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예산현〔禮山縣〕

淸潭 2023. 2. 17. 19:57

동국여지지 제3 / 충청도(忠淸道) 우도(右道)○홍주진(洪州鎭)

예산현〔禮山縣〕

 

동쪽으로 온양군(溫陽郡) 경계까지 28리이고, 남쪽으로 대흥현(大興縣) 경계까지 9리이고, 서쪽으로 덕산현(德山縣) 경계까지 22리이고, 북쪽으로 신창현(新昌縣) 경계까지 21리이다. 서울과의 거리는 295리이다.

 

한전(旱田)

 

수전(水田)

 

건치연혁(建置沿革)

본래 백제 오산현(烏山縣)이다.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에 고산(孤山)으로 고치고 임성군(任城郡) 영현(領縣)으로 삼았다. 고려 초에 예산현(禮山縣)으로 고쳤고, 현종(顯宗) 때에 천안부(天安府)에 편입시켰다가 뒤에 다시 예산현을 설치하였다. 본조에서 그대로 따랐다. 관장하는 면은 9개이고, 관원은 현감과 훈도이다. 1인이다.

 

군명(郡名)

오산(烏山), 고산(孤山)

 

산천(山川)

금오산(金烏山) 현 북쪽 2리에 있다. 진산(鎭山)이다.

남산(南山) 현 남쪽 6리에 있다.

도고산(道高山) 현 북쪽 11리에 있다. 신창현(新昌縣)에도 보인다.

소기현(蘇機峴) 현 동북쪽 28리에 있다.

내천(渿) 바로 대흥현(大興縣) 내천의 하류로서, 현 서쪽 9리 무한성(無限城) 아래를 지난다. 일명 무한천(無限川)이라고 한다. 현 북쪽 19리에 이르러 호두포(狐頭浦)가 되는데, 조수(潮水)가 서로 통한다. 또 북쪽으로 흘러 신창현 정포(井浦)에 들어간다.

 

토산(土産)

자기(磁器), 복령(茯苓), [], 숭어[秀魚], [], 웅어[葦魚]

 

학교(學校)

향교(鄕校) 현 동쪽 1리에 있다.

 

궁실(宮室)

객관(客館)

 

우역(郵驛)

일흥역(日興驛) 현 서쪽 13리에 있다.

무한성원(無限城院) 무한성 아래에 있다. ○ 본조 이산해(李山海)의 시에,

백발로 서풍에 홀로 누대 의지하니 / 白髮西風獨倚樓

고금의 인사가 도무지 아득하여라 / 古今人事儘悠悠

가을 산 저물어 가고 물소리 먼데 / 秋山欲暮水聲遠

무한성 가에서 무한히 시름에 젖노라 / 無限城邊無限愁

하였다.

고사원(古沙院) 현 동쪽 13리에 있다.

 

관량(關梁)

전탄교(箭灘橋) 현 서쪽 10리에 있다. 판교(板橋), 매년 다시 만든다. 내천(柰川)에 놓여 있다.

 

사묘(祠廟)

사직단(社稷壇) 현 서쪽에 있다.

문묘(文廟) 향교에 있다.

성황사(城隍祠) 현 동쪽 1리에 있다.

여단(厲壇) 현 북쪽에 있다.

 

능묘(陵墓)

김구(金絿) 묘 현 서북쪽 12, 종경리(宗敬里)에 있다.

 

사찰(寺刹)

향천사(香泉寺), 안락사(安樂寺), 관정사(觀正寺) 모두 도고산(道高山)에 있다.

 

고적(古蹟)

무한성(無限城) 현 서쪽 9리에 있다. 언덕 하나가 내천(渿)에 임해 있고 성은 그 위를 둘러 있다. 돌로 쌓았고 둘레가 2002자이다. 안에 우물이 하나 있었다. 지금은 없어졌다.

 

명환(名宦)

 

고려

홍유(洪儒) 태조(太祖) 2(1393)에 오산성(烏山城)을 예산현(禮山縣)으로 고치고 대상(大相) 홍유 및 애선(哀宣)을 보내 유민(流民)을 안집(安集)하게 하였다.

 

본조

유문통(柳文通) 예산 현감이 되었다.

 

인물(人物)

 

본조

이사검(李思儉) 진사로서, 성품이 청렴하고 신중하였으며 집안이 빈한해도 편안하게 여겼다. 효행이 탁월하여 중종조(中宗朝)에 유일(遺逸)로 천거되고 감찰에 제수되었다. 기묘당적(己卯黨籍)에 연좌되어 파직되고 향리로 돌아가 졸하였다.

 

[-D001] 이산해(李山海)의 시 :

〈무한성을 지나며[過無限城]〉이다. 《鵝溪遺稿 卷4 省墓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