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이야기/禪이야기

거지팔자가 정승팔자로 바뀌다

淸潭 2015. 10. 19. 09:46

 거지팔자가 정승팔자로 바뀌다

중국 당나라 때 배휴(裵休)라는 유명한 정승이 있었다.
그는 쌍둥이로 태어났다
그것도 등이 맞붙은 기형아로 태어나서
칼로 등을 갈라 살이 많이 붙은 아이를 형으로,
살이 적게 붙은 아이를 동생으로 삼았다.

부모는 형과 동생의 이름을 똑같이 '度'로 짓되,
형의 이름은 '법도 도(度)'로 하고,
동생은 '헤아릴 탁(度)'이라고 불렀다. 
배휴는 어릴 때의 형인 배도가 장성한 다음 지은 이름이다.

어려서 부모를 여읜 배도와 배탁은
외삼촌의 집에 몸을 의탁하고 있었다.
어느 날 일행선사(一行禪師)라는 밀교의 고승이
외삼촌의 집으로 찾아와 그들 형제를 유심히 바라 보더니,
방으로 들어가 외삼촌과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었다.

"저 아이들은 누구입니까?"

"저의 생질들인데 부모가 일찍 죽어 제가 키우고 있습니다."

"저 아이들은 내보내시오."

"왜요?"

"저 아이들의 관상을 보아하니 앞은 거지상이요,
뒤는 거적때기상입니다.
워낙 복이 없어 거지가 되지 않을수 없고,
그냥 놓아두면 저 아이들로 말미암아 이웃이 가난해집니다.
그리고 저 아이들이 얻어먹는 신세가 되려면
이 집부터 망해야 하니,
애당초 그렇게 되기 전에 내보내십시오."

"그렇지만 부모가 없는 아이들을 어떻게 내보냅니까?"

"사람은 자기의 복대로 살아야 하는 법!
마침내 이집이 망한다면 저 애들의 업은 더욱 깊어질 것이요."

방문 밖에서 외삼촌과 일행선사의 대화를 엿들은 배도는
선사가 돌아간 뒤 외삼촌께 말씀드렸다.

"외삼촌, 저희 형제는 이 집을 떠나려고 합니다.
허락 하여 주십시오."

"가다니? 도대체 어디로 가겟다는 말이냐?"

"아까 일행선사님과 나눈 말씀을 들었습니다.
우리형제가 빌어먹을 팔자라면 일찍 벌어먹을 일이지,
외삼촌 집안까지 망하게 할 수는 없는 일 아닙니까?
떠나겠습니다.허락하여 주십시오."

자꾸만 만류하는 외삼촌을 뿌리치고
배탁과 함께 집을 나온 배도는 거지가 되어 하루하루를 구걸하며 살았다.
어느 날 형제는 머리를 맞대고 상의하엿다.

"우리가 이렇게 산다면,
일찍 돌아가신 부모님의 혼령도 편안하지 못할 것이다.
산으로 들어가 숯이라도 구워 팔면서 공부도 하고 무술도 익히자."

그들은 산 속에 들어가 숯을 구웠고,
틈틈이 글 읽기를 하고 검술도 익혔다.
그리고 넉넉하게 구워 남은 숯들을 다발다발 묶어
단정한 글씨로 쓴 편지와 함께 집집마다 나누어 주었다.

"이 숯은 저희들이 정성을 들여 구운 것입니다.
부담갖지 마시고 마음 놓고 쓰십시오."

하루 이틀, 한 달 두달....,
이렇게 꾸준히 숯을 보시하자
처음에는 의아하게 생각하던 마을 사람들도
감사하게 생각하였고,
마침내 숯이 도착할 시간이면
'양식에 보태라'며 쌀을 대문 밖에 내어놓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그들 형제는
먹을 만큼 이상의 양식은 절대로 가져가지 않았다.

"이만하면 충분합니다. 감사합니다."

마침내 두 형제에 대한 소문은 온 고을로 퍼져나갔고,
그 소문을 들은 외삼촌이 찾아와
'잠깐만이라도 좋으니 집으로 들어오라'고 하였다.
그들이 집에 이르자 때마침
일행선사도 방문하였는데,
배도를 보더니 깜짝 놀라는 것이었다.

"얘야, 너 정승이 되겠구나."

"스님, 언제는 저희 형제더러 빌어먹겠다고 하시더니,
오늘은 어찌 정승이 되겠다고 하십니까? 거짓말 마시오."

"전날에는 너의 얼굴에 거지 팔자가 가득 붙었더니,
오늘은 정승의 심상(心相)이 보이는구나. 그
동안 무슨 일을 하였느냐?"

배도와 배착이 그 동안의 일을 자세히 말씀드리자
일행선사는 무릎을 치면서 기뻐하셨다.

"그러면 그렇지! 너희들의 마음가짐이
거지팔자를 정승팔자로 바꾸어 놓았구나."

그 뒤 참으로 배도는 정승이 되었고,
동생 배탁은 대장군의 벼슬을 마다하고
황하(黃河)의 뱃사공이 되어
오가는 사람을 건네주며 고매하게 살았다고 한다.

- 일타큰스님 법어 중에서 -

내 업은 내가 기꺼이 받는다는 자세로 살면서
능력  이상으로 보시한 배도와 배탁 형제.
가까운 사람에게 폐를 끼치지 않겠다는 마음가짐과
가난한 이웃을 도운 선행이 거지 팔자를
정승팔자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이 배도 형제들처럼, 좋은 현실 속에서도 교만하지 않고
나쁜 현실 속에서도 좌절하지 않는 사람,
그 사람이야  말로 참다운 불자입니다.
누구든지 세상을 살다보면 좋은
바람을 만날 때도 있고 나쁜 바람을 만날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떠한 바람이 휘몰아쳐 올지라도
흔들리지 않아야 합니다.
인연을 따를 뿐, 바람 따라 흔들려서는 안됩니다.
괴로움과 즐거움, 얻고 잃는 모든 것을
인연으로 받아 들이고 흔들림 없이 살면서 복을 닦으십시오.
복은 복을 닦는 자에게만 깃들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럼 어디에다 복의 씨를 심을 것인가?
복전(福田)에다 복을 심으면 됩니다.

우리들 모두는 복전(福田)을 가지고 있습니다.
밭에다 씨앗을 심으면 온갖 작물이 자라듯,
마음의 밭에 선행의 씨를 심으면 복이 풍성해집니다.
그 밭에다 베풂의 씨를 심으십시오.
배도 형제들처럼 형편 따라 능력 따라 보시를 하게 되면
차츰 마음의 모습인 심상(心相)이 바뀌게 되고,
마침내 큰 복을 이루게 됩니다.
(중략)


배휴(裵休; 790~870)는 지방장관으로 재직하다가
선종(대중황제)이 즉위하고 나서 조정의 상공(相公)
벼슬에 올라 중앙행정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완릉록>에서 보인 바처럼 홍주(洪州)개원사
(開元寺)에서 벽화를 보고 황벽스님에게 거량하던 중,

황벽스님이 "배휴야!"하고 부르자 배휴가
"예!"하고 대답하니 대사가 "어느 곳에 있는고?" 하는
말 끝에 깨치고 이 기연으로 대사의
재속제자(在俗弟子)가 되었습니다.

그는 대사뿐만 아니라
위산 영우(潙山靈祐)선사에도 귀의하였으며,
화림 선각(華林善覺)과도 교분이 있었고,
규봉 종밀(圭峰宗密)과는 도연(道緣)이 깊었습니다.
배휴가 종릉, 완릉 두 곳에서 대사를 모시고
조석으로 문법하기를 게을리 하지 않으며,
그 문답내용을 필록하여 둔 것을 대사의 입멸 후
광당사(廣唐寺)의 옛 법중(法衆)의 증명을 얻어
세상에 유포시킨 것이 <전심법요>인 것입니다.
이 배휴라는 훌륭한 필록자를 얻음으로서 황벽스님의 법문이
세상에 크게 빛을 보게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불교이야기 > 禪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원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0) 2015.10.28
왜 선(禪)이 필요한가....  (0) 2015.10.26
삶과 죽음   (0) 2015.09.30
빈 배 / 장자  (0) 2015.09.22
영혼이 맑은 사람 / 법구경  (0) 2015.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