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대제는 땅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드리는 국가적인 제사로, 사(社)는 땅의 신, 직(稷)은 곡식의 신을 의미한다. 예로부터 나라를 세우면 먼저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고 이와 함께 땅과 곡식의 신에게 백성이 편안하게 살 수 있도록 풍요를 기원하는 사직제를 올렸다.
삼국시대부터 행해진 사직에 대한 제사는 자연에 감사하는 우리 조상들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조선의 태조는 나라를 세우면서 궁궐과 함께 종묘, 사직단(사적 제121호)을 마련하여 경복궁의 동쪽에는 종묘를, 서쪽에는 사직단을 설치하고, 각 지방에도 사직단을 세워 백성의 편안함과 풍년을 기원하였다.
사직단은 북쪽에 신위를 모시고 동서로 사단(社壇)과 직단(稷壇)을 배치하였다. 제사는 보통 2월과 8월에 지내고, 나라의 큰일이나 가뭄이 있을 때에는 기우제를 지내기도 하였다. 제사를 지내는 절차나 격식은 때에 따라 조금씩 달라져 왔으나 점차 중국의 방식을 모방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우리 고유의 예를 갖추게 되었다. 오늘날 행해지는 제사의식은 소·돼지·양의 생고기를 비롯한 각종 곡식을 마련하고, 전폐·영신례·초헌례·아헌례·종헌례·음복례 및 망예을 의식화하여 진행한다.
사직제에 사용되는 음악, 무용, 음식, 의복, 의기(儀器) 등을 비롯하여 제사를 행하는 우리 고유의 제사절차 등은 전통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제사의식은 아직도 곳곳에 남아 있는 터줏대감이나 산신 등에 제사하는 민속이나 전통관습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정리하는데 기준이 되는 중요한 우리의 문화유산이다.
사직대제는 고종 31년(1894)에 이르러 신관제(新官制)로 바뀌었고, 순종 2년(1908) 일본의 강압에 의해 폐해졌다. 이후 1988년 10월 종묘제례의 기능보유자인 이은표 옹의 고증을 통해 복원하여 봉행되어 왔다. 현재 전주이씨대동종약원대에 있는 사직대제봉행위원회에서 사직대제를 보존·계승하고 있다.
임금님은 조선9대한제국)이 멸망하지 않았았으면 현재 황제(임금님)으로 계실분입니다.
좌측은 옛날에 제사때 임금님을 모시는 사람을 제사때 임시벼슬인 예의사라 불렀고 예의사는 예조판서가 맡았습니다. 현재는 찬례라부르지요
제사에 앞서 임금님이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4번 절하고 있는 모습임당.
임금님이 다른 제관의 제사를 지내는 모습을 보고 계시는 중임당
황제가 쓰고 있는 것을 면류관이라 하는데,
사극에서 보셨겠지만 면류관에 늘어진 줄이 12줄이면 황제, 9줄이면 전하, 7줄이면 세자가 쓰지요. 중국은 황제국이라하여 12줄을쓰고 우린 9줄을 썼는데, 1897년 고종황제께서 대한제국을 선포하시면서 외세의 사슬을 끊어내고 자주독립국가임을 만 천하에 선언하면서 황제국이되어 그때부터 12줄 황제국 면류관을 쓰게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