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진적(傳世珍籍)
[요약] (傳: 전할 전. 世: 대 세. 珍: 보배 진. 籍: 서적 적)
후세에 전할 만한 진귀한 책.
) -->
[내용] 경남신문 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전세진적(傳世珍籍)의 글.
) -->
조선시대 세종대왕(世宗大王)은 한글 창제한 업적만 있는 것이 아니고, 우리나라의 학문을 크게 일으켰다.
그는 집현전(集賢殿)이란 연구기관을 만들어 젊고 실력 있는 학자들을 발탁해 전문적으로 연구와 저술만 하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했다.
젊고 실력 있는 학자들이 과거에 합격해 벼슬에 나오면 직무에 얽매여 공부할 시간이 없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30명 내외의 학자들을 선발해 녹봉(祿俸)은 그대로 주면서 연구에 몰두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집현전에서 한글 창제를 주도했음은 물론이고 ‘치평요람(治平要覽)’, ‘동국정운(東國正韻)’ 등 수많은 책을 편찬해 냈다.
책을 편찬하는 과정에서 세종대왕은 직접 편찬 과정의 토론에 참여했고 마지막 교정은 반드시 자신이 직접 해 책의 완성도를 높였다.
또 사가독서(賜暇讀書) 제도를 창안했는데, 관리들에게 녹봉은 그대로 주면서 휴가를 줘 조용한 곳에 가서 독서와 토론에만 전념하도록 하는 제도였다.
퇴계(退溪)나 율곡(栗谷) 같은 대학자들이 모두 이 사가독서의 혜택을 입었다. 세계 최초의 연구년 제도가 아닌가 한다.
세종 자신이 워낙 공부를 좋아해 임금이 강의 듣는 학교인 경연(經筵)에 자주 나왔는데, 어떤 때는 아침에 나오고, 오전에 나오고, 오후에 나오고, 또 밤에 나오는 등 하루 네 번씩 나오는 날도 있었다.
세종대왕이 명하여 1420년 활자로 간행, 신하들과 함께 공부해 손때가 묻은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이 지난해 10월 16일 상하이도서관에서 발견됐다.
[添] 資治通鑑綱目; 1438년(세종 20)에 간행된 중국의 역사서.보물 제552호. 『자치통감강목』은 송나라의 주희(朱熹)가 사마광(司馬光)이 지은 『자치통감』을 『춘추(春秋)』의 체재에 따라 사실(史實)에 대하여 큰 제목으로 강(綱)을 따로 세우고 사실의 기사는 목(目)으로 구별하여 편찬한 것이다.
세종은 이 책을 애독하여 집현전문신에게 훈의(訓義)를 만들게 하는 한편, 이를 간행하도록 명하였다. 그리하여 1436년 진양대군 유(晉陽大君瑈: 뒤의 세조)가 대자를 써서 주조한 병진자(丙辰字)로 강을, 갑인자(甲寅字)로 중·소자인 목을 찍어 『사정전훈의자치통감강목(思政殿訓義資治通鑑綱目)』을 간행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자치통감강목 [資治通鑑綱目]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그 뒤 세종은 집현전 학사들에게 명해 우리나라 학자들이 공부하기 편리하도록 주석을 새로 붙여 편찬하도록 해 세종 20(1438)년에 갑인자(甲寅字)로 간행했다.
중국에서는 그 뒤에 주석서인 ‘자치통감강목집람(資治通鑑綱目集覽)’이 나왔다. 자치통감강목에 대한 주석서가 나온 것은 우리나라보다 늦었다.
세종대왕이 신하들과 공부하던 이 책은, 그 뒤 한씨(韓氏), 홍씨(洪氏) 집안을 거쳐 임진왜란 때 일본인들에게 약탈을 당해 한동안 일본에 있었다.
1920년대 중국의 학자이자 장서가인 서서(徐恕)에 의해서 수집돼 중국으로 갔다가 지금 상하이박물관에 안착한 것이다.
우리 조상들의 손때가 묻은 진귀한 책이 난리를 만나 다른 나라를 유랑하다가 그곳에 정착한 것은 우리의 슬픈 역사를 대변한다.
우리나라의 귀중한 문화유산이 외교적인 통로를 통해 우리나라로 반환돼 우리 손에서 자손 대대로 전해질 수 있는 길을 찾아야겠다.
'글,문학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식허담(粉飾虛談) (0) | 2016.06.21 |
---|---|
史之闕文(사지관문) (0) | 2016.06.21 |
봉법국강(奉法國强) (0) | 2016.06.19 |
直道而行(직도이행) (0) | 2016.06.19 |
무언불수(無言不讐) (0) | 2016.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