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m가 넘는 발원자 명단에는 공민왕의 몽골식 이름인 ‘백안첩목아(伯顔帖木兒·붉은 박스)’가 등장하고 있다. 사진제공=미술사연구회.
확인된 불사 발원자만 1078명
10m 넘는 비단에 빼곡히 기록
발표자들 “압도적으로 많은 숫자”
바늘주머니 등 처음 보는 유물도…

 

청양 장곡사의 숨겨진 보물이 베일을 벗었다. 오랫동안 행방을 알 수 없었던 금동약사여래좌상(보물 제337호)의 복장유물이 지난해 극적으로 되돌아오면서, 이 성보들을 구체적으로 조명하는 학술대회가 처음으로 열린 것이다. 미술사연구회는 지난 12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과 복장유물’을 주제로 전국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 불상의 복장유물은 1950년대 개봉됐다는 기록만 전해질 뿐 반세기 넘게 행방불명 상태였다. 그러던 중 2012년 서호스님이 주지로 부임하면서 본격적으로 유물 찾기에 나섰다.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1년 동안 수소문한 끝에 유물의 실체를 확인해줄만한 결정적인 단서를 발견했다. 개봉 당시 도난방지 및 보존 차원에서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다는 1950년대 학술논문을 찾아낸 것이다. 이후 스님은 박물관 측에 성보를 제자리에 모셔야 한다는 뜻을 줄기차게 피력했으며, 이런 사찰 측의 요구가 받아들여져 발원문을 포함한 44점의 복장유물을 찾아왔다. 현재 유물들은 안전을 위해 불교중앙박물관으로 이전해 보관중이다.

금동약사여래좌상의 복장유물 중 단연 눈에 띄는 것은 발원문이다. 1346년(고려 충목왕 2년) 불상 조성 당시 참여한 1078여명의 시주자 이름과 백운스님의 발원문이 홍색으로 천연염색을 들인 한 폭의 비단에 빼곡히 기록돼 있다. 그 길이만 10m(가로 1058cm, 세로 48cm)가 넘는다. 같은 해 서산 문수사에서 조성된 금동아미타여래좌상 조성에 323명이 참여한 것과 비교하면 압도적으로 많은 숫자이다. 이 발원문은 고려시대 약사불 조성 및 발원에 관한 유일한 자료이기도 하다.

이날 학술대회 발표자들도 바로 이 복장 발원문에 주목하고 관련 논문들을 발표했다. 신은제 부산 동아대 교수는 “1000명 이상의 명단이 복장 발원문에서 확인된 것은 유례없는 경우”라며 이를 토대로 당시 불사에 참여한 발원자들과 발원내용을 심층 분석했다. 특히 신 교수는 공민왕(1330~1374)의 몽골식 이름인 ‘백안첩목아(伯顔帖木兒)’가 등장하는 사실에 주목했다. 신 교수는 “당시 고려에 대한 원의 간섭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였다”면서 “공민왕은 전례에 따라 볼모로 원의 연경에 있었지만 공민왕과 관련 있는 인물이 그를 대신해 불사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또 이 발원문이 현재까지 유일한 약사여래불의 복장 발원문이라고 강조했다. 현전하는 8건의 고려시대 복장 발원문 가운데 5건은 아미타불, 2건은 보살상이기 때문이다. 신 교수에 따르면 약사여래 복장 발원의 시주자들 가운데는 하층계급 민중들이 다수이며, 관직자의 경우 무관들이 주요 참여자였다. 또 상층계급 여성들 가운데 지위가 높은 ‘군부인’이 다수 이름을 올렸다. 신 교수는 “이런 특징은 질병과 죽음으로부터 구제라는 약사신앙이 가진 현세이익적 성격, 장부의 몸을 갖게 해 주겠다는 약사여래의 서원이 작동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아름다운 오방색과 한 땀 한 땀 놓은 바느질이 그대로 남아있어 학계 연구자들을 놀라게 한 바늘집노리개(바늘주머니). 사진제공=미술사연구회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다른 복장에서 볼 수 없었던 형태의 장신구인 바늘집노리개(바늘주머니)에 대한 발표도 있었다. 심연옥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는 “바늘집노리개는 각색의 직금(織金)직물 18점을 사용하고 자수 및 금박을 곁들여 정교하고 화려하게 꾸몄다”면서 “직금 향낭과 바늘집노리개를 통해 고려시대 여인들의 화려했던 장신구 문화를 엿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 장신구 구성형태는 상단의 호리병부분과 하단의 제부부리 댕기모양의 드림(매달아서 길게 늘이는 물건)으로 이뤄졌다. 호리병 형태는 앞뒷면을 동일하게 제작했으며, 초록·노랑·아청·백·홍 등 오방색 직금 8종류 16조각으로 구성했다고 심 교수는 밝혔다. 심 교수는 “조선시대와 근대 유물 중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장신구가 있지만, 고려시대 복장유물로는 처음 등장하는 것”이라며 “바늘을 넣어 보관할 수 있고 노리개로도 사용돼 바늘집노리개라고도 하는데, 화려한 장식과 구성으로 보아 고려시대 여인들의 노리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발표자로 나선 정은우 동아대 교수도 “아름다운 오방색과 한 땀 한 땀 놓은 바느질이 그대로 남아 있어 놀랍다”며 향후 이 복장유물의 정확한 용도를 밝히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한편 복장(腹藏)이란 부처님을 조성할 때 부처님 배 안에 사리와 경전 등을 넣는 것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