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진 가면 `오메가 일출` 보려나 [중앙일보]
해돋이에 숨어 있는 과학
◆녹색 섬광=태양의 정수리 부분 위에 녹색 섬광이 몇 초간 나타나는 현상이다. 옛날에는 이를 착시 현상인 줄 알았으나 사진으로 촬영해 봐도 그런 색이 나타나 실제 현상으로 판명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의 김봉규 박사는 "대기가 프리즘 역할을 해 햇빛을 '빨주노초파남보' 7색으로 분해하는데 그때 태양 맨 윗부분에 있는 녹색만 관측자의 시각에 도달해 생기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녹색 섬광은 위도가 높을수록 잘 보인다. 우리나라에선 몇 초 정도 볼 수 있지만 북극 지방에서는 몇 분간 지속되기도 한다. 겨울철 맑은 날 바닷가의 일출과 일몰 때 주로 볼 수 있다. ◆지평선의 해가 더 크다?=지평선에 걸린 해는 육안으로 볼 때 중천에 떠 있는 해보다 커 보인다. 이는 착시다. 오히려 작다. 실제 사진을 찍어 보면 중천에 떠 있는 해가 더 크다. 사람의 눈이 왜 지평선의 해를 중천의 해보다 크게 보는지는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다. 또 지평선 근처에 해가 있으면 햇빛 중 청색이나 녹색은 대부분 대기 중 먼지에 부딪혀 없어져 사람 눈에 도달하지 않는다. 그래서 해는 붉거나 노랗게 보인다. 붉게 보일 때는 공기 중 먼지가 많을 때다. 특히 굵은 먼지가 많을 때 그렇다. 작은 먼지가 많을 때는 청색만 산란시켜 노랗게 보인다. ◆오메가(Ω) 현상=수평선 바로 위에서 해가 질 때나 뜰 때 'Ω' 형태로 보일 때가 있다. 오메가 현상이라고 부른다. 맑은 날 바닷가에서 주로 볼 수 있다. 이는 대기의 '역전층' 현상 때문에 일어난다. 대기 온도는 고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데 가끔 수평선 바로 위에서 위로 올라 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층이 형성될 때가 있다. 이 경우 대기의 굴절률이 달라진다. 그러면 해가 거울에 비치듯 아래쪽에 해의 일부분이 나타나 Ω 형태를 만든다. ◆11년 주기로 활동 강약 반복=태양 흑점의 활동은 11년 주기로 정점을 이룬다. 태양 흑점의 활동이 활발할수록 태양 자기장이 많이 쏟아져 나와 지구의 통신.위성.전력 등에 악영향을 미친다. 때로는 인공위성과 전력 계통이 고장 나기도 한다. 흑점의 활동이 왕성하면 지구에는 홍수가, 안정기에는 가뭄이 온다는 주장을 펴는 과학자도 있다. 가장 가까운 장래에 태양 활동이 왕성할 시기는 2011년과 2012년이다. 태양의 밝기는 흑점과 백점의 수에 많이 좌우된다. 흑점이 태양 표면의 열을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고, 백점은 태양열이 쉽게 진행하도록 한다. 태양 활동이 왕성하면 흑점과 백점 모두 늘어난다. 백점의 영향으로 전체 태양이 더 밝아지기도 한다. 선조들은 왕좌 뒤에 놓는 병풍의 해 속에 까마귀를 그려 넣곤 했다. 태양의 흑점을 알았던 것 같다. 박방주 과학전문기자 |
|
2007.12.29 05:22 입력 / 2007.12.29 07:07 수정 |
'쉼터 > 가볼만한 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척,겨울바다 풍경 (0) | 2007.12.29 |
---|---|
서울 환희의 밤, 2007 세밑 스케치 (0) | 2007.12.29 |
세계의 아름다운 도시들 (0) | 2007.12.21 |
문화는 富에서 나온다 (0) | 2007.12.06 |
구비구비 성곽따라 펼쳐지는 -남한산성 (0) | 2007.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