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2년 간행된 '최근일본지도' ☞ 1912년 간행된 '최근일본지도' ▲... (서울=연합뉴스) 독립기념관이 독도의 날을 하루 앞두고 우리나라의 독도영토주권을 입증해줄 새로운 자료 2점을 수집해 24일 독립기념관 자료실에서 최초 공개했다고 전했다. 이번에 공개한 자료는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가 수집한 자료.. 참고실/역사의기록 2016.10.25
임금님의 이름 임금님의 이름 왕은 절대 군주제로 있을 당시 동서양을 막론하고 매우 특별한 존재로 인식되었지요 그래서 왕의 이름은 서너개가 보통이고 많게는 여섯개까지 있었다 하네요 왕도 태어나면서 부터 붙여지는 이름이 있었는데 거의 외자 이름을 사용하였어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이방.. 참고실/역사의기록 2016.10.21
왜 신라는 흉노족 후예라 밝혔나 왜 신라는 흉노족 후예라 밝혔나 !/EBS 방송 역사추적 신라의 왕은 박혁거세 석 탈해 김 알지의 후손들이 번갈아 왕위를 계승 56명의 왕들이 천 년간을 지배한 국가다. 56명의 왕 중 압도적 다수가 김 씨다. 김 씨 왕의 시초는 13대왕 미추이사금이 시작이다 이전까지 12왕은 박씨가 7왕 석씨가.. 참고실/역사의기록 2016.10.18
흥청망청(興淸亡淸) 흥청망청 갑자사화(甲子士禍) 후 연산(燕山)의 광폭한 행동은 더 심해졌다. 전국에 채홍사(採紅使)를 보내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조금만 예쁘면 징발해 왕실 기생을 만들었는데 1급을 흥청(興淸) 2급은 운평(運平)이라 불렀으며 그 수가 1만명이나 되었다. 이들이 거처할 시설, 음식 및 의.. 참고실/역사의기록 2016.10.16
왕의 명칭에서 祖와 宗의 차이 조선시대 왕의 명칭에서 조와 종의 차이 개국군주 또는 국난 치른 왕은 '祖', 왕위를 정통으로 계승한 왕은 '宗' 조선시대 왕의 명칭을 보면 태조· 세조처럼 '조'(祖)를 쓰기도 하고, 태종· 세종처럼 '종'(宗)을 붙이기도 합니다. 그러면 어떤 경우에 '祖'와 '宗'을 쓰게 될까 임금이 죽은 .. 참고실/역사의기록 2016.10.16
광복 70년 대한민국의발자취 문화역 서울284대한민국의 발자취 2015년9월2일 문화역 서울284(구,서울역) 광복 70년 대한민국의발자취 한국인의 "그때그시절; (요약 계시물) 7 참고실/역사의기록 2016.10.16
조선의 멸망 조선의 멸망 순종 즉위 직후인 1907년 7월, 일제는 이른바 한일신협약(정미 7조약)을 강제로 성립시켜 국정 전반을 일본인 통감이 간섭할수 있도록 하였고 정부 각부의 장관을 일본이 임명하는 이른바 차관 정치를 시작하였다. 이렇게 내정간섭권을 획득한 일본은 곧 재정 부족을 이유로 한.. 참고실/역사의기록 2016.10.10
남인과 서인의 禮론정쟁 남인과 서인의 예론정쟁 효종이 죽자 인조의 계비 자의대비(장렬왕후 조씨)가 어떤 상복을 입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가 정쟁화되었다. 이무렵 조선 조정은 인조반정으로 정권을 장악한 서인 세력과 인조의 중립에 정책으로 기용된 남인 세력으로 양분되어 있었다. 인조, 효종 대에 남인은 .. 참고실/역사의기록 2016.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