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명기(名妓)' 황진이(黃眞伊)가 떠오를 것이외다
그러나 정말 '조선시대의 최고의 기생'으로 감히 홍랑(洪娘)을 꼽겠나이다.
두 기생의 공통점은 예기(藝妓) : 노래 춤 그림 글씨 시문 따위의 예능을
익혀 손님을 접대하는 기생이자 재색을 고루 갖춘 여류 시인이다.
동네 머슴이 황진이를 짝사랑하다가 그만 상사병으로 죽어
그의 상여가 황진이 집 앞을 지나가다 멈춰 어느 점쟁이의
부탁(?)으로 황진이의 속곳을 상여에 덮어 주어 그 상여가
그러나 홍랑은 황진이와 전혀 출신이 다르다홍랑은 비록 관기였지만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명성이 높았던 풍류 문장가 고죽 최경창에게만
일생동안 그의 모든 것을 바친 여인이었다 허허~충신불사이군이요,
열녀불경이부라(忠臣不事二君 烈女不更二夫)충신은 두 임금을
사육신 성삼문을 '충신불사이군'이라면 홍랑은 '열녀불경이부'로
비유될 수 있다 '열녀'는 물론 조강지처 적실인 여인에게만 해당되긴
조선 선조 때 홍원(洪原)땅의 예기(藝妓)이자, 재색을 겸비한
여류시인이기도 하였던 홍랑(洪娘)은 이름을 애절(愛節)이라 하였으며,
유교적 질서가 엄격했던 조선시대에 기생의 신분으로서는 감히
꿈도 꾸지 못할 사대부 가문의 족보에 오르고, 선산에 그의 유골이
묻혔다는 사실을 보면 홍랑이 어떤 인물이었던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함경남도 홍원 출신인 홍랑은 경성(鏡城) 관아의 관기였다.
비록 신분은 비천했으나 문학적인 교양과 미모를 겸비했던 홍랑의
소양과 재질은 양반 사대부나 시인 가객들에 뒤지지 않았다.
일부종사를 맹목으로 실천하지 않아도 되는 자유로운 기생이었지만,
많은 남자들의 유혹에 눈길조차 주지 않고 자신만의정절을 받쳐
이런 홍랑의 아름다운 재색과 지혜는 마침내 당시 삼당시인(三唐詩人)
또는 팔문장(八文章)으로 명성이 높았던 고죽(孤竹) 최경창(崔慶昌)을
만나면서 세세생생에 변하지 않을 뜨거운 사랑을 엮어가게 된다.
전남영암출신인 최경창은 탁월한 문장가인데다가 악기를 다루는
재주와 활 솜씨 또한 뛰어났던 인물인데,1568년과거에 급제하고,
5년 후인1573년(선조 6년)에 함경북도 경성 지방의
변방에 위치한 경성은 예로부터 국방의 요지로 중요한 군사
지역이었으므로 가족을 동반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당시 최고의 문장가로 손꼽히던 고죽 최경창은 경성 땅의 기생이던
운명적이었는지도 모른다. 홀로 고적한 생활을 하던 최경창에게
사람의 농밀한 사랑은 날이 갈수록 깊어져, 결국 홍랑은
군사임무를 수행하는 막중(幕中)에서 최경창과 함께 기거하며
그러나 이듬해인 1574년(선조 7년), 두 사람의 사랑 앞에
속절없는 이별 앞에 홍랑이 할 수 있는 일은 눈물로 밤을
경창이 서울로 떠나는 날, 홍랑은 조금이라도 더 그와 함께
있기 위하여 경성에서 멀리 떨어진 쌍성(雙城)까지 태산준령을
넘어서 며칠 길을 마다 않고 따라가며 최경창을 배웅했다.
그러나 어찌할 것인가! 두 사람은 이윽고 함관령(咸關嶺)고개에
이르렀고, 더 이상 경계를 넘을 수 없었던 홍랑은 사무치는
이미 날은 저물고 비는 내리는데 피할 수 없는 이별 앞에서
그 때 그녀의 눈에 띄는 것이 있었으니 바로 길옆에 피어있는
산 버들이었다. 울음을 삼키면서 홍랑은 그 버들가지를 꺾어
고죽에게 주며 구슬프게 시조 한 수를 읊었으니, 우리가 익히
[주] 한시는 홍랑의 시를 최경창이 漢譯하여 ?方曲이라고
비록 몸은 멀리 떨어져 있어도 님에게 바치는 순정은 잎이 시들었다가도
심기만 하면 다시 싹을 틔우는 묏버들처럼 항상 그의 곁에 있겠다고
다짐한 이 연정가(戀情歌)처럼, 최경창이 떠난 뒤 홍랑은 그리움으로
함관령에서 홍랑과 이별하고 떠나온 최경창 역시 서울에 돌아온 이듬해,
병으로 자리에 누워 봄부터 겨울까지 병석에서 일어나지 못했다.
최경창이 병석에 누워있다는 소식을 들은 홍랑은 서둘러 길을 나섰고,
밤낮으로 쉬지 않고 길을 재촉하여 7일 만에 서울에 이르러 병석에서
홍낭은 수척해진 최경창의 가슴에 얼굴을 파묻고 흐느꼈다.
그리고 잠시도 그의 곁을 떠나지 않고 병 수발을 들었다.
홍랑의 정성으로 최경창의 건강은 빠르게 회복되어 갔으나,
호사다마라고 했던가! 두 사람의 재회는 뜻밖의 파란을 몰고 왔다.
홍랑이 최경창을 간병하는 소문은 최경창이 홍랑을 첩으로 삼았다는
이야기로 비화되었고, 이것이 문제가 되어, 1576년(선조 9년)
양계의 금(兩界禁 : 함경도 사람들의 서울 도성출입을 제한하는 제도)을
어겼다는 이유와, 마침 명종 왕비 인순왕후의 국상이 있었던 직후라
정서적인 분위기까지 겹쳐서 파직을 당하게 되었고, 홍랑은 서울에서
추방되어 어쩔 수 없이 경성으로 다시 돌아가야만 했다.
홍랑은 나라의 법을 원망하면서 떨어지지 않는 발걸음을 옮겨
최경창은 떠나는 홍낭을 이별하면서 절절히 가슴을 오려내는
此去天涯幾日還 오늘 하늘 끝으로 떠나고 나면 언제 돌아오리
至今雲雨暗靑山 지금도 궂은 비구름에 첩첩 청산이 어둡구나.
옛날, 함관령에서 이별할 때 버드나무 가지를 꺾어 보내며 자신처럼
여겨 달라던 홍랑의 시에 최경창은 난초 한포기를 건네는 것으로
홍랑과의 두 번째 만남과 이별 후에 최경창은 변방의 한직으로 떠돌다
1583년(선조 9년)마흔 다섯의 젊은 나이로 객사하고 만다.
멀리 함경도 땅에서 사랑하는 임과 다시 만날 날만 손꼽아 기다리던
홍랑에게 날아든 최경의부음은 그녀를 몸조차 가눌 수 없을 정도의
죽은 자는 다시 돌아오지 못하는(死者不可還生) 법이라.
이제는 다시는 그를 만나지 못할 것이라는 통한에 홍랑은
그러나 홍랑은 다시 마음을 추슬러야만 했다. 객사를 했으니
마땅히 무덤을 돌보는 사람이 없을 것이라는데 생각이 미치자,
최경창의 묘소가 있는 경기도 파주에 당도한 홍랑은 무덤 앞에
움막을 짓고 시묘살이를 시작했다. 그러나 젊고 아름다운
여인이 시묘살이를 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생각 끝에 홍랑은 몸을 씻거나 단장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다른 남자의 접근을 막기 위해 천하일색인 자신의 얼굴에 칼로
그것에 만족하지 않은 홍랑은 또한 커다란 숯 덩어리를 통째로
홍랑은 최경창의 삼년상을 무사히 마친 뒤에도 무덤을 떠나지
허락하지 않았으니, 바로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의
홍랑은 자기 한 몸이야 사랑하는 임의 곁에서 죽더라도 여한이 없지만,
그가 남긴 주옥같은 문장과 글씨들을 보존해야 했기 때문에
죽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최경창이 남긴 유묵을 챙겨서 품에 품은 홍랑은 다시 함경도의
고향으로 향했는데, 그로부터 7년의 전쟁 동안 그녀의 종적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오직 한 사람만을 향해 자신의 모든 것을 불살랐던 홍랑은,
전쟁이 끝난 이듬해인1599년(선조 32년)해주 최씨 문중을 찾아
최경창의 유작을 전한 후, 그의 무덤 앞에서 파란 많고 한많은
한 여인의 일생을 마감하게 된다.
전 국토가 황폐할 정도로 잔혹했던 전쟁 중에서도 오늘날까지
최경창의 시와 문장이 전해지게 된 것은 지극한 사랑과 정성으로
그것을 지켜온 홍랑의 노력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홍랑이 죽자 해주 최씨 문중은 그녀를 집안의 한 사람으로 받아들여
장사를 지내고, 최경창과 부인 善山 林氏가 합장된 묘소 바로 아래
홍랑의 무덤을 마련해 주었으니,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에 있는 해주
최씨의 문중 산에 있는 그녀의 묘비에는 '詩人洪娘之墓'라고 쓰여져 있다.
죽음조차도 갈라놓을 수 없었던 두 사람의 애틋한 사랑은 양반
사대부 문중까지도 감동시켜, 비록 기생의 신분이었지만 최경창의
묘소 바로 아래에 그녀를 머물게 하였던 것이다.
지금쯤 그들은 이별도 없고, 갈등도 없고, 전쟁도 없는 천상에서
재회하여 전생에 못다 이룬 숭고한 사랑을 만끽하고 있으리라.
홍랑의 무덤 옆에는 1980년대에 전국 시가비건립동호회에서 세운
[洪娘歌碑]가 다소곳이 서있는데, 그 시비 앞면의 [孤竹詩碑]에는
홍랑의 [묏버들...] 시를 최경창이 漢譯한 ?方曲이 새겨져 있고,
뒷면 [洪娘歌碑]에는 그녀의 [묏버들...] 원문이 새겨져 있는
톡특한 모습을 하고 있다
.살아서는 만남과 이별을 거듭할 수밖에 없었던 두 사람의 사랑이
죽은 후에는 영원히 함께 있으라는 뜻을 지닌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을 세운 사람의 정성과 재치를 느끼게 하는 노래비가 아닐 수 없다.
최경창(崔慶昌,선조1539∼1583)은 해주 최씨 전한공파(典翰公派 )
19세 손으로 전라남도 영암출생. 자는 가운(嘉運), 호는 고죽(孤竹)이다.
1561년 진사과(進士科), 1568년 문과(文科)에 급제.
관직은 부사(府使)에 그쳤고, 청백리에 올랐다.
율곡 이이(栗谷 李珥), 귀봉 송익필(龜峰宋翼弼),
간이 최립(簡易 崔笠) 등과 수창(酬唱)하여
그들을 팔문장(八文章)이라 불렀으며,
송강 정철(宋江 鄭澈), 만죽 서익(萬竹 徐益) 등과도
절친한 교유(交遊)를 가졌다.
시와 문장에 있어서는 당풍(唐風)지향의 시풍을 진작시켜
옥봉 백광훈(玉峰 白光勳), 손곡 이달(蓀谷李達)과 함께
삼당시인(三唐詩人)이라 불린다.
'글,문학 > 野談,傳說,說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빗나간 화살 (0) | 2019.01.08 |
---|---|
오늘은 소한(小寒) (0) | 2019.01.06 |
黃眞伊(황진이) (0) | 2019.01.04 |
송강 정철(鄭澈)과 妓生 진옥(眞玉)의 사랑 (0) | 2018.12.20 |
冬至(동지)란? (0) | 2018.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