
深意山 모진 범도 경셰면 도셔니 깊은 산 모진 범도 일깨우면 돌아서니
각시 엇더니완 경셰를不聽 니 각시네 어떤 이기에 깨우침 안 듣느냐
455
물 아레 그림자지니 리우희 즁이간다 물 아래 그림자 져 다리 위에 중이 간다
져 즁아 게 서거라 너 가듸 무러보쟈 저 중아 거기 서게 너 가는데 물어보자
손으로 흰구룸르치고 말 아니코 간다 손으로 흰구름가리키며 말을 않고 그냥가
456
岩畔 雪中孤竹 반갑도 반가왜라 바위두둑 눈 속에 대 반갑고 반가워라
뭇니 孤竹아 孤竹君의 네엇더닌 묻느니 외론 대야 고죽군의 네 어떤 이
首陽山 萬古淸風에 夷齊를본 듯 여라 수양산 먼 옛 맑은바람 백이숙제 본 듯해
457
랑랑 긴긴 랑 지쳔치 내내 랑 사랑사랑 긴긴 사랑 개천같이 내내 사랑
九萬里 長空에 넌즈러지고 남 랑 구만리 먼 하늘에 흐트러져 남는 사랑
아마도 이 님의 랑은 업슨가 노라 아마도 이 님 사랑은 가없는가 하여라
458
물아래 셰가랑모래 아무리다 발자최나며 물 아래 가는 모래
아무리 밟아 발자취 나며
님이날을 아무리괴다 내아더냐 님의 안흘 님이 날 아무리 괴 내 알랴 님의 마음
狂風에 지부친沙工치 기픠를몰라 노라 바람에 나부낀사공같이 깊이몰라하여라
459
랑이 엇더터니 두렷더냐 넙엿더냐 사랑이 어떻더니 둥글더냐 넓적터냐
기더냐 쟈르더냐 발을러냐 자힐러냐 길더냐 짧더냐 발이려나 자이려나
지멸이 긴줄은 모로되 애그츨만 더라 지며리 긴 줄은 모르되 애 끊을만 하더라
460
오도 죠흔 날이오 이곳도 죠흔 곳이 오늘도 좋은 날이 이곳도 좋은 곳이
죠흔 날 죠흔 곳에 죠흔 사람 만나이셔 좋은 날 좋은 곳에 좋은 사람 만나서는
죠흔 술 죠흔 안쥬에 죠히 놀미 죠해라 좋은 술 좋은 안주에 좋게 놂이 좋아라
461
淸明時節 雨紛紛제 나귀목에 돈을걸고 청명 철 비 날릴 제 나귀 목에 돈을걸고
酒家ㅣ 어듸오 뭇노라 牧童들아 술집이 어디 있나 묻느니 소 치기야
져건너 杏花ㅣ니니 게가무러 보읍소 저 건너 살구꽃날리니 거기 물어 보셔요
462
靑山도 절로절로 綠水도 절로절로 푸른 산 절로절로 푸른 물 절로절로
山절로절로水절로절로 山水間에 나도절로 산 절로 수 절로라 산수 사이 나도 절로
두어라 절로 란 몸이 늙기도 절로절로 두어라 절로 자란 몸이 늙기도 절로절로
將進酒辭 장진주사 정철(1536~1593)이 지은 권주가 작품제목이자 악곡명
463
盞 먹새그려 盞 먹새그려 한잔 먹세그려 또 한잔 먹세그려
곳 것거 算노코 無盡無盡 먹새그려 꽃 꺾어 셈하고 다 없이 끝없이 먹세그려
이 몸 주근 後에 이 몸 죽은 뒤에
지게 우희 거적 더퍼 주리혀 여 가나 지게 위에 거적 덮어 졸라 매여 가나
流蘇 寶帳에 萬人이 우러 녜나 꾸며진 상여에다 모든 이 울어 예나
어옥새 속새 덥가나무 白楊 수페 억새 속새 떡갈나무 흰 버들 숲에
가기 곳 가면 가기 곧 가면
누른 흰 가 비 굴근 눈 누른 해 흰 달 가는 비 굵은 눈
쇼쇼리 람 불제 뉘 盞 먹쟈고 쓸쓸히 바람 불 때 뉘 한잔 먹자할까
믈며 무덤 우희 하물며 무덤 위에
나비 람 불제 뉘우들 엇지리 잔나비 휘파람 불 때 뉘우친들 어쩌리
空山木落雨蕭蕭 공산목락우소소 빈산에 나뭇잎 져 비는 쓸쓸해
相國風流此寂寥 상국풍류차적요 정승의 멋진 놀이 이 휑한 고요
惆悵一杯難更進 추창일배난갱진 슬퍼서 한잔하니 또 올림 못해
昔年歌曲即今朝 석년가곡즉금조 지난해 노래 가락 바로 이 아침
右 權石洲韠 過松江舊宅有感 우 권석주필 과송강구택유감
여기는 석주 권운(1569~1612)의 송강 옛집을 지나며 느낌
右將進酒辭 松江所製 盖倣太白長吉勸酒之意 우장진주사 송강소제 개방태백장길권주지의
여기 장진주사는 송강이 지은 바이다 무릇 이태백과 장길(李賀)의 술 올림 글 뜻을 본떴고
又取杜工部 緦麻百夫行 우취두공부 시마백부행
또 두공부(杜甫)의 상복 입은 많은 사람의 줄지어 감을 따왔다
君看束縛去之語 詞旨通達 句語悽惋 군간속박거지어 사지통달 구어처완
그대 꽁꽁 묶여 감을 보라는 말 노랫말의 뜻 꿰뚫어 미치고 토막말은 슬프고 안타깝다
若使孟甞君聞之 涙下不但雍門琹也 약사맹상군문지 루하불단옹문금야
어쩜 맹상군더러 듣게 하면 눈물 흘러내려 다만 옹문의 거문고만은 아닐 것이다
孟甞君歌 맹상군가 작자 미상 작품제목이자 악곡명
464
千秋前 尊貴키야 孟甞君만 가마 천년 앞 받들기야 맹상군만 할까마는
千秋後 寃痛이 孟甞君이 더옥 셟다 천년 뒤 설움아픔 맹상군이 더욱 섧다
食客이 젹돗가 名聲이 괴요가 거느린 손 적었던가 이름남이 고요한가
개盜賊 의우름 人力으로 사라나셔 개 도둑 닭 울음에 사람 힘에 살아나서
말이야 주거지여 무덤우희 가싀 나니 머리 세 죽어지어 무덤 위에 가시 나니
樵童 牧竪들이 그 우흐로 것니며셔 나무아이 소치기들 그 위로 거닐면서
슬픈노래 曲調를 부르리라 혜여실가 슬픈 노래 한 가락을 부르리라 헤었을까
雍門調 一曲琹에 孟甞君의 한숨이 옹문가락 거문고에 맹상군의 한숨이
오로 듯 리 듯 오르는 듯 내리는 듯
아야 거문고쳥쳐라 사라선제 놀리라 아이야 거문고 청쳐라 살았을 때 놀리라
右孟嘗君歌 無名氏所製 우맹상군가 무명씨소제
여기 맹상군가는 이름 없는 이가 지은 바이다
盖傷其世間繁華有似一場春夢 개상기세간번화유사일장춘몽
무릇 그 세상에 뒤섞여 꽃 피움이 한바탕 봄날의 꿈과 같음을 아파했으며
備說身後名不如眼前樂之意 비설신후명불여안전락지의
몸 둔 뒤에 이름남이 눈앞에 즐거움보다 못하다는 뜻을 갖추어 말했다
若使薛君之靈 更聽則必沾襟於九原矣 약사설군지령 경청즉필첨금어구원의
어쩜 맹상군의 넋으로 하여금 다시 듣게 하면 반드시 저승에서 눈물져 옷깃을 적시리라
我東人 所作歌曲 專用方言 아동인 소작가곡 전용방언
우리나라 사람이 노랫가락 짓는바 오로지 우리말을 쓰는데
間雜文字 率以諺書 傳行於世 간잡문자 솔이언서 전행어세
이따금 글월글을 섞어 한글로 거느린 책이 세상에 알려져 나돎이다
盖方言之用 在其國俗不得不然也 개방언지용 재기국속부득불연야
무릇 우리말을 씀은 그 나라 삶에 있으니 아니 그럴 수 없음이다
其歌曲 雖不能與中國樂譜比並 기가곡 수불능여중국악보비병
그 노랫가락은 비록 중국악보와 견주어 나란히 하지는 않으나
亦有可觀而可聽者 中國之所謂歌 역유가관이가청자 중국지소위가
또한 볼만하고 들을 만한 것이 있다 중국의 이른바 노래는
卽古樂府曁新聲 被之管絃者俱是也 즉고악부기신성 피지관현자구시야
곧 고악부 및 신성이니 관현에 올린 것이 모두 이것이다
我國則 發之藩音 協以文語 아국즉 발지번음 협이문어
우리나라이면 나타내 덮는 소리 글월말로 맞추니
此雖與中國異 而若其情境咸載 차수여중국이 이약기정경함재
이는 비록 중국하고 다르나 어쩜 그 마음 놓아둠이 다 실리고
宮商諧和 使人詠歎淫佚 궁상해화 사인영탄음일
궁상 가락이 어우러져 사람으로 하여금 뽑아 읊어 진탕 놀아
手舞足蹈則 其歸一也 遂取其表 수무족도즉 기귀일야 수취기표
손이 너울 발이 덩실 춤추면 그 돌아옴 하나라 이윽고 그 드러남을 얻어
表盛行於世者 別爲記之如左 표성행어세자 별위기지여좌
드러나 세상에 한껏 돌아다니는 것을 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적어둠이다
'참고실 > 지식관련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차례(韻字) 해석 (0) | 2019.07.07 |
---|---|
靑丘永言 제3부 (0) | 2019.07.07 |
靑丘永言 제1부 (0) | 2019.07.07 |
步 天 歌 하늘을 걷는(재는) 노래 隋 丹元子 / 唐 王希明 (0) | 2019.06.09 |
우리나라 漢詩 五言絶句 (0) | 2019.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