卜居(복거)집 장만 ―백거이(白居易·772∼846)
遊宦京都二十春(유환경도 이십춘),수도 장안에서 벼슬한 지 20년,
貧中無處可安貧(빈중무처 가안빈).가난한 삶이나마 즐길 만한 거처가 없네.
長羨蝸牛猶有舍(장선와우 유유사),집 가진 달팽이가 외려 늘 부러웠고,
不如碩鼠解藏身(불여석서 해장신).제 몸 건사할 줄 아는 쥐가 차라리 더 나을 판.
且求容立錐頭地(차구용립 추두지),오직 바라는 건 송곳 꽂을 만큼의 작은 땅,
免似漂流木偶人(면사표류 목우인).목각 인형처럼 떠도는 신세만 면했으면.
但道吾廬心便足(단도오려 심편족).내 집이라 할 수만 있다면 대만족,
敢辭湫隘與囂塵(감사추애 여효진).습하고 좁든 시끄럽고 먼지 나든 가리지 않으리니.
.............................................................................................
'글,문학 >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生涯 (생애) 삶 / 金浩然齋(김호연재). (0) | 2025.04.13 |
---|---|
新莊漫興(신장만흥)-李夢陽(이몽양) (0) | 2025.04.12 |
留別王維(유별왕유)왕유와의 이별 ― 맹호연(孟浩然) (0) | 2025.04.10 |
臥陶軒 李仁老(와도헌 이인로). 白灼藥(백작약) 백작약 (0) | 2025.04.08 |
溪上春日(계상춘일) - 성혼(成渾 )시냇가의 봄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