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제소 '영롱이.진이' 2~3년전 죽었다"
연합뉴스 | 입력 2009.08.27 16:24 | 수정 2009.08.27 16:30
황우석 박사 최측근 연구원 밝혀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 황우석 사단이 국내 최초 체세포 복제 젖소와 한우라고 주장한 '영롱이'와 '진이'가 이미 2~3년 전 죽은 것으로 알려졌다.
황 박사와 함께 복제소 연구활동을 하는 모 대학 A교수는 27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영롱이와 진이가 이미 2~3년 전 죽었다"라며 "황 박사의 논문 파동을 겪으면서 이 복제소들을 제대로 관리할 경황이 없어 정확하게 언제 죽었는지 기억하는 사람은 없다"라고 말했다.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 황우석 사단이 국내 최초 체세포 복제 젖소와 한우라고 주장한 '영롱이'와 '진이'가 이미 2~3년 전 죽은 것으로 알려졌다.
황 박사와 함께 복제소 연구활동을 하는 모 대학 A교수는 27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영롱이와 진이가 이미 2~3년 전 죽었다"라며 "황 박사의 논문 파동을 겪으면서 이 복제소들을 제대로 관리할 경황이 없어 정확하게 언제 죽었는지 기억하는 사람은 없다"라고 말했다.
A교수는 또 "죽은 영롱이와 진이의 사체도 어떻게 처리했는지 확인되지 않는다"라며 "다만 소각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말했다.
이어 "영롱이와 진이는 고령으로 자연 도태된 것이고 이 같은 수명은 일반 소들과 비슷하다"라며 "복제소라서 일찍 죽은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A교수는 "영롱이와 진이의 도태 과정에 대해서는 황 박사도 자세히 알지 못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992년 2월12일 경기도 이천시 한 농장에서 태어난 복제 젖소 영롱이와 같은 해 3월27일 태어난 복제 한우 진이는 이후 광주시 퇴촌면 한 농장에서 2, 3세를 출산하며 관리됐다.
그러나 2005년 11월 황 박사 논문 파동이 일어나면서 복제소 영롱이와 진이 역시 진위논란에 휩싸였다.
이 과정에서 두 복제소는 사실상 관리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영롱이가 목격된 것은 논문 파동이 일어나기 몇 개월 전 손학규 당시 경기지사가 광주 목장을 방문했을 때가 마지막이었다.
A교수는 "내가 영롱이가 태어날 때 직접 받은 사람"이라며 "영롱이와 진이는 진짜 체세포 복제소이며 가짜일 수 있다는 일부의 주장에 답답할 뿐"이라고 말했다.
kwang@yna.co.kr
(끝)
이어 "영롱이와 진이는 고령으로 자연 도태된 것이고 이 같은 수명은 일반 소들과 비슷하다"라며 "복제소라서 일찍 죽은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A교수는 "영롱이와 진이의 도태 과정에 대해서는 황 박사도 자세히 알지 못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992년 2월12일 경기도 이천시 한 농장에서 태어난 복제 젖소 영롱이와 같은 해 3월27일 태어난 복제 한우 진이는 이후 광주시 퇴촌면 한 농장에서 2, 3세를 출산하며 관리됐다.
그러나 2005년 11월 황 박사 논문 파동이 일어나면서 복제소 영롱이와 진이 역시 진위논란에 휩싸였다.
이 과정에서 두 복제소는 사실상 관리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영롱이가 목격된 것은 논문 파동이 일어나기 몇 개월 전 손학규 당시 경기지사가 광주 목장을 방문했을 때가 마지막이었다.
A교수는 "내가 영롱이가 태어날 때 직접 받은 사람"이라며 "영롱이와 진이는 진짜 체세포 복제소이며 가짜일 수 있다는 일부의 주장에 답답할 뿐"이라고 말했다.
kwang@yna.co.kr
(끝)
....................................................................................................
<'한우 수명은?'..'워낭소리'로 관심>
농진청 "평균 15년에 일소는 30년도 가능"
(수원=연합뉴스) 신영근 기자 = 최근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 '워낭소리'가 기축년 소의 해에 많은 이들의 가슴을 적시고 있다.
한편으로는 40년을 살면서 30년을 노인과 동행한 황소 이야기가 궁금증을 낳고 있다.
(수원=연합뉴스) 신영근 기자 = 최근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 '워낭소리'가 기축년 소의 해에 많은 이들의 가슴을 적시고 있다.
한편으로는 40년을 살면서 30년을 노인과 동행한 황소 이야기가 궁금증을 낳고 있다.
과연 한우는 얼마나 오래 살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 한우의 수명은 15년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예전에는 15년 이상 산 소들이 많았다는 것이 농촌진흥청 전문가의 설명이다.
국립축산과학원 임석기 한우시험장장은 "우리나라의 소는 8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농기계를 대신하는 일소였지만 농업기계화가 이뤄지고 국민소득이 높아지면서 고기소로 전환돼 자연수명을 다 채우는 경우는 드물다"고 말했다.
그는 "그렇지만 도축되지 않고 계속 사육된다고 가정할 때 15년에서 20년까지 살 수 있고 농부와 한 집에 살면서 먹고 일하는 일소의 경우 최고 30년까지도 살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가축이 아닌 가족으로 소를 대우했던 우리 농가에서 소는 천수를 누릴 수 있었지만 오늘날 대한민국 소들의 평균 수명은 '워낭소리' 황소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대부분의 한우는 사료 급여와 체중 증가의 상관관계를 고려해 생후 24~30개월, 즉 3년을 넘기지 못하고 도축돼 고기로 인간에 봉사한다.
그 이상 키울 경우 사료 투여량에 비해 소의 체중이 늘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설명이다.
암소의 경우는 그나마 출산 과정을 겪기 때문에 수소보다는 다소 오래 산다.
하지만 세 번 이상 출산을 하면 육질이 나빠져 대부분 두 번째 출산을 마치고 도축된다. 그렇게 암소가 사는 기간은 평균 50개월, 4년 정도다.
한우 중 천수에 가까운 삶을 누리는 소는 씨수소인 '종모우(種牡牛)'다.
종모우는 일단 선발까지 5년이 넘는 시간이 필요하고 선발된 다음 2~3년은 정액을 채취하기 때문에 최소 8년에서 10년까지 살 수 있다고 농진청은 밝혔다.
그러나 해마다 선발되는 종모우의 숫자가 20마리 정도에 불과한 점을 감안할 때 대한민국에서 10살 넘은 한우를 만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임석기 시험장장은 "영화 '워낭소리'에 등장한 황소가 40년을 산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며 "아마도 농부의 정성 속에 일소 역할을 하며 적당한 노동을 한 것이 40년 장수의 비결인 듯싶다"고 밝혔다.
drops@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geenang
(끝)
일반적으로 한우의 수명은 15년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예전에는 15년 이상 산 소들이 많았다는 것이 농촌진흥청 전문가의 설명이다.
국립축산과학원 임석기 한우시험장장은 "우리나라의 소는 8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농기계를 대신하는 일소였지만 농업기계화가 이뤄지고 국민소득이 높아지면서 고기소로 전환돼 자연수명을 다 채우는 경우는 드물다"고 말했다.
그는 "그렇지만 도축되지 않고 계속 사육된다고 가정할 때 15년에서 20년까지 살 수 있고 농부와 한 집에 살면서 먹고 일하는 일소의 경우 최고 30년까지도 살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가축이 아닌 가족으로 소를 대우했던 우리 농가에서 소는 천수를 누릴 수 있었지만 오늘날 대한민국 소들의 평균 수명은 '워낭소리' 황소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대부분의 한우는 사료 급여와 체중 증가의 상관관계를 고려해 생후 24~30개월, 즉 3년을 넘기지 못하고 도축돼 고기로 인간에 봉사한다.
그 이상 키울 경우 사료 투여량에 비해 소의 체중이 늘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설명이다.
암소의 경우는 그나마 출산 과정을 겪기 때문에 수소보다는 다소 오래 산다.
하지만 세 번 이상 출산을 하면 육질이 나빠져 대부분 두 번째 출산을 마치고 도축된다. 그렇게 암소가 사는 기간은 평균 50개월, 4년 정도다.
한우 중 천수에 가까운 삶을 누리는 소는 씨수소인 '종모우(種牡牛)'다.
종모우는 일단 선발까지 5년이 넘는 시간이 필요하고 선발된 다음 2~3년은 정액을 채취하기 때문에 최소 8년에서 10년까지 살 수 있다고 농진청은 밝혔다.
그러나 해마다 선발되는 종모우의 숫자가 20마리 정도에 불과한 점을 감안할 때 대한민국에서 10살 넘은 한우를 만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임석기 시험장장은 "영화 '워낭소리'에 등장한 황소가 40년을 산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며 "아마도 농부의 정성 속에 일소 역할을 하며 적당한 노동을 한 것이 40년 장수의 비결인 듯싶다"고 밝혔다.
drops@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geenang
(끝)
'줄기세포의 진실 > 진실밝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너피 특허권 침해소송의 전말 (0) | 2009.09.19 |
---|---|
`황우석사단' 재기의 기지개 펴나 (0) | 2009.09.14 |
황우석 "자살하는 사람 심정 알겠다" 최후진술 (0) | 2009.08.25 |
<일지>황우석 박사, 기소에서 결심공판까지 (0) | 2009.08.25 |
<일지>황우석 박사, 기소에서 결심공판까지 (0) | 2009.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