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字小學(사자소학)
父生我身(부생아신)하시고
: 아버지는
내 몸을 낳으시고
母鞠我身(모국아신)이로다
: 어머니는
내 몸을 기르셨다.
腹以懷我(복이회아)하시고
: 배로써
나를 품어 주시고
乳以哺我(유이포아)로다 : 젖으로써 나를 먹여 주셨다.
以衣溫我(이의온아)하시고
: 옷으로써
나를 따뜻하게 하시고
以食飽我(이식포아)로다
: 밥으로써
나를 배부르게 하셨다.
恩高如天(은고여천)하시고
: 은혜는
높기가 하늘과 같으시고
德厚似地(덕후사지)하시니 : 덕은 두텁기가 땅과 같으시다.
爲人子者(위인자자)가
: 사람의
자식된 자가
曷不爲孝(갈불위효)리오
: 어찌
효도를 하지 않겠는가
欲報其德(욕보기덕)인댄
: 그
은덕을 갚고자 하면
昊天罔極(호천망극)이로다 : 하늘처럼 다함이 없다.
晨必先起(신필선기)하야
: 새벽에는
반드시 먼저 일어나
必洗必漱(필선필수)하며
:
반드시 세수하고 반드시 양치질하며,
昏定晨省(혼정신성)하고
: 저녁엔
잠자리를 정하고 새벽엔 문안을 살피고,
冬溫夏淸(동온하정) 하라: 겨울엔 따뜻하고 여름엔 시원하게 해 드려라.
父母呼我(부모호아)어시든
: 부모님께서
나를 부르시거든
唯而趨進(유이추진)하고
: 빨리
대답하고 달려 나가고
父母使我(부모사아)어시든
: 부모님께서
나를 부리시거든
勿逆勿怠(말역말태)하라 : 거스르지 말고 게을리 하지 말라.
父母有命(부모유명)이어시든
: 부모님께서
명하는 것이 있으시거든
俯首敬聽(부수경청)하라
: 머리를
숙이고 공경히 들어라.
坐命坐聽(좌명좌청)하고
: 앉아서
명하시면 앉아서 듣고
立命立聽(입명입청)하라 : 서서 명하시면 서서 들어라.
父母出入(부모출입)이어시면
: 부모님께서
출입하시거든
每必起立(매필기립)하라
: 매번 반드시 일어나라.
父母衣服(무모의복)을
: 부모님의
의복을
勿踰勿踐(물유물천)하라 : 넘어 다니지 말고 밟지 말라.
父母有疾(부모유질)이어시면
: 부모님께서
병을 앓으시거든
憂而謀瘳(우이모추)하라
: 근심하고
낫게 하기를 꾀하라.
對案不食(대안불식)이어시든
: 밥상을
대하시고서 잡수시지 않으시거든
思得良饌(사득양찬)하라 : 좋은 음식을 장만할 것을 생각하라.
出必告之(출필고지)하고
: 밖에
나갈 때에는 반드시 아뢰고
反必面之(반필면지)하라
: 돌아오면
반드시 뵈어라.
愼勿遠遊(신물원유)하고
: 부디
먼 곳에 가서 놀지 말며
遊必有方(유필유방)하라 : 놀더라도 반드시 일정한 곳이 있게 하라.
出入門戶(출입문호)어든
: 문호를
출입할 때에는
開閉必恭(개폐필공)하라
: 문을
여닫기를 반드시 공손하게 하라.
勿立門中(물립문중)하고
: 문
한가운데 서지 말고
勿坐房中(물좌방중)하라 : 방 한가운데 앉지 말라
行勿慢步(행물만보)하고
: 걸어갈
때에 걸음을 거만하게 걷지 말고
坐勿倚身(좌물의신)하라
: 앉을
때에 몸을 기대지 말라
口勿雜談(구물잡담)하고
: 입으로는
잡담을 하지 말고
手勿雜戱(수물잡희)하라 : 손으로는 장난을 하지 말라.
膝前勿坐(슬전물좌)하고
: 부모님
무릎 앞에 앉지 말고
親面勿仰(친면물앙)하라
: 부모님의
얼굴을 똑바로 쳐다보지 말라.
須勿放笑(수물방소)하고
: 모름지기
큰소리로 웃지 말고
亦勿高聲(역물고성)하라 : 또한 큰소리로 말하지 말라.
侍坐父母(시좌부모)어든
: 부모님을
모시고 앉아 있거든
勿怒責人(물노책인)하라
: 성내어
다른 사람을 꾸짖지 말라.
侍坐親前(시좌친전)이어든
: 부모님
앞에 모시고 앉아 있거든
勿踞勿臥(물거물와)하라 : 걸터앉지 말며 눕지 말라.
獻物父母(헌물부모)어든
: 부모님께
물건을 바치거든
跪而進之(궤이유지)하라
: 꿇어앉아서
올려라.
與我飮食(여아음식)이어시든
: 나에게
음식을 주시거든
跪而受之(궤이수지)하라 : 꿇어앉아서 받아라.
器有飮食(기유음식)이라도:
그릇에
음식이 있어도
不與勿食(불여물식)하라
: 주시지
않으면 먹지 말라.
若得美味(약득미미)어든
: 만약
맛있는 음식을 얻으면
歸獻父母(귀헌부모)하라 : 돌아가 부모님께 드려라.
衣服雖惡(의복수악)이나
: 의복이
비록 나쁘더라도
與之必著(여지필저)하라
: 주시면
반드시 입어라.
飮食雖厭(음식수염)이나
: 음식이
비록 먹기 싫더라도
與之必食(여지필식)하라 : 주시면 반드시 먹어라.
父母無衣(부모무의)어시든
: 부모님이
입으실 옷이 없으시면
勿思我衣(물사아의)하며
: 내가
입을 옷을 생각지 말며
父母無食(부모무식)이어시든
: 부모님이
드실 음식이 없으시거든
勿思我食(물사아식)하라 : 내가 먹을 음식을 생각지 말라.
身體髮膚(신체발부)를
: 신체와
머리털과 피부를
勿毁勿傷(물훼물상)하라
: 훼손하지
말며 상하지 말라.
衣服帶靴(의복대화)를
: 의복과
허리띠와 신발을
勿失勿裂(물실물렬)하라 : 잃어버리지 말며 찢지 말라.
父母愛之(부모애지)어시든
: 부모님께서
사랑해 주시거든
喜而勿忘(희이물망)하라
: 기뻐하며
잊지 말라.
父母責之(부모책지)어시든
: 부모님께서
꾸짖으시거든
反省勿怨(반성물원)하라 : 반성하고 원망하지 말라.
勿登高樹(물등고수)하라
: 높은
나무에 올라가지 말라
父母憂之(부모우지)시니라
: 부모님께서
근심하시느니라.
勿泳深淵(물영심연)하라
: 깊은
연못에서 헤엄치지 말라
父母念之(부모념지)시니라 : 부모님께서 염려하시느니라.
勿與人鬪(물여인투)하라
: 남과
더불어 다투지 말라
父母不安(부모불안)이시니라
: 부모님께서
불안해하시느니라.
室堂有塵(당실유진)이어든
: 방과
거실에 먼지가 있거든
常必灑掃(상필쇄소)하라 : 항상 반드시 물 뿌리고 청소하라.
事必稟行(사필품행)하고
: 일은
반드시 여쭈어 행하고
無敢自專(무감자전)하라
:
감히 자기 멋대로 하지 말라.
一欺父母(일사부모)면
: 한번이라도
부모님을 속이면
其罪如山(기죄여산)이니라 : 그 죄가 산과 같다.
雪裏求筍(설리구순)은
: 눈
속에서 죽순을 구한 것은
孟宗之孝(맹종지효)요
: 맹종의
효도이고,
剖氷得鯉(부빙득리)는
: 얼음을
깨고서 잉어를 잡은 것은
王祥之孝(왕상지효)니라 : 왕상의 효도이다.
我身能賢(아신능현)이면
: 내
몸이 능히 어질면
譽及父母(예급부모)니라
: 명예가
부모님께 미치느니라.
我身不賢(아신불현)이면
: 내
몸이 어질지 못하면
辱及父母(욕급부모)니라 : 욕이 부모님께 미치느니라.
追遠報本(추원보원)하야
: 먼
조상을 추모하고 근본에 보답하여
祭祀必誠(제사필성)하라
: 제사를
반드시 정성스럽게 지내라.
非有先祖(비유선조)면
: 선조가
계시지 않았으면
我身曷生(아신갈생)이리오 : 내 몸이 어디서 생겨났겠는가
事親如此(사친여차)면
: 부모를
섬기는 것이 이와 같으면
可謂孝矣(가위효의)니라
: 효도한다고
이를 수 있다.
不能如此(불능여차)면
: 능히
이와 같이 하지 못하면
禽獸無異(금수무이)니라 : 금수와 다름이 없느니라.
學優則仕(학우즉사)하야
: 학문이
넉넉하면 벼슬을 해서
爲國盡忠(위국진충)하라
: 나라를
위해 충성을 다하고,
敬信節用(경신절용)하야
: 조심해서
미덥게 일하며 재물을 아껴 써서
愛民如子(애민여자)하라 : 백성을 사랑함은 자식과 같게 하라.
人倫之中(인륜지중)에
: 인륜의
가운데에
忠孝爲本(충효위본)이니
: 충과
효가 근본이 되니
孝當竭力(효당갈력)하고
: 효도는
마땅히 힘을 다해야 하고
忠則盡命(충즉진명)하라 : 충성은 목숨을 다해야 한다.
夫婦之倫(부부지륜)은
: 부부의
인륜은
二姓之合(이성지합)이니
: 두
성씨가 합한 것이니
內外有別(내외유별)하야
: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서
相敬如賓(상경여빈)하라 : 서로 공경하기를 손님처럼 하라.
夫道和義(부도화의)요
: 남편의
도리는 온화하고 의로운 것이요
婦德柔順(부덕유순)이니라
: 부인의
덕은 유순한 것이니라.
夫唱婦隨(부창부수)면
: 남편이
선창하고 부인이 이에 따르면
家道成矣(가도성의)리라 : 가정의 법도가 이루어 질 것이다.
兄弟姉妹(형제자매)는
: 형제와
자매는
同氣而生(동기이생)이니
: 한
기운을 받고 태어났으니
兄友弟恭(형우제공)하야
: 형은
우애하고 아우는 공손히하여
不敢怨怒(불감원노)니라 : 감히 원망하거나 성내지 말아야 한다.
骨肉雖分(골육수분)이나
: 뼈와
살은 비록 나누어 졌으나
本生一氣(본생일기)요
: 본래
한 기운에서 태어났으며,
形體雖異(형체수이)나
: 몸의
모양새는 비록 다르나
素受一血(소수일혈)이니라 : 본래 한 핏줄을 받았느니라.
比之於木(비지어목)하면
: 나무에
비유하면
同根異枝(동근이지)며
: 뿌리는
같고 가지는 다른 것과 같고,
比之於水(비지어수)하면
: 물에
비유하면
同源異流(동원이류)니라 : 근원은 같고 흐름은 다른 것과 같다.
兄弟怡怡(형제이이)하야
: 형제는
서로 화합하여
行則雁行(행즉안행)하라
: 길을
갈 때는 기러기 떼처럼 나란히 가라.
寢則連衾(침즉연금)하고
: 잠잘
때에는 이불을 나란히 덮고
食則同牀(식즉동상)하라 : 밥 먹을 때에는 밥상을 함께 하라.
分毋求多(분모구다)하며
: 나눌
때에 많기를 구하지 말며
有無相通(유무상통)하라
: 있고
없는 것을 서로 통하라.
私其衣食(사기의식)이면
: 형제간에
자기들의 의복과 음식을 사사로이하면
夷狄之徒(이적지도)니라 : 오랑캐의 무리이다.
兄無衣服(형무의복)이어든
:
형이 의복이 없거든
弟必獻之(제필헌지)하고
: 아우가
반드시 드리고,
弟無飮食(제무음식)이어든
: 아우가
음식이 없거든
兄必與之(형필여지)하라 : 형이 반드시 주어라.
一杯之水(일배지수)라도
: 한
잔의 물이라도
必分而飮(필분이음)하고
: 반드시
나누어 마시고
一粒之食(일립지식)이라도
: 한
알의 음식이라도
必分而食(필분이식)하라 : 반드시 나누어 먹어라.
兄雖責我(형수책아)나
: 형이
비록 나를 꾸짖더라도
莫敢抗怒(막감항노)하고
: 감히
항거하고 성내지 말고.
弟雖有過(제수유과)나
: 아우가
비록 잘못이 있더라도
須勿聲責(수물성책)하라 :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말라.
兄弟有善(형제유선)이어든
: 형제간에
잘한 일이 있으면
必譽于外(필예우외)하고
: 반드시
밖으로 칭찬하고,
兄弟有失(형제유실)이어든
: 형제간에
잘못이 있으면
隱而勿揚(은이물양)하라 : 숨겨 주고 드러내지 말라.
我有歡樂(아유환락)이면
: 나에게
기쁨과 즐거움이 있으면
兄弟亦樂(형제역락)하고
: 형제들도
즐거워하고,
我有憂患(아유우환)이면
: 나에게
근심과 걱정이 있으면
兄弟亦憂(형제역우)니라 : 형제들도 근심하느니라.
雖有他親(수유타친)이나
: 비록
다른 친척이 있으나
豈若兄弟(개약형제)리오
: 어찌
형제간과 같겠는가.
兄弟和睦(형제화목)이면
: 형제가
화목하면
父母喜之(부모희지)시니라 : 부모님께서 기뻐하시느니라.
事師如親(사사여친)하야
: 스승
섬기기는 어버이와 같이 해서
必恭必敬(필공필경)하라
: 반드시
공손히 하고 반드시 공경하라.
先生施敎(선생시교)어시든
: 선생님께서
가르침을 베풀어주시거든
弟子是則(제자시즉)하라 : 제자들은 이것을 본받아라.
夙興夜寐(숙흥야매)하야
: 아침
일찍 일어나고 밤늦게 자서
勿懶讀書(물나독서)하라
: 책
읽기를 게을리 하지 말라.
勤勉工夫(근면공부)하면
: 공부를
부지런히 힘쓰면
父母悅之(부모열지)시니라 : 부모님께서 기뻐하시느니라.
能孝能悌(능효능제)가
: 부모께
효도하고 웃어른을 공경할 수 있는 것은
莫非師恩(막비사은)이니라
: 스승의
은혜 아닌 것이 없느니라.
能知能行(능지능행)이
: 알
수 있고 행할 수 있는 것은
總是師功(총시사공)이니라 : 모두 스승의 공이니라.
長者慈幼(장자자유)하고
: 어른은
어린이를 사랑하고
幼者敬長(유자경장)하라
: 어린이는
어른을 공경하라.
長者之前(장자지전)엔
: 어른의
앞에서는
進退必恭(진퇴필공)하라 : 나아가고 물러날 때 반드시 공손히 하라.
年長以倍(연장이배)어든
: 나이가
많아 곱절이 되거든
父以事之(부이사지)하고
: 아버지로
섬기고
十年以長(십년이장)이어든
: 열
살이 더 많으면
兄以事之(형이사지)하라 : 형으로 섬겨라.
我敬人親(경노인친)이면
: 내가
다른 사람의 어버이를 공경하면
人敬我親(인경아친)하고
: 다른
사람이 내 어버이를 공경하고,
我敬人兄(아경인형)이면
: 내가
다른 사람의 형을 공경하면
人敬我兄(인경아형)이니라 : 다른 사람이 내 형을 공경하느니라.
人之在世(인지재세)에
: 사람이
세상에 있으면서
不可無友(불가무우)니
: 친구가
없을 수 없으니
以文會友(이문회우)하고
: 글로써
벗을 모으고
以友輔仁(이우보인)하라 : 벗으로써 인을 도와라.
友其正人(우기정인)이면
: 그
바른 사람을 벗하면
我亦自正(아역자정)이요
: 나도
저절로 바르게 되고,
從遊邪人(종유사인)이면
: 간사한
사람을 따라서 놀면
我亦自邪(아역자사)니라 : 나도 저절로 간사해 진다.
蓬生麻中(봉생마중)이면
: 쑥이
삼 가운데서 자라나면
不扶自直(불부자직)이요
: 붙들어주지
않아도 저절로 곧아지고
白沙在泥(자사재니)면
: 흰모래가
진흙에 있으면
不染自汚(불염자오)니라 : 물들이지 않아도 저절로 더러워지느니라.
近墨者黑(근묵자흑)이요
: 먹을
가까이 하는 사람은 검어지고
近朱者赤(근주자적)이니
: 주사(朱砂)를
가까이하는 사람은 붉게 되니
居必擇隣(고필택린)하고
: 거처할
때엔 반드시 이웃을 가리고
就必有德(취필유덕)하라 : 나아갈 때엔 반드시 덕있는 사람에게 가라.
擇而交之(택이교지)면
: 사람을
가려서 사귀면
有所補益(유소보익)하고
: 도움과
유익함이 있고,
不擇而交(불택이교)면
: 가리지
않고 사귀면
反有害矣(반유해의)니라 : 도리어 해가 있느니라.
朋友有過(붕우유과)어든
: 친구에게
잘못이 있거든
忠告善導(충고선도)하라
: 충고하여
착하게 인도하라.
人無責友(인무책우)면
: 사람이
잘못을 꾸짖어 주는 친구가 없으면
易陷不義(역함불의)니라 : 의롭지 못한데 빠지기 쉬우니라.
面讚我善(면찬아선)이면
: 면전에서
나의 착한 점을 칭찬하면
諂諛之人(첨유지인)이요
: 아첨하는
사람이고,
面責我過(면책아과)면
: 면전에서
나의 잘못을 꾸짖으면
剛直之人(강직지인)이니라 : 굳세고 정직한 사람이다.
言而不信(이언불신)이면
: 말을
하되 미덥지 못하면
非直之友(비직지우)니라
: 정직한
친구가 아니다.
見善從之(견선종지)하고
: 착한
것을 보면 그것을 따르고
知過必改(지과필개)하라 : 잘못을 알면 반드시 고쳐라.
悅人讚者(열인찬자)는
: 남의
칭찬을 좋아하는 자는
百事皆僞(백사개위)며
: 온갖
일이 모두 거짓이고,
厭人責者(염인책자)는
: 남의
꾸짖음을 싫어하는 자는
其行無進(기행무진)이니라: 그 행동에 진전이 없다.
元亨利貞(원형이정)은
: 원
형 이 정은
天道之常(천도지상)이요
: 천도의
떳떳함이고
仁義禮智(인의예지)는
: 인
의 예 지는
人性之綱(인성지강)이니라 : 인성의 벼리이다.
父子有親(부자유친)하며
: 부모와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고,
君臣有義(군신유의)하며
: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리가 있으며,
夫婦有別(부부유별)하며
: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이 있으며,
長幼有序(장유유서)하며 :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차례가 있으며,
朋友有信(붕우유신)이니
: 벗과
벗 사이에는 신의가 있으니,
是謂五倫(이위오륜)이니라
: 이것을
일러 오륜이라고 한다.
君爲臣綱(군위신강)이요
: 임금은
신하의 벼리가 되고,
父爲子綱(부위자강)이요 : 아버지는 자식의 벼리가 되며,
夫爲婦綱(부위부강)이니
: 남편은
아내의 벼리가 되니,
是謂三綱(이위삼강)이니라
: 이것을
일러 삼강이라고 한다.
人所以貴(인소이귀)는
: 사람이
귀한 이유는
以其倫綱(이기륜강)이니라: 오륜과 삼강 때문이다.
足容必重(족용필중)하며
: 발의
용모은 반드시 무겁게 하며,
手容必恭(수용필공)하며
: 손의
용모는 반드시 공손하게 하며,
目容必端(목용필단)하며
:
눈의 용모는 반드시 단정히 하며,
口容必止(구용필지)하며 : 입의 용모는 반드시 듬직히 하며,
聲容必靜(성용필정)하며
: 소리의
용모는 반드시 조용하게 하며,
頭容必直(두용필직)하며
: 머리의
용모는 반드시 곧게 하며,
氣容必肅(기용필숙)하며
: 숨쉴
때의 용모는 반드시 엄숙히 하며,
立容必德(입용필덕)하며 : 서 있는 모습은 반드시 덕이 있게 하며,
色容必莊(색용필장)이니
: 얼굴
용모는 반드시 씩씩하게 할 것이니,
是曰九容(시왈구용)이니라
: 이것을
말해서 구용이라고 한다.
視必思明(시필사명)하며
: 볼
때에는 반드시 밝게 볼 것을 생각하며,
聽必思聰(청필사총)하며 : 들을 때에는 반드시 총명하게 들을 것을 생각하며,
色必思溫(색필사온)하며
: 얼굴빛은
반드시 온화하게 할 것을 생각하며,
貌必思恭(모필사공)하며
: 용모는
반드시 공손하게 할 것을 생각하며,
言必思忠(언필사충)하며
: 말은
반드시 성실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事必思敬(사필사공)하며 : 일은 반드시 공손하게 할 것을 생각하며,
疑必思問(의심사문)하며
: 의심나는
것은 반드시 물을 것을 생각하며,
忿必思難(분필사란)하며
: 분노가
날 때에는 반드시 후환을 생각하며,
見得思義(견득사의)니
: 얻을
것을 보면 의를 생각해야 하니,
是曰九思(시왈구사)니라 : 이것을 말해서 구사라고 한다
非禮勿視(비례물시)하며
: 예가
아니면 보지 말며,
非禮勿聽(비례물청)하며
: 예가
아니 면 듣지 말며,
非禮勿言(비례물언)하며
: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며,
非禮勿動(비례물동)이니라 :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行必正直(행필정직)하고
: 행동은
반드시 바르고 곧게 하고
言則信實(언즉신실)하며
: 말은
미덥고 성실하게 하며,
容貌端正(용모단정)하고
:
용모는 단정하게 하고
衣冠整齊(의관정제)하라 : 의관은 바르고 가지런하게 하라.
居處必恭(거처필공)하고
: 거처할
때에는 반드시 공손히 하고
步履安詳(보리안상)하라
: 걸음걸이는
편안하고 침착히 하라.
作事謀始(작사모시)하고
: 일을
할 때에는 시작을 잘 계획하고
出言顧行(출언고행)하라 : 말을 할 때에는 행실을 돌아 보라.
常德固持(상덕고지)하고
: 떳떳한
덕을 굳게 지키고
然諾重應(연약중응)하라
: 승낙을
할 때에는 신중히 대답하라.
飮食愼節(음식신절)하고
: 먹고
마실 때에는 삼가고 절제하고
言語恭遜(언어공손)하라 : 언어를 공손히 하라.
德業相勸(덕업상권)하고
: 덕업은
서로 권하고,
過失相規(과실상규)하며
: 과실은
서로 타이르며,
禮俗相交(예속상교)하고
: 예스러운
풍속은 서로 사귀고,
患難相恤(환난상휼)하라 : 재앙과 어려운 일은 서로 구휼하라.
貧窮困厄(빈공곤액)에
: 빈궁과
재액이 있을 때에는
親戚相救(친척상구)하며
: 친척들이
서로 구원해 주며,
婚姻死喪(혼인사상)에
: 혼인과
초상에는
相扶相助(상부상조)하라 : 이웃끼리 서로 도와라.
修身齊家(수신제가)는
: 자기
몸을 닦고 집안을 가지런히 하는 것은
治國之本(치국지본)이요
: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이고
讀書勤儉(독서근검)은
: 책을
읽으며 부지런하고 검소함은
起家之本(기가지본)이니라 : 집안을 일으키는 근본이다.
忠信慈祥(충언자상)하고
: 충실하고
신용 있고 자상하며
溫良恭儉(온양공검)하라
: 온순하고
어질고 공손하고 검소하게 하라.
人之德行(인지덕행)은
: 사람의
덕행은
謙讓爲上(겸양위상)이니라 : 겸손과 사양이 제일이다.
莫談他短(막담타단)하고
: 다른
사람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靡恃己長(미시기장)하라
: 자기의
장점을 믿지 말라.
己所不欲(기소불욕)을
: 자기가
하고 싶지 아니한 것을
勿施於人(물시어인)하라 : 남에게 베풀지 말라.
積善之家(적선지가)는
: 선행을
쌓은 집안은
必有餘慶(유필여경)이요
: 반드시
뒤에 경사가 있고.
不善之家(불선지가)는
: 불선을
쌓은 집안은
必有餘殃(필유여앙)이니라 : 반드시 뒤에 재앙이 있다.
損人利己(손인이기)면
: 남을
손해보게 하고 자신을 이롭게 하면
終是自害(종신자해)니라
: 마침내
자신을 해치는 것이다.
禍福無門(화복무문)하야
: 재앙과
복은 특정한 문이 없어
惟人所召(유인소소)니라 : 오직 사람이 불러들인 것이다.
嗟嗟小子(차차소자)아
: 아,
소년들이여
敬受此書(경수차서)하라
: 공경히
이 책을 받들어라.
非我言耄(비아언모)라내
: 나의
말은 늙은이의 망녕이 아니라
惟聖之謨(유성지막)이니라 : 오직 성인의 가르치심이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