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갤러리

김영택의펜화기행] 통한의 요새

淸潭 2007. 3. 16. 15:18

[김영택의펜화기행] 통한의 요새

강화도 진해루

 

 

 

1900년대의 진해루, 종이에 먹펜, 36X50cm, 2007. '근대 한국'(서문당) 87쪽 사진 참조.

 

강화도는 한강 입구에서 수도 서울을 방어하는 중요 요충지입니다. 내륙과 섬 사이를 흐르는 염하강(鹽河江)의 물살이 거세 천혜의 요새라할 만합니다. 고려 고종 18년(1231) 몽고가 쳐들어오자 수도를 강화로 옮긴 것도 그 때문입니다. 고려는 이곳에서 원종 11년(1270)까지 39년간 항전할 수 있었습니다. 조선 인조 5년(1627) 정묘호란 때에도 임금이 강화로 피란을 했습니다.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 때는 강화도로의 피란길이 막혀 남한산성에서 항전하다 오래 못 버티고 항복하고 맙니다.

 

이후 효종과 숙종은 강화도 해안에 5개의 진(鎭)과 7개의 보(堡), 8개의 포대(砲臺), 53개의 돈대(墩臺), 8개의 봉수(烽燧)를 쌓아 방위에 만전을 기합니다. 그러나 조선조 말기, 신식 총포를 앞세운 서구와 일본의 침략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고종 3년(1866)에는 프랑스군이, 고종 8년(1871)에는 미군이 침략해 큰 피해를 줍니다. 고종 12년(1875)에는 일본군이 침략해 살인과 방화.약탈을 합니다. 그러고도 억지를 부려 강화도조약(1876)을 체결해 조선 침략의 발판을 마련합니다.

 

 

진해루가 있던 자리에 복원된 갑곶돈대.

서구식 군함과 신식 해군이 필요성을 절감한 조선은 고종 30년(1893) 강화도 진해루 안쪽에 조선수사해방학당(朝鮮水師海防學堂)이란 이름의 해군사관학교를 세웁니다. 영국군사교관과 영어교사를 초빙해 50명의 사관생도와 500여 명의 수병을 양성합니다. 그러나 일본의 집요한 방해로 신식 해군의 꿈은 2년이 채 못돼 물거품이 됩니다.

강화도의 관문으로 영욕의 역사를 겪은 진해루는 강화대교가 놓이고 도로가 나면서 흔적조차 찾을 수 없게 됐습니다. 진해루 자리 왼쪽 언덕에 복원된 갑곶돈대 앞을 흐르는 염하강은 약소국의 설움을 기억하고 있을까요.

김영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