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고 삼수 (擬古 三首)
성현(成俔)
정자 앞에 서 있는 기특한 나무 / 亭前有奇樹
푸른 잎이 그리도 번성하더니 / 翠葉何萎葳
가을 바람 선들선들 휘불어오니 / 秋風吹嫋嫋
떨어지는 이슬에 꽃다움도 다 졌네 / 零露拂華滋
서산의 뭇 새들 떼를 지어서 / 西山衆鳥群
날마다 펄펄 이리로 날아드네만 / 翩翩日來斯
외로운 난세는 곤궁해서 날개가 처졌어도 / 孤鸞困側翅
한 가지에 깃들임을 허하지 않네 / 不許棲一枝
번영과 시듦이 때가 있거니 / 榮悴自有時
곤궁한들 누구를 원망하리요 / 蹭蹬將怨誰
오늘 이 좋은 잔치 모임에 / 今曰良宴會
휼륭한 손님들이 대청에 가득 / 嘉賓滿高堂
아름다운 안주가 자개 상 위에 비치고 / 綺肴映雕俎
푸른 술이 금잔에 철철 넘는데 / 綠酒盈金觴
좌우에 늘어선 연조 미인들 / 左右燕趙姬
아리따운 눈썹과 해맑은 눈들 / 眉目婉淸揚
희나 흰 팔들을 천천히 들어 / 徐徐攘皓腕
비파를 퉁기어 곡조를 내네만 / 操瑟理宮商
세월이 바퀴 돌 듯 흘러서 가면 / 流年雙轉轂
어느덧 머리칼이 서릿빛 되리 / 倐忽兩鬢霜
서로 만났으니 즐기기나 하세 / 相逢且爲樂
구태여 서러워해서 그 무엇하리 / 何用苦慨慷
만조의 고관대작 귀한 분들도 / 金章滿朝貴
끝내는 북망산에 돌아가는 걸 / 畢竟歸北邙
강 건너서 부용을 캐고 / 涉江采芙蓉
산에 올라 담쟁이를 뜯으니 / 登山搴薛荔
펄렁펄렁 바람에 흔들리는 그림자 / 幡幡影搖風
물씬물씬 소매에 배는 향기 / 馥馥香惹袂
그리운 임에게 드리고자 / 欲遺所懷者
구름가에 기대어 섰네만 / 佇立雲之際
구름은 깊고 임은 오지 않으니 / 雲深人不來
눈 돌리며 내 어디로 갈꼬 / 側目將何逝
달은 어찌 그리 휘영청 밝은고 / 明月何晈晈
휘영청 유인을 찾아 주는데 / 晈晈尋幽人
유인은 만 가지 한을 품어서 / 幽人抱萬恨
구슬프게 앉아서 밤을 지새네 / 惻惻坐達晨
바람에 나뭇잎 나부끼는 소리 / 風葉鳴高樹
별들은 높은 하늘에 반짝이는데 / 星河粲層旻
아득히 떠도는 천애의 나그네 / 縹緲天涯客
처량히 앉아 있는 창 안의 몸이여 / 凄涼窓裏身
가물가물 꿈조차 못 이루고 / 耿耿不成夢
가려 하나 하수에 나루가 없네 / 欲往河無津
-
- 현재글의고 삼수 (擬古 三首) / 성현(成俔)
-