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조절/민간요법

당뇨·비만 : 칡뿌리·삽주뿌리 등 효과

淸潭 2006. 11. 2. 10:11
 

당뇨·비만 : 칡뿌리·삽주뿌리 등  효과

 얼마 전 대한당뇨병학회에서는 10년 이내 전 국민의 4분의1 정도가 당뇨병 피해

를 볼 수 있다는 `당뇨 대란`의 가능성을 경고했다. 원인으로는 비만과 마찬가지

로 동물성 식품과 지방질 섭취의 증가, 신체 활동량의 감소를 들었다.

조선시대 명의 허준의 동의보감 소갈(당뇨의 한의학적인 옛 명칭)편에도 동일한 

내용이 나온다. 동의보감에서는 소갈의 원인을 `비만한 사람의 고량지질(膏粱之疾)`

이라고 표현했다. 고량지질이란 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음식을 과도하

게 먹어서 오는 병이란 뜻이다.

이처럼 당뇨와 비만의 관계는 아주 밀접하다. 특히 전체 당뇨병의 90%인 인슐린 

비(非)의존형 당뇨병은 몸 안에 과도하게 축적된 체지방이 인슐린의 작용을 방해

하는 게 주된 발병 원인으로 지적된다. 따라서 체지방 감소를 위주로 하는 비만치

료는 당뇨병 해결에 근본적인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확실한 예방책이기도 하다.

과거에는 당뇨환자의 음식을 보리밥에 된장국으로 제한하고 많은 금기식을 두었

다.그러나 최근에는 고지방식을 제외한 여러가지 음식을 골고루 잘 섭취함으로

써 환자가 표준체중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방법은 비만인 에게도 그

대로 해당되는 좋은 식사법이다.

또한 당뇨병 환자에게는 조깅·수영·걷기와 같은 적당한 강도의 유산소 운동을 권

한다.

운동은 혈중에 넘쳐나는 포도당을 연소시켜 혈당 수치를 정상화시키고 손과 발의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순환을 도와주는 가장 건강한 방법이다.

이 때 유산소 운동의 강도를 조금만 높여주면 체지방을 감량시키는 비만인을 위

한 운동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혈당수치가 3백㎎/㎗ 이상이거나 고혈압과 같은 

합병증이 있는 당뇨환자는 운동시에 전문인의 세심한 관리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

한방에서 당뇨 치료에 칡뿌리(갈근)·삽주뿌리(창출)·하늘타리 뿌리(천화분)·단너

삼(황기)·지모·황백 등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러한 약재는 비만 치료에도 자주 쓰

이는 것들이다. 비만한 당뇨인에게는 체질과 증세에 맞는 약재를 선택해 평소 

차(茶)처럼 계속 마실 것을 권한다. 

손영태 몸앤맘 한의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